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비영리조직시스템의 특징
2. 비영리의료기관(의료법인)의 특성
III. 결 론
Ⅱ. 본론
1. 비영리조직시스템의 특징
2. 비영리의료기관(의료법인)의 특성
III. 결 론
본문내용
이나 정신질환자의 치료를 목적으로 일상생활 동작훈련과 직업교 육, 또는 기술교육을 시행
약제과, 약제부 : 처방에 따라 약물 조제, 공급, 관리
외래진료부(out patient department, OPD) : 보행과 통원이 가능한 대상자의 진단 및 진료를 담당
응급실 : 응급 대상자들을 치료, 관리
수술실 : 대상자들의 수술 일체를 담당
회복실 : 수술실 내에 위치하며 수술 후 의식이 돌아올 때까지 대상자 간호
집중치료실,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 : 생명이 위독하거나 전문직 치료를 요하는 중환자들을 위해 첨단 의료장비와 시설, 숙달된 간호사들이 배치되어 집중적 치료 및 간호가 이루어짐
중앙물품 공급실(central supply room, CSR) : 무균적 기재 조작, 공급 관리
의무기록실 : 의무기록사가 의료시행에 관한 기록물과 정보 일체를 수집하여 구분, 정리, 보관
원무과 : 환자의 입퇴원에 관계된 모든 절차와 비용관련 업무 처리
보험심사과 : 의료보험공단의 보험심사기준에 의거하여 진료비 청구 및 사전심사 업무 담당
사회사업과(social service department) : 사회복지사가 환자치료시 발생되는 재정적 문제 또는 가족의 문제 해결을 위해 기금을 마련하고, 지원 활동 등을 담당한다.
가정간호과 : 퇴원 후 또는 집에서 요양 중인 대상자에게 가정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직접 치료와 간호를 수행하는 업무 담당
종교부 : 대상자와 가족에게 종교적 지지와 영적 위로를 제공
행정부 : 병원의 인사, 재무, 기획업무를 관장하며, 건물관리, 청소, 직원의 복지후생 등의 제반 문제 담당
영선부 : 병원의 전기, 수도, 목공, 기타 병원의 건물과 시설의 유지 및 보수 담당
<병동 부속 부서>
※ 병동(ward) : 병원의 기본단위, 환자 20~30명 입원
병실 : 1인용(독실), 2~6명의 환자 입원하는 공동병실
간호사실(nurse's station) : 동선을 짧게 하기 위해 병동의 중앙에 위치, 환자들의 모든 기록과 약물 등 비치, 24시간 동안 간호사가 있음
치료실 : 간호사실 옆에 위치, 치료용 장비뿐 아니라 진단용 장비 비치. 병실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대상자 치료 및 간호가 이루어짐
정비실 : 대개 치료실 옆에 위치, 병동 전체의 더러워진 세탁물, 변기, 농반, 배액병, 세면도구 등 각종 오물을 처리하는 곳, 병동 전체의 청결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넉넉한 공간이 필요.
배선실 : 병원의 규모에 따라 다르나 환자를 위한 음식은 식당에서 조리되어 병동으로 운반되며 배선실은 환자에게 음식을 배선할 때 필요한 간단한 기구가 비치되고 음식보관을 위한 온장 및 냉장 시설이 있게 된다. 대개 간호사실 옆에 위치
린넨실 : 세탁물을 청결하고 건조하게 보관하는 곳
창고 : 크레들, 의자식 변기(commode), 휠체어(weelchair), 들것 등의 각종 진료 및 간호용 보조기재와 비상시를 대비한 예비용 침대 등 보관
III. 결 론
비영리기관의 존재는 역사의 우연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대중적 요구에 대한 시장 및 정부기구가 갖는 태생적 한계, 민주주의 사회에 있어 평등한 개인들간에 협조와 협력을 증진시켜야만 하는 필요성, 다원주의와 자유에 대한 가치 등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관은 지역사회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실행 가능한 수단으로서, 그리고 진정한 '시민사회'의 결정적인 전제조건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최근들어 비영리기관에서는 기업의 ‘이익’과 같은 명확한 성과측정이 없기 때문에 사전적 . 사후적 관리가 철저하지 못하면 조직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어 목적을 달성하기는 커녕 존속의 문제가 제기될수 있기 때문에 중요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1. 참고도서
1) 심재영 저 (2007) 비영리조직경영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7.
2) 박병상 저 (2000) 병의원 개원 가이드, (주)에치피시, 2000.
3) 의료서비스산업 고도화와 과제 2007년 2월8일 삼성경제연구소, 강성욱,고정민
4) 의료기관 소유형태와 성과-문헌고찰을통한 시사점, 박지연
5) 한국의 의료법인 : 비영리조직의 관점, 동서연구, 황창순 제13권 제1호(2001) 171~190면
2. 인터넷 홈페이지
1) http://cafe.naver.com/canto24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2
약제과, 약제부 : 처방에 따라 약물 조제, 공급, 관리
외래진료부(out patient department, OPD) : 보행과 통원이 가능한 대상자의 진단 및 진료를 담당
응급실 : 응급 대상자들을 치료, 관리
수술실 : 대상자들의 수술 일체를 담당
회복실 : 수술실 내에 위치하며 수술 후 의식이 돌아올 때까지 대상자 간호
집중치료실,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 : 생명이 위독하거나 전문직 치료를 요하는 중환자들을 위해 첨단 의료장비와 시설, 숙달된 간호사들이 배치되어 집중적 치료 및 간호가 이루어짐
중앙물품 공급실(central supply room, CSR) : 무균적 기재 조작, 공급 관리
의무기록실 : 의무기록사가 의료시행에 관한 기록물과 정보 일체를 수집하여 구분, 정리, 보관
원무과 : 환자의 입퇴원에 관계된 모든 절차와 비용관련 업무 처리
보험심사과 : 의료보험공단의 보험심사기준에 의거하여 진료비 청구 및 사전심사 업무 담당
사회사업과(social service department) : 사회복지사가 환자치료시 발생되는 재정적 문제 또는 가족의 문제 해결을 위해 기금을 마련하고, 지원 활동 등을 담당한다.
가정간호과 : 퇴원 후 또는 집에서 요양 중인 대상자에게 가정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직접 치료와 간호를 수행하는 업무 담당
종교부 : 대상자와 가족에게 종교적 지지와 영적 위로를 제공
행정부 : 병원의 인사, 재무, 기획업무를 관장하며, 건물관리, 청소, 직원의 복지후생 등의 제반 문제 담당
영선부 : 병원의 전기, 수도, 목공, 기타 병원의 건물과 시설의 유지 및 보수 담당
<병동 부속 부서>
※ 병동(ward) : 병원의 기본단위, 환자 20~30명 입원
병실 : 1인용(독실), 2~6명의 환자 입원하는 공동병실
간호사실(nurse's station) : 동선을 짧게 하기 위해 병동의 중앙에 위치, 환자들의 모든 기록과 약물 등 비치, 24시간 동안 간호사가 있음
치료실 : 간호사실 옆에 위치, 치료용 장비뿐 아니라 진단용 장비 비치. 병실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대상자 치료 및 간호가 이루어짐
정비실 : 대개 치료실 옆에 위치, 병동 전체의 더러워진 세탁물, 변기, 농반, 배액병, 세면도구 등 각종 오물을 처리하는 곳, 병동 전체의 청결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넉넉한 공간이 필요.
배선실 : 병원의 규모에 따라 다르나 환자를 위한 음식은 식당에서 조리되어 병동으로 운반되며 배선실은 환자에게 음식을 배선할 때 필요한 간단한 기구가 비치되고 음식보관을 위한 온장 및 냉장 시설이 있게 된다. 대개 간호사실 옆에 위치
린넨실 : 세탁물을 청결하고 건조하게 보관하는 곳
창고 : 크레들, 의자식 변기(commode), 휠체어(weelchair), 들것 등의 각종 진료 및 간호용 보조기재와 비상시를 대비한 예비용 침대 등 보관
III. 결 론
비영리기관의 존재는 역사의 우연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대중적 요구에 대한 시장 및 정부기구가 갖는 태생적 한계, 민주주의 사회에 있어 평등한 개인들간에 협조와 협력을 증진시켜야만 하는 필요성, 다원주의와 자유에 대한 가치 등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관은 지역사회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실행 가능한 수단으로서, 그리고 진정한 '시민사회'의 결정적인 전제조건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최근들어 비영리기관에서는 기업의 ‘이익’과 같은 명확한 성과측정이 없기 때문에 사전적 . 사후적 관리가 철저하지 못하면 조직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어 목적을 달성하기는 커녕 존속의 문제가 제기될수 있기 때문에 중요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1. 참고도서
1) 심재영 저 (2007) 비영리조직경영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7.
2) 박병상 저 (2000) 병의원 개원 가이드, (주)에치피시, 2000.
3) 의료서비스산업 고도화와 과제 2007년 2월8일 삼성경제연구소, 강성욱,고정민
4) 의료기관 소유형태와 성과-문헌고찰을통한 시사점, 박지연
5) 한국의 의료법인 : 비영리조직의 관점, 동서연구, 황창순 제13권 제1호(2001) 171~190면
2. 인터넷 홈페이지
1) http://cafe.naver.com/canto24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2
추천자료
[비영리조직경영론] 사회복지단체를 시스템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설명하라
WHAT THE NONPROFITS ARE TEACHING BUSINESS(비영리조직이 기업에 가르치고 있는 것)
비영리조직론 방통대 경영학과 레포트
2009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시민단체의 비영리조직으로서의 특징)
2008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대학의 현황 및 경영상문제점)
2007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대학시스템)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C형
비영리조직(NPO)과 비정부 조직(NGO)
비영리조직의프로그램개발과마케팅믹스적용
2013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노령인구,저출산,질병양상,식생활변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