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유가의 윤리][유가의 인의][유가의 권력론][유가의 몰락][유가와 공자][유가와 제자백가]유가의 윤리, 유가의 인의, 유가의 권력론, 유가의 몰락, 유가와 공자, 유가와 제자백가 분석(유가,권력론,제자백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가][유가의 윤리][유가의 인의][유가의 권력론][유가의 몰락][유가와 공자][유가와 제자백가]유가의 윤리, 유가의 인의, 유가의 권력론, 유가의 몰락, 유가와 공자, 유가와 제자백가 분석(유가,권력론,제자백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유가의 윤리

Ⅲ. 유가의 인의

Ⅳ. 유가의 권력론

Ⅴ. 유가의 몰락
1. 외래문화의 도전과 문화 민족주의적인 응전: 유가의 몰락과 창조적 전환
2. 문화적 아이덴티티와 창조적 전형

Ⅵ. 유가와 공자

Ⅶ. 유가와 제자백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것에는 수정되어야 부분들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풍우란, 중국철학사, 정인재 역, 서울: 형설출판사, 1990, pp. 53 - 56)
(1) 유가(儒家)는 대체적으로 주 나라의 교육을 맡는 관직인 사도(司徒)의 출신이었다. 그들은 음양의 도에 순응하면서 군주를 도와 교화를 밝히는 것을 직책으로 삼았다. 이 학파는 어느 다른 학파보다 그 지위를 확실히 하였고, 6경을 즐겨 연구했으며, 인의 도덕에 뜻을 두었고, 요순(堯舜)의 시대를 동경하였으며, 공자(孔子)를 최고의 스승으로 삼아 학술을 닦았다.
(2) 도가(道家)는 대체로 사관(史官)의 출신들이었다. 그들은 성패, 존망, 화복 등 고금의 도를 빠짐없이 널리 기록하였으며 그 요점을 파악하여 근본을 알고자 하였다. 군주의 통치방법으로 청허한 마음, 그리고 욕심을 멀리하고 자신을 낮추며 유연한 태도를 가질 것을 가르쳤다. 그러나 도가는 본래 양주(楊朱)의 사상에서 그 근원을 가진 것이나 주로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사상을 말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유흠은 주로 노자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장자의 것은 언급하지 않았다. (3) 음양가(陰陽家)는 천지와 사계절의 변화에 대응하는 일을 관장하는 관리였던 희씨(羲氏)와 화씨(和氏)의 출신들이었다. 그들은 하늘을 삼가 존중하고 해와 달과 별들의 운행을 추산하여 천문을 보고 백성들에게 농사철을 일어 주었다. (4) 법가(法家)는 옥사(獄事)를 심리하던 이관(理官)의 출신들이었다. 그들은 상벌을 엄격하게 함으로써 예절의 제도적 관습을 보충하였다. (5) 명가(名家)는 예절을 관장하던 예관(禮官)의 출신들이었다. 옛날에는 명칭과 지위가 다르면 그에 따라서 예의와 범절도 달랐다. 공자는 사물의 질서와 행동의 도리를 바로 나타내어야(이름을 바로 붙여야) 한다고 하였다. 그 도리를 바로 나타내지 못하면 말이 순조로울 수가 없고 말이 순조롭지 못하면 어떤 일도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6) 묵가(墨家)는 종묘의 관리인 출신들이었다. 그들은 검약을 귀하게 여겼으며 겸애를 주장하였고 현인을 존경하였으며 묘제(廟祭)를 엄숙히 지내고 효도하는 생활을 천하에 보여 주었다. (7) 종횡가(縱橫家)는 나라의 외교를 맡은 관직인 행인(行人)의 출신들이었다. 그들은 일을 처리할 때 실제에 비추어 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국가의 명령을 접수하더라도 그것을 실제의 상황을 보고 처리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8) 잡가(雜家)는 간쟁하는 벼슬을 뜻하는 의관(議官)의 출신들이었다. 그들은 유가, 묵가, 명가, 법가의 학설을 한데 통합시켰다. 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도는 제가의 주장과 관행을 모두 구비하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여러 다른 주장에 대하여 관용성을 보였다. (9) 농가(農家)는 농업을 관장하던 벼슬인 농직(農稷)의 출신들이었다. 그들은 백성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곡식의 씨를 뿌리고 밭 갈며 누에치기를 권장하여 의식을 풍족하게 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10) 소설가(小說家)는 거리의 풍속을 기록하는 패관(稗官)의 출신들이었다. 그들은 거리에서 들은 것, 길에서 말한 것 등을 채집하여 이야기로 엮고 그것을 백성의 의견으로 수용하였다.
주 나라 말엽의 여러 학파를 일컬어 “제자백가”라고 하지만 유학(儒學)이 학술상의 정통이며 또한 주류였다. 제자백가는 모두 그 지류 혹은 아류이며 마치 해가 가운데 자리잡고 뭇 별들이 그 주위를 둘러 싼 격이라고 할 수 있다.[장기윤, 中國思想의 根源, 중국문화연구소 역, 서울: 문조사, 1989, P. 43] “유”(儒)라는 글자는 본래 “학자” 혹은 “문사”를 뜻하는 것이었다. 유에 속하는 사람들은 무엇보다도 옛 경전에 밝은 교사들이었고, 고대적 문화유산의 상속자들이었다. 공자는 이러한 사람들의 지도자였으므로 그의 사상을 따른 학자들이 “유가”(儒家)라고 부른 것이다. 춘추시대의 말엽까지만 하더라도 유가는 다만 직업상의 한 계급일 뿐이지 학파로서의 성격을 띤 것이 아니었다. 유가가 학파로서의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은 전국시대의 초엽이었다. [공자가 지었다고 알려져 있는 춘추(春秋)의 연대기에 포함된 부분을 “춘추시대”라고 부르나, 그것은 기원전 481년으로 끝난다. 보통은 그보다 훨씬 후인 기원전 5세기의 종말까지 춘추시대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사마광(司馬光)이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지어 기원전 403년 당시의 강국인 진(晋)이 한(韓), 위(魏), 조(趙)의 3국으로 분리된 시기부터의 역사를 기록하였고, 그 이후를 “전국시대”(戰國時代)라고 부르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공자가 죽은 후에 그 제자들 중에 어떤 이는 스승의 도를 이어 받아 사숙(私塾)을 열어 후진을 양성하고, 어떤 이는 연줄을 찾아 당시 전국시대의 어느 왕가의 조정에서 벼슬을 얻어 관료가 되거나 교육에 종사하거나 했다. 그들은 공자의 도를 전하면서 유학의 기초를 형성하고 하나의 독특한 학파로서의 세력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유가가 하나의 학파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자 이를 본받아, 그리고 이에 대항하여 새로운 학파를 개척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묵작(墨雀)의 사상을 이은 묵가(墨家)와 양주(楊朱)의 사상을 이은 도가(道家)가 그것이다. 장기윤(張其윤)은 유가가 도가와 묵가와 다른 점을 두 가지로 언급하였다.[P. 46] 하나는 자유의 개념에 관련된 것이다. 도가는 방임을 위주로 하고 묵가는 통제를 위주로 하여 극단적인 대립을 이루었으나. 유가는 중용을 숭상하여 예의 개념으로 둘을 절충하였다. 다른 하나는 평등의 개념에 관련된 것이다. 묵가는 겸애(兼愛)를 제창하고 도가는 제물(齊物)을 제창하여 모든 차별을 없앤 절대적 평등을 주장하였으나, 유가는 의(義)의 개념을 내세워 적절한 질서의 필요를 강조하고 차등주의를 표방하였다.
위의 세 학파 가운데 묵가의 사상은 후세의 사람들이 발전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한(漢) 나라 이후에는 더 이상 성행하지 못하였다. 전국시대의 제자백가 중에서 후에 사상의 양대 주류를 형성해 온 학파는 유가와 도가이다. 표면상으로 볼 때 극단적으로 대립되는 것 같이 보이기도 하지만, 풍우란은 둘은 동일한 막대기의 양쪽

키워드

유가,   권력론,   공자,   제자백가,   윤리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