목차
7. Result
8. Calculation
9. Discussion
10. Reference
8. Calculation
9. Discussion
10. Reference
본문내용
< CN CO
실험값으로 나온 결정장 갈라짐 에너지의 크기 비교인 > > 가 알맞다고 볼 수 있겠다.
10. Reference
분광화학계열 [分光化學系列, spectrochemical series]
전이금속 이온은 일부가 전자로 채워진 5개의 d오비탈을 가지고 있으며, 비공유 전자쌍을 가진 리간드와 배위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착화합물을 만든다. 전이금속 이온 주위에 리간드가 접근하면 d오비탈 에너지가 분리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결정장(또는 리간드장) 분리라고 한다. 대부분 착화합물에서 결정장 분리의 크기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자 에너지와 같기 때문에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다양한 색깔이 나타난다.
결정장 분리 크기에 따라 리간드를 배열한 것을 분광화학적 계열이라고 하고, 그 크기가 클수록 강한장 리간드라고 한다. 그 순서는 I- < Br- < Cl- < F- < OH- < H2O < NCS- < NH3 < 에틸렌디아민(두자리) < CO < CN-이다. 결정장 분리가 클수록 짧은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홀전자의 수가 적은 저스핀 착화합물을 형성한다.
[출처] 분광화학계열 [分光化學系列, spectrochemical series ] | 네이버 백과사전
실험값으로 나온 결정장 갈라짐 에너지의 크기 비교인 > > 가 알맞다고 볼 수 있겠다.
10. Reference
분광화학계열 [分光化學系列, spectrochemical series]
전이금속 이온은 일부가 전자로 채워진 5개의 d오비탈을 가지고 있으며, 비공유 전자쌍을 가진 리간드와 배위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착화합물을 만든다. 전이금속 이온 주위에 리간드가 접근하면 d오비탈 에너지가 분리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결정장(또는 리간드장) 분리라고 한다. 대부분 착화합물에서 결정장 분리의 크기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자 에너지와 같기 때문에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다양한 색깔이 나타난다.
결정장 분리 크기에 따라 리간드를 배열한 것을 분광화학적 계열이라고 하고, 그 크기가 클수록 강한장 리간드라고 한다. 그 순서는 I- < Br- < Cl- < F- < OH- < H2O < NCS- < NH3 < 에틸렌디아민(두자리) < CO < CN-이다. 결정장 분리가 클수록 짧은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홀전자의 수가 적은 저스핀 착화합물을 형성한다.
[출처] 분광화학계열 [分光化學系列, spectrochemical series ] | 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