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 목적의 종류

2 ) 인간의 기능

3 ) 목적으로서의 행복

4 ) 중용(golden mean)으로서의 덕

5 ) 심사숙고와 선택

6 ) 덕론(德論)

7 ) 명상

본문내용

레스에게 있어 인간의 본성은 이성적인 측면만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식물적인 면과 감각적인 면도 포함된다. 덕은 이러한 본성상의 여러 능력들에 대한 거부나 부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덕적인 인간은 자신의 모든 능력들, 즉 육체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 모두를 사용한다. 하나는 “지적(知的)” 기능이며 다른 하나는 “도덕적” 기능으로서 그 각각은 나름대로의 덕을 가진다. 따라서 지적인 덕과 도덕적인 덕들이 있게 되는 것이다.
지적인 덕은 철학적 지혜와 오성인데 그 덕의 발생과 성장은 교육과 학습에 기인한다. 도덕적인 덕은 습관의 결과로서 나타나게 되며 여기서 윤리학(ethike)이라는 명칭이 나오는데, 이 명칭은 “습관(ethos)이라는 단어의 파생어이다.” 모든 도덕적 덕들은 학습되어야 하며 또한 실천되어야 한다. 그 덕들은 행동을 통해서만 덕으로 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정의로운 행위들에 의해 정의롭게 되며 질서 있는 행위에 의해 절제를 실현하고, 용기 있는 행위에 의해 용기를 실현”하기 때문이다. 도덕적인 덕들 중에서 “기본적”인 것들은 용기와 절제와 정의와 지혜이다. 이 덕들 이외에도 아리스토텔레스는 분수에 맞는 재물의 사용, 관용, 우정, 자중과 같은 덕을 고려하였던 흔적이 있다. 비록 그는 이성의 중심 기능을 실천적이며 도덕적인 행동에 대한 지침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지만, 결론적으로는 철학적 지혜가 실천적 지혜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명상(contemplation)은 인간을 보다 깊게 행복으로 안내한다는 것이다.

7 ) 명상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것처럼, 행복이 우리에게 고유한 본성에 따라 행동할 때 생겨나는 것이라 한다면, 행복은 우리의 최고 본성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가 이미 보았던 것처럼 이러한 행위는 명상적인 것이다.” 이 행위가 최상의 것인 이유를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렇게 설명하였다. “왜냐하면 이성은 우리의 내면에서 최상의 것일 뿐 아니라, 이성의 대상도 인식 가능한 대상 중에서 최성의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명상은 “가장 연속적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가 어떤 일을 할 때보다도 더 연속적으로 진리에 관해 명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행복이 그것과 결부된 쾌락을 내포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철학적 지혜의 행위들은 가장 환희에 찬 덕행임에 틀림없다.”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생각을 철학적으로 신념하였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4.05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3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