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점도 있고 다시 어색한 분위기에서의 토론이 내키지 않았던 점도 있었습니다만 조원 분들도 조를 잘 만난 것 같다고 하셨고 저도 저희 조가 괜찬았습니다. 교수님을 통해서 알게된 시민강좌도 그렇고 이번 강의시간도 그렇고 많은 것을 얻어간다는 느낌이 듭니다. 이 글의 처음에 끝맺음이 빈약하다는 독자들의 말을 보고 책을 읽었다고 했는데 책을 끝마친 지금, 저는 끝맺음이 빈약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정의’라는 것을 한마디로 정의할 수 있을까요? 저도 그런 조바심이 있었지만 결국 풀기란 쉽지 않습니다. 독자들의 그 말은 다만 이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저와 같은 그 조바심을, 그 딜레마를, 정의란 1+1=2 같이 단언 할 수 없다는 저자의 집필목적에 긍정할 수 밖에 없는 그래서 생기는 투정때문은 아닐까요?
추천자료
행정의 가치
도덕성 발달이론과 이 이론들에 대한 비판 및 실제 적용 사례
[사범/법학]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도덕적 영역, 정신적 성장의 일반적 단계 관련자료
행정처분과 의견진술의 기회방법
기업의 사회적 성과 평가
사회주의 이념의 계승과 평가
민사소송의 4가지 이상 (적정, 공평, 신속, 경제)
[정치적 자유주의 서평]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서평
정의로운 국가
존 롤즈의 자유평등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갈등을 일으키는 사회복지실천 가치와 의무를 포함한 윤리적 쟁점
[사회복지] 사회복지 이념
[국제인권법 공통] 국가에게 국제인권의무를 부과하는 국제법의 연원을 국제사법재판소 규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