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중 말리는 때에 실수를 하여 얼마정도 회수한 질산포타슘을 날아가 버렸기 때문이다. 또는 녹이는 과정에서 흘린 질산포타슘이 결과에 영향을 준 것이라 생각된다.
10. Reference
어떤 계의 엔탈피, 엔트로피 및 온도를 이용하여 정의하는 열역학적 함수이다.
깁스 자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엔탈피 개념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다.:
표준생성에너지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에서:
U 는 내부 에너지를 의미한다 (SI(표준 미터법) 단위: joule)
p 는 압력 (SI unit: pascal)
V 는 부피 (SI unit: m3)
T 는 절대 온도 (SI unit: kelvin)
S 는 엔트로피 (SI unit: joule per kelvin)
H 는 엔탈피 (SI unit: joule)
G° 는 표준에너지 (SI unit: joule)
R 은 기체상수 (SI unit: joule per kelvin*mol)
Q 는 반응지수
깁스 자유에너지 값을 이용하면 일정한 온도와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의 화학반응의 평형 조건을 알 수 있다. 또한 정반응이 자발적인지 비자발적인지 계산을 통해 알 수 있다. <출처: 위키피디아>
10. Reference
어떤 계의 엔탈피, 엔트로피 및 온도를 이용하여 정의하는 열역학적 함수이다.
깁스 자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엔탈피 개념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다.:
표준생성에너지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에서:
U 는 내부 에너지를 의미한다 (SI(표준 미터법) 단위: joule)
p 는 압력 (SI unit: pascal)
V 는 부피 (SI unit: m3)
T 는 절대 온도 (SI unit: kelvin)
S 는 엔트로피 (SI unit: joule per kelvin)
H 는 엔탈피 (SI unit: joule)
G° 는 표준에너지 (SI unit: joule)
R 은 기체상수 (SI unit: joule per kelvin*mol)
Q 는 반응지수
깁스 자유에너지 값을 이용하면 일정한 온도와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의 화학반응의 평형 조건을 알 수 있다. 또한 정반응이 자발적인지 비자발적인지 계산을 통해 알 수 있다. <출처: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