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정보처리 접근법
3. 의사결정
4. 인식론적 이해
5. 청소년기 동안의 두뇌발달
6. 인지평가
7.성취도 검사
2. 정보처리 접근법
3. 의사결정
4. 인식론적 이해
5. 청소년기 동안의 두뇌발달
6. 인지평가
7.성취도 검사
본문내용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되는지가 아니라 얼마나 심도 있게 처리되는지에 의해 특정지어진다. 2차적 기억은 짧게는 30초에서 길게는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기억 저장에 있어 가장 의미 있는 변화는 장기 기억 능력이나 정보를 단기 기억 저장소에서 장기 기억 저장소로 옮기는 능력에서 나타난다. 청소년은 초기 성인보다 정보 인출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Kall, 1991). 또한 효과적으로 기억 저장을 사용하는 것도 초기 성인보다 덜 효율적이다. 예로, 인출시 도움이 되는 군집(cluster)방법을 나이든 어른들만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Lehman Morath Frank, & Elbaz, 1998). 거의 모든 피험자들(20-70세까지)은 연령에 관계없이 그들이 15-25세 였을 때 발생했던 사회·역사적 사건들을 가장 잘 기억할 수 있다는 사실은 기억력의 효율성이 가장 높은 시기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청소년기에 기억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일부는 아동기에 비해 부적절한 정보로 인해 기억이 혼란스러워지지는 않는다. Bjorklund와 Hamishfeger(1990)는 아동과 청소년에게 마지막 단어가 없는 문장(하지만 “바나나는 색깔이....”등과 같이 비교적 명백하고 확실한 선택이 되게끔 구성된)을 제시해주고 채워 넣게 했다. 예상치 못한 답이 정답이라는 결과를 얻게 되기도 한다. 그 다음, 각 문장에 대한 정답을 외우라고 지시 받은 뒤, 피험자는 정답과 추측한 오답의 목록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정답만을 기억했지만, 어린 피험자일수록 정답 단어뿐 아니라 추측하다가 틀린 답도 기억했다. 정답을 기억하는 데에만 주의집중했기 때문에 아동 피험자보다 더 많이 회상할 수 있었다.
나. 처리 속도
우리의 두뇌가 얼마나 빨리 정보를 지각하고 이용할 수 있느냐와 관련이 있다. 자극의 상세한 특징들을 얼마나 빠르게 인식하고 생각할 수 있는지에 영향을 준다. 처리 속도의 변화는 신경발달 및 수초화(myelinization)와 연결되어 있으며(Kail, 2000), 이것은 단기 기억 증진의 원인이 된다(Kail, 1997). 확장된 단기 기억은 차례로 지능, 합리성, 문제 해결능력의 향상을 유도한다. Fry와 Hale(1996)은 이 같은 일련의 향상을 ‘발달적 연쇄반응’이라고 명명했다.
다. 고전적 사고 처리 과정
기억 저장소에서 인출된 정보는 어떤 방식으로든 조작된다. Moshman(1997)은 세 단계의 고차적 처리 과정을 구분했는데, 각 단계는 청소년기에 발전한다.
1) 추리(inference)-사고 과정의 기본이며 오래된 정보로부터 새로운 사고를 일반화하는 능력이다. 어 린 아동조차도 무의식적 추론은 가능하지만, 새로운 사실을 추론하기 위해 이미 알 고 있는 것을 도출해 내는 능력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발전하다.
2) 사고(thinking)-보다 의식적이고 정보를 섬세하게 조화시킨다는 점에서 더욱 증진된 과정이다 (Moshman, 1997). 청소년은 아동보다 더 명확하고 계획적으로 사고한다(Lachman & Burack, 1989). 청소년의 사고가 증진되는 한 가지 이유는 더 어린 아동보다 부 정적 정보-그들의 가설을 반박하는-를 더 잘 사용한다는 점에 있다. 비록 수많은 확증들이 있을지라도 단 하나의 반대 사례만으로도 주어진 가정을 논박하기에 충분 하다고 이해하는 경향이 있는 청소년은 확증(affirmation)보다 부정(negation)에 더 의존한다.(Muller, Sokol, & Overton, 1999)
3) 추론(reasoning)-가장 정교화 된 인지이다. 이성적이고 유익하다고 믿는 바에 따라 사고를 제한하 고 억제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이는 성공적이
기억 저장에 있어 가장 의미 있는 변화는 장기 기억 능력이나 정보를 단기 기억 저장소에서 장기 기억 저장소로 옮기는 능력에서 나타난다. 청소년은 초기 성인보다 정보 인출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Kall, 1991). 또한 효과적으로 기억 저장을 사용하는 것도 초기 성인보다 덜 효율적이다. 예로, 인출시 도움이 되는 군집(cluster)방법을 나이든 어른들만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Lehman Morath Frank, & Elbaz, 1998). 거의 모든 피험자들(20-70세까지)은 연령에 관계없이 그들이 15-25세 였을 때 발생했던 사회·역사적 사건들을 가장 잘 기억할 수 있다는 사실은 기억력의 효율성이 가장 높은 시기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청소년기에 기억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일부는 아동기에 비해 부적절한 정보로 인해 기억이 혼란스러워지지는 않는다. Bjorklund와 Hamishfeger(1990)는 아동과 청소년에게 마지막 단어가 없는 문장(하지만 “바나나는 색깔이....”등과 같이 비교적 명백하고 확실한 선택이 되게끔 구성된)을 제시해주고 채워 넣게 했다. 예상치 못한 답이 정답이라는 결과를 얻게 되기도 한다. 그 다음, 각 문장에 대한 정답을 외우라고 지시 받은 뒤, 피험자는 정답과 추측한 오답의 목록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정답만을 기억했지만, 어린 피험자일수록 정답 단어뿐 아니라 추측하다가 틀린 답도 기억했다. 정답을 기억하는 데에만 주의집중했기 때문에 아동 피험자보다 더 많이 회상할 수 있었다.
나. 처리 속도
우리의 두뇌가 얼마나 빨리 정보를 지각하고 이용할 수 있느냐와 관련이 있다. 자극의 상세한 특징들을 얼마나 빠르게 인식하고 생각할 수 있는지에 영향을 준다. 처리 속도의 변화는 신경발달 및 수초화(myelinization)와 연결되어 있으며(Kail, 2000), 이것은 단기 기억 증진의 원인이 된다(Kail, 1997). 확장된 단기 기억은 차례로 지능, 합리성, 문제 해결능력의 향상을 유도한다. Fry와 Hale(1996)은 이 같은 일련의 향상을 ‘발달적 연쇄반응’이라고 명명했다.
다. 고전적 사고 처리 과정
기억 저장소에서 인출된 정보는 어떤 방식으로든 조작된다. Moshman(1997)은 세 단계의 고차적 처리 과정을 구분했는데, 각 단계는 청소년기에 발전한다.
1) 추리(inference)-사고 과정의 기본이며 오래된 정보로부터 새로운 사고를 일반화하는 능력이다. 어 린 아동조차도 무의식적 추론은 가능하지만, 새로운 사실을 추론하기 위해 이미 알 고 있는 것을 도출해 내는 능력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발전하다.
2) 사고(thinking)-보다 의식적이고 정보를 섬세하게 조화시킨다는 점에서 더욱 증진된 과정이다 (Moshman, 1997). 청소년은 아동보다 더 명확하고 계획적으로 사고한다(Lachman & Burack, 1989). 청소년의 사고가 증진되는 한 가지 이유는 더 어린 아동보다 부 정적 정보-그들의 가설을 반박하는-를 더 잘 사용한다는 점에 있다. 비록 수많은 확증들이 있을지라도 단 하나의 반대 사례만으로도 주어진 가정을 논박하기에 충분 하다고 이해하는 경향이 있는 청소년은 확증(affirmation)보다 부정(negation)에 더 의존한다.(Muller, Sokol, & Overton, 1999)
3) 추론(reasoning)-가장 정교화 된 인지이다. 이성적이고 유익하다고 믿는 바에 따라 사고를 제한하 고 억제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이는 성공적이
추천자료
인지이론발달
인지발달이론(認知發達理論)
인지발달보고서(영유아보육론)
피아제의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 행동주의
(A+) 아동발달이론 중 하나의 이론을 택하여 논하시오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아동발달이론 중 하나의 이론을 택하여 논하시오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보육과정 - 구성주의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과 비고스키 (Vyg...
[상호작용][사회적 상호작용][언어적 상호작용][상징적 상호작용][인지]사회적 상호작용, 언...
영유아 발달이론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내용을 정리하고 영유아 교수학습에 기대되는 효과에...
인지발달이론과 행동주의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함에 있어 나타날 수 있는 각각의 한계점...
인간의 발달과정 단계에서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정리...
인지발달 이론과 정신분석 이론의 영아기 특징을 기술하고 영아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를 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