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연의 71 72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연의 71 7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삼국연의 제 71회 마주 대하는 산을 점거한 황충은 안일하여 수고로운 적을 대하며 한수에 근거한 조운은 적은 수로 대중을 이긴다.
삼국연의 72회 제갈량은 지략으로 한중을 취하니 조아만[조조]은 병사를 사곡으로 후퇴시킨다.

본문내용

便走。
군사급망구기 퇴후변주.
군사가 급히 바삐 구해 오니 뒤로 물러나 곧 달아났다.
張飛盡奪糧草車輛 輛(수레 량{양}; -총15획; liang)
而回。
장비진탈양초거량이회.
장비는 식량과 풀과 수레를 다 빼앗아 돌아왔다.
說衆將保着許,回見曹操。
각설중장보착허저 회견조조.
각설하고 여러 장수는 허저를 보호하고 돌아가 조조를 보았다.
操令醫士療治金瘡 金瘡:\'쇠붙이로 된 칼 ·창 ·화살 등으로 입은 상처
,一面親自提兵來與蜀兵決戰。
조령의사료치금창 일면친자제병래여촉병결전.
조조는 의사를 시켜 금창상을 치료하게 하며 한편으로 친히 스스로 병사를 일으켜 촉병과 결전하러 갔다.
玄德引軍出迎。
현덕인군출영.
유현덕이 군사를 인솔하여 나와 맞이하였다.
兩陣對圓,玄德令劉封出馬。
양진대원 현덕령유봉출마.
두 진이 둥글게 대치하니 유현덕은 유봉을 시켜 말을 내게 했다.
操罵曰:「賣履小兒:常使假子拒敵!吾若喚黃鬚兒 黃鬚兒: 수염이 누른 아이라 불리던 조창은 성정이 거칠며 뛰어난 무예를 자랑하던 장수
來,汝假子爲肉泥육니: (진흙처럼) 잘게 다진 고기.
矣!」
조매왈 매리소아 상사가자거적? 오약환황수아래 여가자위육니의.
조조가 욕하면서 말하길 “신발을 팔던 아이[유현덕]야 항상 가짜 자식[유봉]을 시켜 적을 막게 하는가? 내가 만약 황색 수염이 있는 아이를 부르면 네 가짜 자식은 묵사발이 될 것이다!”
劉封大怒,挺槍驟馬,逕取曹操。
유봉대노 정창취마 경취조조.
유봉이 크게 분노하여 창을 잡고 말을 몰아서 직접 조조를 취하였다.
操令徐晃來迎,封詐敗而走。
령조서황래영 봉사패이주.
조조가 서황을 시켜 맞이하니 유봉을 거짓으로 패배하여 달아났다.
操引兵追,蜀兵營中,四下砲響,鼓角齊鳴。
조인병추간 촉병영중 사하포향 고각제명.
조조가 병사를 인솔하고 추격하여 촉나라 병영안에 돌포가 사방이 울리니 북과 뿔피리가 일제히 울렸다.
操恐有伏兵,急退軍。
조공유복병 급교퇴군.
조조는 복병이 있을까 두려워서 급히 군사를 물리라고 시켰다.
曹兵自相踐踏,死者極多。
조병자상천답 사자극다.
조조 병사 스스로 서로 밟아서 죽은 사람이 지극히 많았다.
奔回陽平關,方歇定,蜀兵到城下,東門放火,西門喊;
분회양평관 방재헐정 촉병간도성하 동문방화 서문눌함.
양평관으로 돌아와서 바로 쉬며 안정하려는데 촉병사가 성아래로 추격이 이르러서 동문에 방화를 하며 서문은 함성을 질렀다.
南門放火,北門鼓。
남문방화 북문뢰고.
남문에 불을 내며 북문은 북을 울렸다.
操大懼,棄關而走。
조대구 기관이주.
조조가 크게 두려워서 양평관문을 버리고 달아났다.
蜀兵從後追襲。
촉병종후추습.
촉 병사는 뒤에서 추격하여 습격했다.
操正走之間,前面張飛引一枝兵截住,趙雲引一枝兵從背後殺來,黃忠又引兵從褒州殺來。
조정주지간 전면장비인일지병절주 조운인일지병배후살래 황충우인병종포주살래.
조조가 바로 달아나는 사이에 전면에 장비가 일지병을 인솔하고 끊고 조운은 일지병을 인솔하고 배후에서 죽이니 황충은 또한 병사를 인솔하여 포주에서 왔다.
操大敗。
조대패.
조조는 대패하였다.
諸將保護曹操,奪路而走。
제장보호조조 탈로이주.
여러 장수가 조조를 보호하고 길을 빼앗아 달아났다.
方逃至斜谷界口,前面塵頭忽起,一枝兵到。
방도지사곡계구 전면진두홀기 일지병도.
바로 달아나 사곡경계입구에 이르러서 전면에 먼지가 갑자기 일어나니 일지병이 이르렀다.
操曰:「此軍若是伏兵,吾休矣!」
조왈 차군약시복병 오휴의!
조조가 말하길 “이 군사가 만약 복병이 있다면 나는 끝장이다!”
及兵將近,乃操次子曹彰 曹彰: 자문(子文) 190~223 조조(曹操)의 셋째아들로 용력이 절륜하여 황수아(黃鬚兒)로 불리었는데 아버지의 권력에 무심하고 문(文)보다는 무(武)에 관심이 많아 어려서부터 무예에 열중하였다. 한중 쟁탈전에서는 적군에게 쫓기는 조조를 구해내었으며 오랑캐가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정복하여 공을 세웠다. 임성왕(任城王)에 책봉되었다.
也。
그병장근 내조차자조창야.
장병이 가까이에 이르니 조조의 차남인 조창이었다.
彰字子文,少善騎射;
창자자문 소선기사.
조창은 자가 자문으로 어려서 말타고 활쏘기를 좋아하였다.
力 力: 체력. 육체적인 힘
過人,能手格 格(바로잡을, 겨루다, 치다 격; -총10획; ge,ge)
猛獸。
배력과인 능수격맹수.
힘이 다른 사람보다 나아서 손으로 맹수를 때려잡을 수 있었다.
操嘗戒之曰:「汝不讀書而好弓馬,此匹夫之勇,何足貴乎?」
조상계지왈 여불독서이호궁마 차필부지용 하족귀호?
조조가 일찍이 조창을 경계하여 말하길 “너는 글을 읽지 않고 궁마를 좋아하니 이는 필부의 용기이니 어찌 족히 귀하겠는가?”
彰曰:「大丈夫當學衛 漢武帝때 거기장군 위청(衛)은 서하(西河)에 건너가 고궐(高闕)에 이르면서, 흉노(匈奴)를 격파 시켰다고 했다.
、去病 去病, BC 140~BC 117: 흉노(匈奴) 토벌에 큰 공을 세웠다. 곽중유(仲孺)가 위소아(衛少兒:무제의 위황후의 언니, 大將軍 衛靑의 손윗누이)와 밀통(密通)하여 낳은 아들인데, 무예에 뛰어나고 용감하였다고 한다.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곧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토벌에 나서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로 봉해졌다. 3년 후인 BC 120년 표기장군(驃騎將軍)이 되어 감숙(甘肅)으로 출정하고, 그해 여름에는 북방으로 말머리를 돌렸다. 이런 식으로 흉노토벌에 나간 일이 6차례였으며, 정예부대를 이끌고 대군(大軍)보다 먼저 적진 깊숙이 쳐들어가는 전법을 써서, 한제국의 영토 확대에 지대한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그 권세는 위청을 능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불과 24세로 죽자 무제는 크게 슬퍼하여, 장안(長安) 근교의 무릉(茂陵)에 무덤을 짓되, 일찍이 곽거병이 대승리를 거둔 기련산(祁連山:天山)의 형상을 따게 하여 그의 무공을 기렸다. 이 무덤은 지금도 무제릉(武帝陵) 가까이에 있으며, 무덤 앞에는 호인(胡人)을 밟고 선 석마(石馬)가 있다.
,立功沙漠,長驅 장구:멀리 말을 몰아감
數十萬衆,縱橫天下;何能作博士耶?」
창왈 대장부학당위청 곽거병 입공사막 장구수십만중 종횡천하. 하능작부사야?
조창이 말하길 대장부가 위청과 곽거병을 배워서 공을 사막에서 세워서 오랫동안 수십만 군사를 몰게 하며 천하를 종횡하여야 합니다. 어찌 널리 아는 선비가 되

키워드

조조,   삼국연의,   마초,   방덕,   한중,   위연,   조식,   조비
  • 가격8,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11.04.14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4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