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론][고대사회 기독론][요한계 기독론][바울 기독론][하나님의 나라][기독론의 방법]기독론의 위치, 고대사회의 기독론, 요한계 기독론, 바울의 기독론, 기독론과 하나님의 나라, 기독론의 방법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론][고대사회 기독론][요한계 기독론][바울 기독론][하나님의 나라][기독론의 방법]기독론의 위치, 고대사회의 기독론, 요한계 기독론, 바울의 기독론, 기독론과 하나님의 나라, 기독론의 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기독론의 위치

Ⅲ. 고대사회의 기독론
1. 인성 기독론(에비온주의와 양자설, low christology)
1) 에비온 주의
2) 양자설
2. 신성기독론(가현설과 영지주의, high christology)
1) 가현론자(docecosm)
2) 영지주의
3. 정통적 기독론(영기독론, logos 기독론)
4.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기독론: 헬레니즘과 유대주의+기독교=신학화
1) 오리겐
2) 유세비우스
3) 두시안
4) 아리우스 - subordination이 더욱 분명하게 천명됨
5. 니케아회의(325)
6. 제 1 차 콘스탄티노플 회의(381) - 예수의 신성이 어떻게 인성에 참여하는가
7. 에베소회의(431) - 한 인격(one person) 안에 두 본성에 관한 논쟁
1) 알렉산드리아의 시릴
2) 안디옥의 네스토리우스
3) 데오도시우스 황제의 회의소집
8. 플라비안 종교회의(448-449)
9. 에베소(449) 유티케스의 도둑회의(Latrocinium)
10. 칼케톤 회의(451)
1) One person two natures교리
2) 의미
3) 문제점
4) 긍정적
11. 제2차 콘스탄티노플(553)- 전통 서구 기독론의 정교한 이론으로 받아들여짐
1) 레온티우스
2) 문제점
12. 제3차 콘스탄티노플(681)-예수의 의지- 에너지가 하나인가 둘인가

Ⅳ. 요한계 기독론

Ⅴ. 바울의 기독론
1. 성육신하신 그리스도
1) 성부 편에서의 성육신 인식
2) 성자 편에서의 성육신 인식
2. 십자가 지신 그리스도

Ⅵ. 기독론과 하나님의 나라
1. 당시 유대인들의 하나님 나라 이해의 3가지 방식
2. 예수님이 이해한 하나님 나라의 표상
1) A.Schweizer, R.Bultmann, Weise : 연속적 종말론, 절대적 종말론
2) C.H.Dodd : 실현된 종말론
3) 큄멜, G.E.Ladd, O 쿨만 : 미래적이면서도 현재적이다

Ⅶ. 기독론의 방법
1. 고전적 기독론 방법
2. 현대적 기독론 방법
3. 통합적, 통전적 기독론 방법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일시적으로나마 다시 전통적인 위로부터의 기독론이 득세하였다. 바르트의 변증법적 말씀의 신학과 불트만의 실존론적 성서해석은 위로부터 기독론의 절정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부에 들어서서 케제만은 예수에 대한 믿음이 “예수가 누구였으며, 무엇을 행하셨는가?”에 대한 역사적인 연구의 바탕 위에 세워져야 할 필요성을 다시금 강조하였다. 후기의(변화된) 에밀 브룬너의 다음과 같은 표현은 아래로부터의 방법론을 잘 대변하고 있다. “예수 인식의 길은 인간 예수로부터 하나님의 아들과 하나님께 이른다.” 오늘날 아래로부터의 방법론에 따라 기독론을 전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신학자는 판넨버그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현실에 관한 객관적인 역사적 증거들과 주관적인 믿음의 해석은 스킬레벡스의 해석학적 표현을 빌면 구원의 제공과 그리스도인의 응답이라는 상호연관성 안에서 하나의 통전적인 단일한 실재를 구성한다.
3. 통합적, 통전적 기독론 방법
그러므로 바람직한 통전적인 기독론은 연역법과 귀납법을 상호배타적이고 모순적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 안에서 파악하며 양자를 비판적으로 통합하는 방법론에 의해 가능하다. 오늘날 기독론의 접근방식에 있어서 연역법적인 위로부터의 방법론은 부활의 주님으로서 오늘 교회의 설교 속에서, 그리고 개인의 삶과 역사의 현장 속에서 성령을 통하여 우리 가운데 임재하시는 신앙의 그리스도를 만나는 방식을 효과적으로 설명해 주고 그 길로 인도해 주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귀납법적인 아래로부터의 방법론은 성서 안에 그려진 역사적 예수의 현실, 즉 나사렛에 오셔서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파하고, 병 고침과 이적을 행하고, 고난당하고 십자가에 죽음을 당하신 지상의 예수의 모습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두 가지 기독론적 접근방법이 상호순환적으로 통합되어질 때, 올바르고 통전적인 기독론이 구성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위로부터냐 아래로부터냐, 연역법적이냐 귀납법적이냐 하는 양자택일의 강요는 그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이 둘은 상호배타적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성 안에서 조화롭게 종합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기독론적인 접근방법은 또한 “미래로부터”, 그리고 “바닥으로부터”의 방법에 의해 보완되어져야 한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가 선포하고 실천했던 하나님 미래의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를 위한 변혁적 실천에 달려 있다고 하는 사실에 대한 깊은 인식으로 말미암는 실천적 기독론이다. 기독론적 과제는 미래의 인간 실존과 세상의 역사를 창조적으로 변혁시키고 구원하는 하나님의 역사에 실천적으로 동참하는 데 있다.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은 단지 역사적 현실을 아는 것만도, 성육신 교리를 아는 것만도, 또한 그분의 은혜를 아는 것만도 아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아는 것은 그분의 뒤를 따르는 것이다. “위로부터”와 “아래로부터”의 방법론과 더불어, 가난하고 억눌린 자들을 위한 연대성으로부터 삶의 “바닥”에서 창조적인 변혁과 구원의 “미래를 향한” 실천적 행동과 헌신의 결단을 기독론의 출발점과 궁극적인 목표로 삼음으로써 우리는 온전하고 통전적인 기독론의 이론과 실천을 지향하여 나아갈 수 있다.
Ⅷ. 결론
모든 종교에는 공통된 일반적인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교의 일반적인 특징은 예수에게서 거부된다. 일반적으로 종교는 이원론적 세계관을 주장하나 예수가 선포한 하나님의 나라는 어디까지나 구체적 현실 속에 있으며 이 현실 속에서 모든 불의하고 불합리한 것을 개혁함으로써 확장되어 나간다는 것이다. 즉 하나님의 계명은 가난한 사람들의 빚과 노예화와 자연의 착취를 극복하기 위한 일종의 ‘사회개혁의 프로그램’인 동시에 ‘생태계의 개혁 프로그램’이다. 그것은 ‘메시야적 시간의 시작’이요 하나님 나라의 구체적 형태이다. 역사의 예수는 해탈의 경지에서 자기가 속한 사회의 모든 문제와 갈등을 망각한 상태에서 살지 않고, 오히려 이 문제와 갈등 속에서 살았으며 사회적 관계 속에서 활동하였다. 이러한 뜻에서 하나님의 메시야 예수는 ‘종교적 존재’인 동시에 철저히 ‘사회적 존재’이다. 하나님은 인간의 영혼만을 창조한 것이 아니라, 그의 육체와 물질의 세계, 동물과 식물도 창조하였다. 이 모든 것이 하나님의 사랑과 구원의 대상이다. 예수는 이 모든 것의 구원자이다. 결국 예수가 선포한 하나님의 나라는 이 땅위에, 자연 안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예수의 선포는 생태학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예수의 말씀은 회개하고 살아가는 사람에게 ‘위로’와 ‘약속’의 말씀이며 하나님을 믿고 살아가는 가난한 사람들이 가진 ‘역사의 주체성’을 암시한다. 그러나 그가 말하는 가난함은 단순히 물질적인 가난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가난함도 말하는 것이다. 즉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는 마음 곧 ‘가난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 하나님의 나라에 거할 수 있다는 말이다. 하나님 나라의 당파성은 복음서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것은 사회적으로 힘없는 자들, 억압과 고통을 당하는 자들과 예수의 연대, 그들의 인간적 가치와 존엄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예수의 다양한 행동과 요구 속에 나타난다. 또한 그것은 인간으로서의 가치와 존엄성을 상실한 여자들의 편에 서서 그들의 가치와 존엄성을 회복하여 주는 예수의 행위 속에 나타난다. 예수는 여인들과의 서로 섬기는 사귐을 통하여 모든 것의 새 창조를 일으키는 인간적인 면을 보여주며 당시 어른에게 자유롭게 접근하지도 못하였던 어린이들에게 ‘하늘 나라에서 가장 큰 사람’은 ‘어린이와 같이 자기를 낮추는 사람’이라 하면서 어린이들을 존중하였다.
참고문헌
ⅰ. 김장진(1996), 개혁주의 기독론, 고려신학원
ⅱ. 밀라드J. 에릭슨, 홍찬혁 역(1994), 기독론, 기독교문서선교회
ⅲ. 박만(2004), 우리시대의 문화는 무엇인가?, 하나님 나라와 문화,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부
ⅳ. 양금희(1999), 종교개혁과 교육사상,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사
ⅴ. 최종갑(1997), 바울연구 Ⅱ,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ⅵ. Barclay, William(1989), 바울의 생애와 선교, 서울 : 종로서적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4.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3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