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s Transfer(결과Report)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as Transfer(결과Repor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목적

3. 실험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실험결과

본문내용

28
29
DO 농도(mg/L)
8.42
8.41
8.41
8.41
8.41
8.41
8.41
8.4
8.41
8.41
시간에 따른 DO 농도의 변화
Linear regression of the data
각 실험의 KLa값 계산(eq : ln[(Cs-C0)/(Cs-Ct)]=KLa(t-t0)
구 분
①번 실험
②번 실험
③번 실험
KLa
0.201
0.355
0.561
토 의
- 염도가 없을 경우의 물에 대한 산소의 용해도 값을 찾아본 결과 24℃에서 8mg/L로 나와있습니다.(탄혜수자원 연구소) ①, ②, ③번 실험의 결과값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DO의 농도가 8.40mg/L로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8.40mg/L 내외에서 더 이상의 용존산소(DO)가 녹아들어가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문헌값(8mg/L)과 실험값(8.40mg/L)가 어느정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①, ②, ③번의 실험에서 KLa값을 비교해보면, ①번과 ②번 실험에서의 조건에서 임펠라의 조건은 동일한 가운데 에어레이터의 대수를 늘림으로써 용존산소가 더 빨리 녹아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실험목적에서 기술한바와 같이, 믹싱에 의한 Turbulance 효과가 일어나 용존산소가 더 빨리 녹아들어가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②번과 ③번 실험을 비교해보면, 혼합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용존산소가 녹아들어가는 차이를 알 수 있는데, 임펠라의 속도가 빠를수록 녹아들어가는 용존산소의 속도가 빠른 것을 측정한 결과값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어레이터의 개수와 임펠라의 속도에 의해 용존산소(DO)는 물속에 빠르게 녹아들어감을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DO 농도변화나 Linear regression of the data의 결과값을 살펴보면, 초기의 결과값에서의 오차를 보이는데 이는 실험이 끝난 후 DO를 제거하기 위해 약품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DO값이 0이 된 후에 실험을 했어야 했는데, 시간에 쫓겨서 하다보니 DO값이 완전히 0이 되지못한 상태에서 실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초기 DO농도 변화의 불안정한 값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또한, 임펠라가 DO Meter에 닿아서 DO의 농도를 나타내는 과정에서 급격한 DO 농도변화를 보여주었던 것 같습니다.
다음에 또 Gas Transfer로 DO농도를 측정하게 된다면, 시간을 갖고 실험에서 보여주었던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해야할 것입니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4.14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