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무
제 1 계명 -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
제 2 계명 -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제 3 계명 - “너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제 4 계명 -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2. 인간에 대한 의무
제 5 계명 - “네 부모를 공경하라”
제 6 계명 - “살인하지 말지니라”
제 7 계명 - “간음하지 말지니라”
제 8 계명 - “도덕질하지 말지니라”
제 9 계명 - “거짓 증거하지 말지니라”
3. 자신에 대한 의무
제 10 계명 - “너는 탐내지 말라...”
제 5 장
예언자들의 윤리
그들의 윤리는 학문적이거나 사색적인 도덕이 아니라 의롭고 살아계신 하나님 안에 기초한 도덕이었다.
1. 예언자의 배경
2. 예언자와 그의 임무
구약성서 속에서 쓰여진 “예언자”라는 용어는 하나님을 대신해서 그의 색성들에게 말하는 사람들에 적용되었다.
3. 신학적 전제와 윤리적 원칙
엄격한 의미로 신학자라고는 할 수 없지만 히브리 예언자들의 예언은 신학적인 내용을 지니고 있다. 윤리적으로는, 예언자들은 정의와 의, 자비, 그리고 사랑의 원칙들을 강조하였다.
4. 예언자의 문제점
예언자들은 하나님의 뜻에 일치하는 사회질서의 재건에 열정적인 관심을 가졌다.
5. 예언자들의 공헌
그들은 인간행동을 하나님의 의에 근거하게 했다. 양심은 참된 종교의 진리가 되었다. 예언자들은 종교와 도덕은 분리되지 않으며 히브리 사상을 의식으로부터 윤리적인 종교를 강조하는 쪽으로 다시 방향지우는 것임을 천명했다.
제 6 장
지혜자들의 윤리
이스라엘의 지혜는 사색적이기보다는 실천적이다.
1. 욥기의 윤리
욥기서의 중심 주제는 고난이 아니라 도덕성의 진정한 동기에 있다.
2. 시편의 윤리
진정한 번영은 하나님을 그들의 안내자로 삼는 자에게 있는 것이다.
3. 잠언의 윤리
잠언은 거의 전부가 하나의 실천적인 도덕에 관한 책이라고도 할 수 있다. 참된 지혜는 실천적인 이해이며 생명의 법칙으로서의 하나님의 뜻에 대한 순종인 것이다.
4. 전도서의 윤리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명령을 지킬지어다. 이것이 사람의 본분이니라”
5. 아가서의 윤리
참된 사랑의 신실성 속에 윤리적인 주옥을 포함시키고 있다. 구약성서의 종합적인 윤리개념은 인간의 이성이라기보다 하나님의 뜻이다.
제 7 장
그리스도 윤리의 특성
1. 완전한 도덕선생
윤리선생으로서 예수는 철저한 교육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예수께서 규범들을 가르치기보다 위애한 윤리적 원칙을 가르치신 사실은 그의 윤리로 하여금 보편성과 영구성을 갖게한다.
2. “예 것에서 나온 새로운 보배”
그의 도덕적 이상은 유대인들의 저작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들이다. 그리스도인의 궁극적인 규범은 어떤 법칙이나 신조, 윤리적인 체계가 아니라 인격적인 것이다. 그리스도 자신은 모든 성품과 행위의 궁극적인 기준이 되었다.
3. “그의 나라와 그의 의”
예수님을 “사로잡은 관녑”은 하나님 나라 혹은 하늘 나라이었다. 기독교인의 의의 규범은 단지 사회의 관계나 관습이 아니고 영원한 하나님의 의인 것이다.
제 8 장
그리스도 윤리의 내용
중심적인 주제는 하나님 나라의 의이다.
1. 산상수훈의 콘텍스트
2. 산상수훈의 내용
1) 기독교인의 성품의 표상 - 팔복(八福)은 그리스도인의 성품의 필수적인 요소로 제시하고 왕국에 관한 진정한 종교적 주제를 묘사해 주고 있다.
2) 세상에서의 기독교인의 영향
왕국시민의 영향력은 소금과 빛의 상징으로 묘사되고 있다.
3) 기독교인의 행위 - 율법의 옛 의를 새로운 사랑의 율법과 대조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웃에 대한 사랑에 관한 유대인들의 613가지의 율법을 축소해서 사랑을 중시
제 1 계명 -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
제 2 계명 -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제 3 계명 - “너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제 4 계명 -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2. 인간에 대한 의무
제 5 계명 - “네 부모를 공경하라”
제 6 계명 - “살인하지 말지니라”
제 7 계명 - “간음하지 말지니라”
제 8 계명 - “도덕질하지 말지니라”
제 9 계명 - “거짓 증거하지 말지니라”
3. 자신에 대한 의무
제 10 계명 - “너는 탐내지 말라...”
제 5 장
예언자들의 윤리
그들의 윤리는 학문적이거나 사색적인 도덕이 아니라 의롭고 살아계신 하나님 안에 기초한 도덕이었다.
1. 예언자의 배경
2. 예언자와 그의 임무
구약성서 속에서 쓰여진 “예언자”라는 용어는 하나님을 대신해서 그의 색성들에게 말하는 사람들에 적용되었다.
3. 신학적 전제와 윤리적 원칙
엄격한 의미로 신학자라고는 할 수 없지만 히브리 예언자들의 예언은 신학적인 내용을 지니고 있다. 윤리적으로는, 예언자들은 정의와 의, 자비, 그리고 사랑의 원칙들을 강조하였다.
4. 예언자의 문제점
예언자들은 하나님의 뜻에 일치하는 사회질서의 재건에 열정적인 관심을 가졌다.
5. 예언자들의 공헌
그들은 인간행동을 하나님의 의에 근거하게 했다. 양심은 참된 종교의 진리가 되었다. 예언자들은 종교와 도덕은 분리되지 않으며 히브리 사상을 의식으로부터 윤리적인 종교를 강조하는 쪽으로 다시 방향지우는 것임을 천명했다.
제 6 장
지혜자들의 윤리
이스라엘의 지혜는 사색적이기보다는 실천적이다.
1. 욥기의 윤리
욥기서의 중심 주제는 고난이 아니라 도덕성의 진정한 동기에 있다.
2. 시편의 윤리
진정한 번영은 하나님을 그들의 안내자로 삼는 자에게 있는 것이다.
3. 잠언의 윤리
잠언은 거의 전부가 하나의 실천적인 도덕에 관한 책이라고도 할 수 있다. 참된 지혜는 실천적인 이해이며 생명의 법칙으로서의 하나님의 뜻에 대한 순종인 것이다.
4. 전도서의 윤리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명령을 지킬지어다. 이것이 사람의 본분이니라”
5. 아가서의 윤리
참된 사랑의 신실성 속에 윤리적인 주옥을 포함시키고 있다. 구약성서의 종합적인 윤리개념은 인간의 이성이라기보다 하나님의 뜻이다.
제 7 장
그리스도 윤리의 특성
1. 완전한 도덕선생
윤리선생으로서 예수는 철저한 교육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예수께서 규범들을 가르치기보다 위애한 윤리적 원칙을 가르치신 사실은 그의 윤리로 하여금 보편성과 영구성을 갖게한다.
2. “예 것에서 나온 새로운 보배”
그의 도덕적 이상은 유대인들의 저작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들이다. 그리스도인의 궁극적인 규범은 어떤 법칙이나 신조, 윤리적인 체계가 아니라 인격적인 것이다. 그리스도 자신은 모든 성품과 행위의 궁극적인 기준이 되었다.
3. “그의 나라와 그의 의”
예수님을 “사로잡은 관녑”은 하나님 나라 혹은 하늘 나라이었다. 기독교인의 의의 규범은 단지 사회의 관계나 관습이 아니고 영원한 하나님의 의인 것이다.
제 8 장
그리스도 윤리의 내용
중심적인 주제는 하나님 나라의 의이다.
1. 산상수훈의 콘텍스트
2. 산상수훈의 내용
1) 기독교인의 성품의 표상 - 팔복(八福)은 그리스도인의 성품의 필수적인 요소로 제시하고 왕국에 관한 진정한 종교적 주제를 묘사해 주고 있다.
2) 세상에서의 기독교인의 영향
왕국시민의 영향력은 소금과 빛의 상징으로 묘사되고 있다.
3) 기독교인의 행위 - 율법의 옛 의를 새로운 사랑의 율법과 대조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웃에 대한 사랑에 관한 유대인들의 613가지의 율법을 축소해서 사랑을 중시
키워드
추천자료
기독교-요한복음을읽고(독후감)
[기독교 독후감]I Will Die Free를 읽고
[기독교 서평]'게으름'을 읽고...
[기독교 서적]선물을 읽고..
기독교의 이해 회심을 읽고
[역사학 개론] 기독교 관점 근대(포스트모던)역사학 비판
기독교입장에서본 철학사개론
기독교 교육학개론
칼빈의 기독교 강요를 읽고
기독교와 문학 주홍글씨를 읽고
순전한 기독교를 읽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고
[독후감/서평]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고
[기독교] 잠언을 읽고 (실천하고 싶은 구절과 느낀점) - 내가 실천하고 싶은 구절 - 잠언 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