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흉부압박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을 유지하는 기본인명구조술 (Basic life support : BLS)이다.
o 2단계는 약물을 투여하고 심전도 감시 및 전기적 제세동(defibrillation)시행함으로써 환자 의 심박동 및 혈액순환을 회복시킨후 심폐기능을 안정시키는 단계인 전문적 인명구조술 (Advanced life support : ALS)이며,
o 3단계는 심폐소생이 이루어진 후 이를 유지하기 위하기 위하여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뇌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며 심정지의 원인을 찾고 예후에 관하여 평가하는 단계 인 소생후 치료(Prolonged life support : PLS)이다.
o 실제 심정지시에는 단계별 구분없이 여러가지 응급치료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한 기본 인명구조술과 전문적 인명구조술의 구분은 의료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심정지환자에 게 시행되는 심폐소생술을 기본인명구조술로, 의료인에 의하여 약제의 투약 또는 의료장 비의 사용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심폐소생술을 전문적인명구조술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 다.
⑵ 심폐-뇌 소생술의 단계와 진행과정(Phases and Steps of CPCR)
㈎ 제 I단계(제1차 소생술)
① 기본 인명구조술(Basic Life Support)
㉮ 응급 산소 공급 : 심폐소생술의 기본적 구급처치로서 수초내에 중추신경계에 산소를공급 하기 위함이다.
⒜ 기도확보 및 유지(A, Airway Control)
⒝ 인공호흡(B, Breathing Support)
⒞ 응급 인공환기 및 산소공급
순환보조(C, Circulation Support), 심장소생(Cardiac Resuscitation)
㈏ 제 II단계(제2차 소생술)
발전된 인명구조술(Advanced Life Support)
자기순환의 회복 :심정지 후의 의학적 치료로 대상자의 호흡과 순환을 재개하고 유지 시킴을 목적에 둔다.
⒟ 약제 및 수액요법(D, Drugs and Fluids)
⒠ 심전도 진단(E, Electrocardiographic Diagnosis)
⒡ 세동치료(제세동술)(F, Fibrillation reatment=Defibrillation)
㈐ 제 III단계(제3차 소생술)
지속적 인명구조술(Prolonged Life Support)
소생후 뇌 중심치료
① 뇌소생술과 집중치료 및 인간화
(I & H, Intensive Therapy with Cerebral Resuscitation & Humanizing)
㉮ g-gauze(측정) : 활력징후, 동맥혈 가스분석, 기타검사를 실시하여 원인과 대상자 상태 를 파악함
㉯ H-hypothemia(저체온) : 조직에서의 산소 소모량을 줄이고 뇌부종과 뇌압상승을 치료하 기 위함
㉰ I-Intensive care(집중간호) : 심폐소생술로 대상자 상태가 호전되면 중환자실로즉시 이 동시켜 집중간호를 받게 함.
② 환자상태 평가와 집중치료 분류
③ 특수한 상황들
④ 응급처치와 인공소생술의 교육
CPR은 응급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교육받은 일반인도 응급상황일 때 시행할 수 있으나 CPCR은 의료시설이 갖추어진 의료기관에서 전문의료인만이 실시할 수 있고, 의료용산 소와 주사가 있어야한다.
1. hematemesis와 hemoptysis의 차이
* hematemesis(토혈)
; 소화관 내에서 대량으로 출혈하여 토하는 일
많은 경우가 위로부터의 혈액 토출인데 때로 식도, 십이지장으로부터 토혈되는 경우도 있다
식도나 위의 대량출혈일 때 붉은 선혈이지만
일반적으로 위의 토혈은 위액이 섞여 위산에 의하여 헤마틴이 되어 암적색의 커피 찌꺼기처럼 된다.
토혈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위궤양(십이지장궤양)을 비롯하여 위염, 위암, 식도정맥류 파열, 식도염 등
* hemoptysis(객혈)
; 기도에서의 출혈이 원인이 되어 입으로 혈액을 토하는 일
넓은 의미로 혈액이 섞인 담을 뱉는 일도 포함
구강이나 상기도에서의 출혈에는 풍치, 혈액질환 등에 의한 잇몸출혈, 코피의 역류, 후두결핵, 편도염, 인두염, 폴립, 암 등
하기도나 폐에서의 출혈이 객혈, 객담 중에 가장 많고 중요
일반적으로 객혈은 혈담의 약 반밖에 볼 수 없고 대량인 것도 많지 않다
객혈이나 혈담 나오는 질병 중 기관지확장증이 가장 빈도가 높다
2. 제세동기 적응증 (Defibrillator, Cardioversion)
빈맥성 심박동을 정상 심박동으로 돌리는 방법으로 약에 의한 방법과 전기적 충격기를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제세동 이후 정상박동으로 회복하여도 이 방법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정상 박동 회복 후 장기적으로 항부정맥 약제의 사용과 원인질환의 치료가 필요하다
* 적응증
- 응급상황 : 빈맥이 발생하며, 혈압이 하강하고, 폐부종이 발생하며, 의식장애가 동반되는 경우 즉각적인 정상박동으로의 회복이 요구되는 경우
1) 상심실성 빈맥(reentrant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2) 심실빈맥(venticular tachycardia),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3) 심방세동, 조동(atrial fibrillation, flutter)
- 비응급상황 : 빈맥이 발생하였으나, 혈역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즉각적으로 생명에 지장이 없으나, 장기적으로 방치할 경우 심부전, 뇌색전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정상박동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1) 상심실성 빈맥
2) 심실빈맥
3) 심방세동, 조동
3. MI 심전도
1)T wave 역전: 허혈 혹은 심근경색을 의미한다.
2)SR segment
①ST segment elevation: ST분절의 상승은 급성 심근허혈에서 심근경색으로 진행되는
것을 뜻한다.
②ST segment elevation 하강: 혈류 흐름이 회복되거나 심근경색으로 진행된 것을 뜻한다.
3)뚜렷한 Q wave: 심근 조직 전체가 괴사되기 시작할 경우 나타난다. 심내막하에만 경색이 올 경우 비Qwave경색(non-Q wave MI)으로 진행된다. 이것은 과거에 심근경색을 앓았음을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하다.
4. 고혈압
본태성고혈압:고염분식이,저포타슘,저마그네슘,저칼슘
이차성고혈압:감염,
o 2단계는 약물을 투여하고 심전도 감시 및 전기적 제세동(defibrillation)시행함으로써 환자 의 심박동 및 혈액순환을 회복시킨후 심폐기능을 안정시키는 단계인 전문적 인명구조술 (Advanced life support : ALS)이며,
o 3단계는 심폐소생이 이루어진 후 이를 유지하기 위하기 위하여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뇌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며 심정지의 원인을 찾고 예후에 관하여 평가하는 단계 인 소생후 치료(Prolonged life support : PLS)이다.
o 실제 심정지시에는 단계별 구분없이 여러가지 응급치료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한 기본 인명구조술과 전문적 인명구조술의 구분은 의료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심정지환자에 게 시행되는 심폐소생술을 기본인명구조술로, 의료인에 의하여 약제의 투약 또는 의료장 비의 사용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심폐소생술을 전문적인명구조술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 다.
⑵ 심폐-뇌 소생술의 단계와 진행과정(Phases and Steps of CPCR)
㈎ 제 I단계(제1차 소생술)
① 기본 인명구조술(Basic Life Support)
㉮ 응급 산소 공급 : 심폐소생술의 기본적 구급처치로서 수초내에 중추신경계에 산소를공급 하기 위함이다.
⒜ 기도확보 및 유지(A, Airway Control)
⒝ 인공호흡(B, Breathing Support)
⒞ 응급 인공환기 및 산소공급
순환보조(C, Circulation Support), 심장소생(Cardiac Resuscitation)
㈏ 제 II단계(제2차 소생술)
발전된 인명구조술(Advanced Life Support)
자기순환의 회복 :심정지 후의 의학적 치료로 대상자의 호흡과 순환을 재개하고 유지 시킴을 목적에 둔다.
⒟ 약제 및 수액요법(D, Drugs and Fluids)
⒠ 심전도 진단(E, Electrocardiographic Diagnosis)
⒡ 세동치료(제세동술)(F, Fibrillation reatment=Defibrillation)
㈐ 제 III단계(제3차 소생술)
지속적 인명구조술(Prolonged Life Support)
소생후 뇌 중심치료
① 뇌소생술과 집중치료 및 인간화
(I & H, Intensive Therapy with Cerebral Resuscitation & Humanizing)
㉮ g-gauze(측정) : 활력징후, 동맥혈 가스분석, 기타검사를 실시하여 원인과 대상자 상태 를 파악함
㉯ H-hypothemia(저체온) : 조직에서의 산소 소모량을 줄이고 뇌부종과 뇌압상승을 치료하 기 위함
㉰ I-Intensive care(집중간호) : 심폐소생술로 대상자 상태가 호전되면 중환자실로즉시 이 동시켜 집중간호를 받게 함.
② 환자상태 평가와 집중치료 분류
③ 특수한 상황들
④ 응급처치와 인공소생술의 교육
CPR은 응급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교육받은 일반인도 응급상황일 때 시행할 수 있으나 CPCR은 의료시설이 갖추어진 의료기관에서 전문의료인만이 실시할 수 있고, 의료용산 소와 주사가 있어야한다.
1. hematemesis와 hemoptysis의 차이
* hematemesis(토혈)
; 소화관 내에서 대량으로 출혈하여 토하는 일
많은 경우가 위로부터의 혈액 토출인데 때로 식도, 십이지장으로부터 토혈되는 경우도 있다
식도나 위의 대량출혈일 때 붉은 선혈이지만
일반적으로 위의 토혈은 위액이 섞여 위산에 의하여 헤마틴이 되어 암적색의 커피 찌꺼기처럼 된다.
토혈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위궤양(십이지장궤양)을 비롯하여 위염, 위암, 식도정맥류 파열, 식도염 등
* hemoptysis(객혈)
; 기도에서의 출혈이 원인이 되어 입으로 혈액을 토하는 일
넓은 의미로 혈액이 섞인 담을 뱉는 일도 포함
구강이나 상기도에서의 출혈에는 풍치, 혈액질환 등에 의한 잇몸출혈, 코피의 역류, 후두결핵, 편도염, 인두염, 폴립, 암 등
하기도나 폐에서의 출혈이 객혈, 객담 중에 가장 많고 중요
일반적으로 객혈은 혈담의 약 반밖에 볼 수 없고 대량인 것도 많지 않다
객혈이나 혈담 나오는 질병 중 기관지확장증이 가장 빈도가 높다
2. 제세동기 적응증 (Defibrillator, Cardioversion)
빈맥성 심박동을 정상 심박동으로 돌리는 방법으로 약에 의한 방법과 전기적 충격기를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제세동 이후 정상박동으로 회복하여도 이 방법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정상 박동 회복 후 장기적으로 항부정맥 약제의 사용과 원인질환의 치료가 필요하다
* 적응증
- 응급상황 : 빈맥이 발생하며, 혈압이 하강하고, 폐부종이 발생하며, 의식장애가 동반되는 경우 즉각적인 정상박동으로의 회복이 요구되는 경우
1) 상심실성 빈맥(reentrant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2) 심실빈맥(venticular tachycardia),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3) 심방세동, 조동(atrial fibrillation, flutter)
- 비응급상황 : 빈맥이 발생하였으나, 혈역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즉각적으로 생명에 지장이 없으나, 장기적으로 방치할 경우 심부전, 뇌색전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정상박동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1) 상심실성 빈맥
2) 심실빈맥
3) 심방세동, 조동
3. MI 심전도
1)T wave 역전: 허혈 혹은 심근경색을 의미한다.
2)SR segment
①ST segment elevation: ST분절의 상승은 급성 심근허혈에서 심근경색으로 진행되는
것을 뜻한다.
②ST segment elevation 하강: 혈류 흐름이 회복되거나 심근경색으로 진행된 것을 뜻한다.
3)뚜렷한 Q wave: 심근 조직 전체가 괴사되기 시작할 경우 나타난다. 심내막하에만 경색이 올 경우 비Qwave경색(non-Q wave MI)으로 진행된다. 이것은 과거에 심근경색을 앓았음을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하다.
4. 고혈압
본태성고혈압:고염분식이,저포타슘,저마그네슘,저칼슘
이차성고혈압:감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