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작품은 조선 말기 사회의 부패상을 사실적으로 정확히 해부해 내고 있다. 김진사의 딸 채봉은 선천부사의 아들 강필성과 사랑에 빠지지만, 김진사는 벼슬을 얻기 위해 채봉을 당시의 세도가인 허판서의 첩으로 주려 한다. 이에 채봉은 도망쳐 기생이 되었다가 평양감사의 비서로 들어가 감영의 이방을 자원해 들어온 강필성과 재회하여 숙연(宿緣)을 이루게 되는 이야기이다.
김채봉과 강필성의 순결하고 진실한 애정이 공감을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중간에 삽입된 「채봉감별곡」은 그 자체가 하나의 완결된 가사로서 감동을 주지만 소설의 전체적인 이야기 전개를 단절시키는 역기능적인 면도 있다. 확실한 창작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조선 말기로 추정되는 신소설에 밀착된 작품으로서 소설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 작품은 순박한 강필성과 김채봉과의 로맨스를 그렸지만, 구직을 위해 매녀행위(賣女行爲)를 자행하는 김진사의 부패한 인간상, 애첩을 얻는 댓가로 김진사에게 벼슬을 주려는 매관매직하는 오리(汚吏)를 계자(誡刺)함으로써 조선 말엽의 양반 관료들의 부패상과 정치상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
2) 배비장전
이 작품은 서거정의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에 수록되어 있는 발치설화(拔齒說話)와 「동야휘집(東野彙集)」에 전하는 미궤설화(米櫃說話)의 합작이라고 한다. 그리고 다른 판소리계 소설과 마찬가지로 표현은 사실적이며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에도 비교적 성공한 작품이다. 전편의 풍자와 야유로써 점철되어 있으며, 배비장의 위선적인 이면 생활을 폭로하고 하류인 방자로 하여금 상전인 배비장에게 여지없는 창피를 주게 함으로써 독자에게 통쾌감을 주고 있다. 이 작품의 주제는 조선시대에 지배 계급에 속하는 배비장의 위선적이며 호색적인 생활상을 풍자 폭로하는 데 있다. 따라서 이 작품 역시 다른 판소리계 소설과 함께 평민문학의 성격을 띠고 신소설에 접근해 있는 근대적인 면을 지닌 풍자 소설의 백미라 할 수 있다.
3) 장화홍련전
이 작품의 주제는 악독한 계모에게 학대를 받다가 계모의 흉계에 죽어가는 전처소생의 자녀에 대한 동정과 연민의 눈물을 흘리게 하고 악행에 대한 증오심을 환기시켜 권선징악의 교훈성을 보이고자 하는 데 있다. 실화를 소재로 하여 어느 정도의 현실성을 가미하여 표현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4) 황월선전
이 작품은 활자본과 필사본이 있는데, 사건 전개를 암시하는 꿈만 제외하면 현실의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는 점이 다른 계모형 가정소설과 다른 점이다. 대부분의 계모형 가정소설은 계모와 그의 자녀가 전처소생의 자녀를 학대하는데 반해, 이 작품은 계모소생의 아들이 자기 어머니가 전처소생의 딸을 학대하는 것을 반대하고 어머니를 충고하면서 이복누이를 섬기다가 학대로 신음하는 누이를 구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계모형 소설은 시비들이 계모와 같이 전처소생의 자녀를 학대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반해, 이 작품에서는 시비가 전처소생의 자녀는 학대하는 계모를 죽이려다가 끝내는 학대 사건을 고발하는 점이 특이하다. 이런 점에서 전형적인 계모형 소설의 구성에서 벗어나 작자의 독특한 창의성이 엿보이는 작품이다. 더구나 언문일치의 문장이나 일상 용어의 구사나, 실생활의 사실적 표현, 등장 인물의 성격 묘사 등에서 비교적 성공한 계모형 가정소설로 규정될 수 있으며, 권선징악을 주제로 하고 있다.
5) 옥루몽
「옥루몽(玉樓夢)」은 몽자류소설로서 「구운몽」과 맥락을 이으며 군담소설의 종합적 발전을 보인 작품으로 주목된다. 천상 백옥루에서 상봉한 인연으로 죄를 입어 문창성(文昌星)과 제방선녀(帝傍仙女), 제천선(諸天仙), 여천요성(女天妖星), 홍난성(紅鸞星), 도화성(桃花星)은 인간 세상으로 쫓겨나게 된다. 문창성은 양창곡(楊昌曲)으로, 그밖의 선녀들은 강남홍(江南紅), 윤소저(尹小姐), 벽성선(碧城仙), 황소저(黃小姐), 일지련(一枝蓮)으로 태어나 서로 인연을 맺게 되는데, 남만을 평정하고 돌아온 양창곡은 결국 이들을 이처삼첩(二妻三妾)으로 맞아 부귀공명을 누리다가 다시 천상으로 돌아간다는 이야기이다.
천상의 문창성과 오선녀들이 인간계에 환생하여 인연에 따라 결연해 가는 과정은 「구운몽」과 같고, 과거 급제 후 혼인 문제로 간신과 대립을 보이는 정치적 갈등은 군담소설에서 보이는 것과 상통한다. 그리고 「옥루몽」에는 조선조 말기의 시대적 의미가 두드러지게 반영되어 있다. 결연 과정에서 기생 출신인 강남홍이 가장 발랄한 개성과 능력을 지닌 인물로 묘사된 것은 신분 위주의 가치관에서 능력 위주의 가치관으로 변모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드러낸 것이며, 상층의 대결인 정치적 갈등에서도 하층민으로 신분적 상승을 꾀한 양창곡과 세대 벌열인 노균과의 대결에서 양창곡이 승리는 「옥루몽」이 조선조 말기의 대표적인 귀족소설로서 양반 사대부의 공명주의를 집대성한 것이지만, 당시의 변모된 가치관과 시대 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63회의 장회체(章回體) 한문소설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6) 삼한습유
이 작품은 숙종 28년(1702년) 경북 선산 지방에서 일어난 열녀 향랑(香娘)의 원사(寃死)사건을 소재로 한 것인데, 주인공 향랑의 환상재혼담(還生再婚談)을 중심 플롯으로 삼국통일을 위한 화랑들의 무용담을 삽입시켜 놓았다. 그 내용은 신라 때 향랑이란 여인이 시부모의 학대를 견디다 못해 자살했으나 천제(天帝)의 은총으로 다시 속세에 환생하여 삼국통일에 크게 이바지했다는 이야기이다. 내용의 대부분은 향랑의 환상 재혼을 방해하는 마군과 천병과의 싸움을 그리고 있다. 이 작품은 숙종 때 선산 지방에서 일어난 향랑의 원사사건을 삼국시대로 소급시켜 불교의 윤회사상과 도교의 신선사상을 빌어 향랑을 환생재가시킴으로써 열녀 향랑의 원사를 풀어 주고자 했으며, 나아가 신라 화랑들의 무용담도 드러내고자 하는 작자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7) 육미당기
이 작품은 작자가 기존 고소설 수 편을 합하여 새로이 창작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어 조선 후기 소설론의 일면과 소설 작품의 양적 확대를 살펴보는 데 있어서도 주목되는 작품이다.
형제간의 모해담, 주인공 김소선의 결연담과 왜구 정벌담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초기 불교소설인 「선우태자전(善友太子傳)」, 「
김채봉과 강필성의 순결하고 진실한 애정이 공감을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중간에 삽입된 「채봉감별곡」은 그 자체가 하나의 완결된 가사로서 감동을 주지만 소설의 전체적인 이야기 전개를 단절시키는 역기능적인 면도 있다. 확실한 창작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조선 말기로 추정되는 신소설에 밀착된 작품으로서 소설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 작품은 순박한 강필성과 김채봉과의 로맨스를 그렸지만, 구직을 위해 매녀행위(賣女行爲)를 자행하는 김진사의 부패한 인간상, 애첩을 얻는 댓가로 김진사에게 벼슬을 주려는 매관매직하는 오리(汚吏)를 계자(誡刺)함으로써 조선 말엽의 양반 관료들의 부패상과 정치상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
2) 배비장전
이 작품은 서거정의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에 수록되어 있는 발치설화(拔齒說話)와 「동야휘집(東野彙集)」에 전하는 미궤설화(米櫃說話)의 합작이라고 한다. 그리고 다른 판소리계 소설과 마찬가지로 표현은 사실적이며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에도 비교적 성공한 작품이다. 전편의 풍자와 야유로써 점철되어 있으며, 배비장의 위선적인 이면 생활을 폭로하고 하류인 방자로 하여금 상전인 배비장에게 여지없는 창피를 주게 함으로써 독자에게 통쾌감을 주고 있다. 이 작품의 주제는 조선시대에 지배 계급에 속하는 배비장의 위선적이며 호색적인 생활상을 풍자 폭로하는 데 있다. 따라서 이 작품 역시 다른 판소리계 소설과 함께 평민문학의 성격을 띠고 신소설에 접근해 있는 근대적인 면을 지닌 풍자 소설의 백미라 할 수 있다.
3) 장화홍련전
이 작품의 주제는 악독한 계모에게 학대를 받다가 계모의 흉계에 죽어가는 전처소생의 자녀에 대한 동정과 연민의 눈물을 흘리게 하고 악행에 대한 증오심을 환기시켜 권선징악의 교훈성을 보이고자 하는 데 있다. 실화를 소재로 하여 어느 정도의 현실성을 가미하여 표현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4) 황월선전
이 작품은 활자본과 필사본이 있는데, 사건 전개를 암시하는 꿈만 제외하면 현실의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는 점이 다른 계모형 가정소설과 다른 점이다. 대부분의 계모형 가정소설은 계모와 그의 자녀가 전처소생의 자녀를 학대하는데 반해, 이 작품은 계모소생의 아들이 자기 어머니가 전처소생의 딸을 학대하는 것을 반대하고 어머니를 충고하면서 이복누이를 섬기다가 학대로 신음하는 누이를 구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계모형 소설은 시비들이 계모와 같이 전처소생의 자녀를 학대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반해, 이 작품에서는 시비가 전처소생의 자녀는 학대하는 계모를 죽이려다가 끝내는 학대 사건을 고발하는 점이 특이하다. 이런 점에서 전형적인 계모형 소설의 구성에서 벗어나 작자의 독특한 창의성이 엿보이는 작품이다. 더구나 언문일치의 문장이나 일상 용어의 구사나, 실생활의 사실적 표현, 등장 인물의 성격 묘사 등에서 비교적 성공한 계모형 가정소설로 규정될 수 있으며, 권선징악을 주제로 하고 있다.
5) 옥루몽
「옥루몽(玉樓夢)」은 몽자류소설로서 「구운몽」과 맥락을 이으며 군담소설의 종합적 발전을 보인 작품으로 주목된다. 천상 백옥루에서 상봉한 인연으로 죄를 입어 문창성(文昌星)과 제방선녀(帝傍仙女), 제천선(諸天仙), 여천요성(女天妖星), 홍난성(紅鸞星), 도화성(桃花星)은 인간 세상으로 쫓겨나게 된다. 문창성은 양창곡(楊昌曲)으로, 그밖의 선녀들은 강남홍(江南紅), 윤소저(尹小姐), 벽성선(碧城仙), 황소저(黃小姐), 일지련(一枝蓮)으로 태어나 서로 인연을 맺게 되는데, 남만을 평정하고 돌아온 양창곡은 결국 이들을 이처삼첩(二妻三妾)으로 맞아 부귀공명을 누리다가 다시 천상으로 돌아간다는 이야기이다.
천상의 문창성과 오선녀들이 인간계에 환생하여 인연에 따라 결연해 가는 과정은 「구운몽」과 같고, 과거 급제 후 혼인 문제로 간신과 대립을 보이는 정치적 갈등은 군담소설에서 보이는 것과 상통한다. 그리고 「옥루몽」에는 조선조 말기의 시대적 의미가 두드러지게 반영되어 있다. 결연 과정에서 기생 출신인 강남홍이 가장 발랄한 개성과 능력을 지닌 인물로 묘사된 것은 신분 위주의 가치관에서 능력 위주의 가치관으로 변모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드러낸 것이며, 상층의 대결인 정치적 갈등에서도 하층민으로 신분적 상승을 꾀한 양창곡과 세대 벌열인 노균과의 대결에서 양창곡이 승리는 「옥루몽」이 조선조 말기의 대표적인 귀족소설로서 양반 사대부의 공명주의를 집대성한 것이지만, 당시의 변모된 가치관과 시대 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63회의 장회체(章回體) 한문소설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6) 삼한습유
이 작품은 숙종 28년(1702년) 경북 선산 지방에서 일어난 열녀 향랑(香娘)의 원사(寃死)사건을 소재로 한 것인데, 주인공 향랑의 환상재혼담(還生再婚談)을 중심 플롯으로 삼국통일을 위한 화랑들의 무용담을 삽입시켜 놓았다. 그 내용은 신라 때 향랑이란 여인이 시부모의 학대를 견디다 못해 자살했으나 천제(天帝)의 은총으로 다시 속세에 환생하여 삼국통일에 크게 이바지했다는 이야기이다. 내용의 대부분은 향랑의 환상 재혼을 방해하는 마군과 천병과의 싸움을 그리고 있다. 이 작품은 숙종 때 선산 지방에서 일어난 향랑의 원사사건을 삼국시대로 소급시켜 불교의 윤회사상과 도교의 신선사상을 빌어 향랑을 환생재가시킴으로써 열녀 향랑의 원사를 풀어 주고자 했으며, 나아가 신라 화랑들의 무용담도 드러내고자 하는 작자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7) 육미당기
이 작품은 작자가 기존 고소설 수 편을 합하여 새로이 창작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어 조선 후기 소설론의 일면과 소설 작품의 양적 확대를 살펴보는 데 있어서도 주목되는 작품이다.
형제간의 모해담, 주인공 김소선의 결연담과 왜구 정벌담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초기 불교소설인 「선우태자전(善友太子傳)」, 「
추천자료
[고전소설]'홍계월전'을 읽고
2009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0년 동계계절시험 고전소설강독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의 이해] 판소리<춘향가>와 오페라<피가로의 결혼>의 비교 분석 및 특징과 유사성
2017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한국고전소설론] 몽유록의 장르 귀속 문제 교술과 서사의 경계 [교술 몽유록 서사 몽유록]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