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의학적 진단명 schizophrenia
Ⅱ. 진단을 내리는 근거
Ⅲ. 병의 원인
Ⅳ. 치료 계획
Ⅴ. 치료 목표
Ⅵ. 간호 과정
Ⅱ. 진단을 내리는 근거
Ⅲ. 병의 원인
Ⅳ. 치료 계획
Ⅴ. 치료 목표
Ⅵ. 간호 과정
본문내용
서 먼저 주호소를 확인한 뒤 환자와 직접 이야기를 나누면서 망상의 종류와 내 용을 알 수 있었다. 환자는 자신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어떤 환경일 때, 어떤 변화가 있을 때 망상을 경험하는지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수행 및 평가♣ 주로 혼자 멍하게 있을 때 또는 갑자기 긴장이 되고 불안할 때 망상을 경험한다고 대 상자는 표현하였다.
망상적 사고로 인한 행동은 하루에 얼마나 하는지 관찰한다.
♣수행 및 평가♣ 일주일 동안 관찰하였으나 망상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행동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망상이 이해되면 망상에 대한 반복적 이야기를 피한다.
♣수행 및 평가♣ 챠트에서 먼저 주호소인 망상의 내용에 대해 확인한 후, 대상자와의 대화 도중 망상 의 내용을 확인하고 그 뒤부터는 망상에 더욱 빠질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이야기를 피하였다.
환자가 망상에 대해 계속적으로 이야기하고자 할 때에는 끝까지 조용히 들어준다.
♣수행 및 평가♣ 이야기를 들으며 수용, 존중을 표현하였다.
망상을 믿는지 물어올 때에는 환자들은 경험할 수 있다고 존중해준다.
♣수행 및 평가♣ 망상을 보통 사람들은 경험하지 않지만, 환자들에게는 경험할 수 있다고 존중해주었 다. 환자는 차분히 간호학생의 말을 수용하는 듯 하였다.
망상의 옳고 그름보다는 두려움, 불안 등의 대상자의 정서적 느낌을 반영하여 대화를 한다.
♣수행 및 평가♣ 망상의 옮고 그름보다는 두려움, 불안 등의 대상자의 정서적 느낌을 반영하여 대화를 하였다. 망상을 경험하는 환자 자신을 이상한 사람으로 생각하는 것 같지 않아 마음 이 편하다고 표현하였다.
망상을 전환시키기 위해 항상 실제 상황을 이용하여 현실 내 인물과 실제 사건들에 대해 대화한다.
♣수행 및 평가♣ 담당의, 동료 환자, 환자들과 있었던 일 등에 대해 이야기할 때 곧잘 대답을 하며 대 화를 하였다.
환자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게임, 동료 환자들과의 놀이, 대화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수행 및 평가♣ 환자는 그다지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으며(소극적인 모습), 혼자 침상에 지내기를 원할 때가 많았다. 주위 환자들의 놀이와 대화를 옆에서 지켜보는 정도였다.
================================================================================================
단기목표 2) : 대상자는 자신의 장점과 미래의 계획 등에 대해 긍정적인 언어로 표현하고, 병 동 내의 생활을 계획표대로 적극적으로 모두 수행한다.
간호계획 2) :
환자의 감정 상태나 자아인식상태를 사정하기 위해 하루 10분 이상 환자와 면담을 한다.
♣수행 및 평가♣저녁식사 후 활력징후를 재고난 뒤, 10분씩 매일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누었다. 환자는 퇴원을 시켜주지 않아 불만이 컸으며, 자존감이 낮았다.
환자에게 자신의 장점 또는 강점을 글로 써보게 한다.
♣수행 및 평가♣ 자신의 강점과 장점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할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지만 글 로 표현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고 자신은 잘 하는 것이 하나도 없다는 말만 되 풀이하였다.
자신이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 자신감, 책임감, 자존감 등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격려하고, 자존감이 저하된 사건과 이유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수행 및 평가♣ 대상자는 대학 시절과 대학 졸업 후의 자신의 생활과 취업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다. 몇 번의 직장생활을 실패하였는데 졸업 후 친구가 1명도 없이 집에서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매우 힘들었음을 표현하였다.
환자의 감정에 대해 수용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취한다.
♣수행 및 평가♣ 환자의 이야기를 조용히 들어주었고, 비판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천천히 자신의 이야 기를 하였다.
환자와 의논하여 병동 내에서 환자가 도울 수 있는 일을 정한 뒤,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 지한다. (예 : 컵 정리, 식사 후 식탁 재배열, 투약 전 준비, 간식 배분 등..)
♣수행 및 평가♣ 대상자와 의논한 뒤, 투약 후 약봉지와 물컵 정리, 그리고 식사 후 테이블을 닦고 제 위치로 옮기는 일을 환자들과 도와 하기로 하였다. 차분히 병동 일을 제때마다 잘 도 왔다.
평소 친하게 지내는 옆 베드의 노미애 님의 개인위생을 도와줄 것을 권유하여 환자가 동의할 경우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역할에 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수행 및 평가♣ 옆 베드의 노미애 씨와 서현희 씨의 개인위생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1주일 동안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환자가 스스로 수행한 일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수행 및 평가♣ 체크리스트는 원치 않아 노트에 일기형식으로 하루 동안 자신이 병동 내에서 수행한 일을 기록하기로 하였는데, 잘 이루어졌다.
자신의 일을 잘 수행한 경우, 칭찬해주어 바람직한 행동의 반복을 격려한다.
♣수행 및 평가♣ 계획한 일을 잘 했을 때, 칭찬해주니 환자는 밝은 표정을 지어보였다.
병동 내 그룹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동료 환자들로부터 긍정적 피드백을 얻을 수 있도록 1주 일의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환자와 구체적으로 의논하여 계획표를 세운다.
♣수행 및 평가♣ 1주일 단위로 계획되어 있는 병동 내 그룹활동에 참여하기로 계획하였으나, 간호학생 과 1주일에 한번 하는 오락요법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 외 활동에는 참여하고 진지 하게 응하는 모습이었다.
환자와 함께 퇴원 후의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워보아 자신감을 증가시키고 동기부여를 한다.
♣수행 및 평가♣ 자신은 정상인데 퇴원을 시켜주지 않는 것에 대해 매우 언짢아하고, 아버지와의 면회 도 거부하는 모습이었다. 퇴원을 계속적으로 요구하지만 퇴원 후의 계획은 전혀 세울 수 없었다.
< 간호 과정의 전반적인 평가 >
단기목표 1)의 평가 하루에 망상을 5번 이내로 경험한다.
단기목표 2)의 평가 병동 내의 일들을 계획한대로 스스로 도와가면서 조금 더 밝아진 모습이며,
“저는 아무것도 못해요. 잘하는 것도 없어요.”와 같은 말을 표현하는 횟수가 적어졌으며, 자신의 장점을 몇 가지로 나열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퇴원 후와 미래의 계획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하였다.
어떤 환경일 때, 어떤 변화가 있을 때 망상을 경험하는지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수행 및 평가♣ 주로 혼자 멍하게 있을 때 또는 갑자기 긴장이 되고 불안할 때 망상을 경험한다고 대 상자는 표현하였다.
망상적 사고로 인한 행동은 하루에 얼마나 하는지 관찰한다.
♣수행 및 평가♣ 일주일 동안 관찰하였으나 망상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행동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망상이 이해되면 망상에 대한 반복적 이야기를 피한다.
♣수행 및 평가♣ 챠트에서 먼저 주호소인 망상의 내용에 대해 확인한 후, 대상자와의 대화 도중 망상 의 내용을 확인하고 그 뒤부터는 망상에 더욱 빠질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이야기를 피하였다.
환자가 망상에 대해 계속적으로 이야기하고자 할 때에는 끝까지 조용히 들어준다.
♣수행 및 평가♣ 이야기를 들으며 수용, 존중을 표현하였다.
망상을 믿는지 물어올 때에는 환자들은 경험할 수 있다고 존중해준다.
♣수행 및 평가♣ 망상을 보통 사람들은 경험하지 않지만, 환자들에게는 경험할 수 있다고 존중해주었 다. 환자는 차분히 간호학생의 말을 수용하는 듯 하였다.
망상의 옳고 그름보다는 두려움, 불안 등의 대상자의 정서적 느낌을 반영하여 대화를 한다.
♣수행 및 평가♣ 망상의 옮고 그름보다는 두려움, 불안 등의 대상자의 정서적 느낌을 반영하여 대화를 하였다. 망상을 경험하는 환자 자신을 이상한 사람으로 생각하는 것 같지 않아 마음 이 편하다고 표현하였다.
망상을 전환시키기 위해 항상 실제 상황을 이용하여 현실 내 인물과 실제 사건들에 대해 대화한다.
♣수행 및 평가♣ 담당의, 동료 환자, 환자들과 있었던 일 등에 대해 이야기할 때 곧잘 대답을 하며 대 화를 하였다.
환자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게임, 동료 환자들과의 놀이, 대화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수행 및 평가♣ 환자는 그다지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으며(소극적인 모습), 혼자 침상에 지내기를 원할 때가 많았다. 주위 환자들의 놀이와 대화를 옆에서 지켜보는 정도였다.
================================================================================================
단기목표 2) : 대상자는 자신의 장점과 미래의 계획 등에 대해 긍정적인 언어로 표현하고, 병 동 내의 생활을 계획표대로 적극적으로 모두 수행한다.
간호계획 2) :
환자의 감정 상태나 자아인식상태를 사정하기 위해 하루 10분 이상 환자와 면담을 한다.
♣수행 및 평가♣저녁식사 후 활력징후를 재고난 뒤, 10분씩 매일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누었다. 환자는 퇴원을 시켜주지 않아 불만이 컸으며, 자존감이 낮았다.
환자에게 자신의 장점 또는 강점을 글로 써보게 한다.
♣수행 및 평가♣ 자신의 강점과 장점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할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지만 글 로 표현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고 자신은 잘 하는 것이 하나도 없다는 말만 되 풀이하였다.
자신이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 자신감, 책임감, 자존감 등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격려하고, 자존감이 저하된 사건과 이유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수행 및 평가♣ 대상자는 대학 시절과 대학 졸업 후의 자신의 생활과 취업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다. 몇 번의 직장생활을 실패하였는데 졸업 후 친구가 1명도 없이 집에서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매우 힘들었음을 표현하였다.
환자의 감정에 대해 수용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취한다.
♣수행 및 평가♣ 환자의 이야기를 조용히 들어주었고, 비판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천천히 자신의 이야 기를 하였다.
환자와 의논하여 병동 내에서 환자가 도울 수 있는 일을 정한 뒤,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 지한다. (예 : 컵 정리, 식사 후 식탁 재배열, 투약 전 준비, 간식 배분 등..)
♣수행 및 평가♣ 대상자와 의논한 뒤, 투약 후 약봉지와 물컵 정리, 그리고 식사 후 테이블을 닦고 제 위치로 옮기는 일을 환자들과 도와 하기로 하였다. 차분히 병동 일을 제때마다 잘 도 왔다.
평소 친하게 지내는 옆 베드의 노미애 님의 개인위생을 도와줄 것을 권유하여 환자가 동의할 경우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역할에 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수행 및 평가♣ 옆 베드의 노미애 씨와 서현희 씨의 개인위생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1주일 동안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환자가 스스로 수행한 일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수행 및 평가♣ 체크리스트는 원치 않아 노트에 일기형식으로 하루 동안 자신이 병동 내에서 수행한 일을 기록하기로 하였는데, 잘 이루어졌다.
자신의 일을 잘 수행한 경우, 칭찬해주어 바람직한 행동의 반복을 격려한다.
♣수행 및 평가♣ 계획한 일을 잘 했을 때, 칭찬해주니 환자는 밝은 표정을 지어보였다.
병동 내 그룹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동료 환자들로부터 긍정적 피드백을 얻을 수 있도록 1주 일의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환자와 구체적으로 의논하여 계획표를 세운다.
♣수행 및 평가♣ 1주일 단위로 계획되어 있는 병동 내 그룹활동에 참여하기로 계획하였으나, 간호학생 과 1주일에 한번 하는 오락요법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 외 활동에는 참여하고 진지 하게 응하는 모습이었다.
환자와 함께 퇴원 후의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워보아 자신감을 증가시키고 동기부여를 한다.
♣수행 및 평가♣ 자신은 정상인데 퇴원을 시켜주지 않는 것에 대해 매우 언짢아하고, 아버지와의 면회 도 거부하는 모습이었다. 퇴원을 계속적으로 요구하지만 퇴원 후의 계획은 전혀 세울 수 없었다.
< 간호 과정의 전반적인 평가 >
단기목표 1)의 평가 하루에 망상을 5번 이내로 경험한다.
단기목표 2)의 평가 병동 내의 일들을 계획한대로 스스로 도와가면서 조금 더 밝아진 모습이며,
“저는 아무것도 못해요. 잘하는 것도 없어요.”와 같은 말을 표현하는 횟수가 적어졌으며, 자신의 장점을 몇 가지로 나열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퇴원 후와 미래의 계획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