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인터넷 주소란?
2.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3.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1) IPv6 표준화동향 : IPng
(2) IPv6의 특징
(3) IPv4에서 IPv6로의 전환
III. 결론
* 참고자료
II. 본론
1. 인터넷 주소란?
2.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3.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1) IPv6 표준화동향 : IPng
(2) IPv6의 특징
(3) IPv4에서 IPv6로의 전환
III.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v6는 현 IPv4 시스템들과의 완전한 상호동작성이 있으며 점진적으로 현 버전에서 IPv6의 전이를 위해 개발되었다. 당분간(적어도 10년 이상은) IPv4망과 IPv6망이 혼재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III. 결론
1994년 10월에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수는 약 4만개로서 약 1년간에 2배씩 접속 네트워크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 1995년 2월 IP에서 지원할 수 있는 38억 개의 사용 가능한 이름들 중 14억 개가 이미 할당되었다고 하며, 2005 +/- 5 년 사이에 나머지 부분들도 할당되어 포화상태가 되리라는 전망이다. 인터넷 사용자와 호스트(PC, 호스트, 통신장비, 이동전화, 가전제품, 제어장치 등)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2008년경에는 현재 약 42억개의 주소를 제공하는 32비트 체계의 IPv4의 주소가 고갈되어 인터넷 주소 요구를 따를 수 없게 된다.
* 참고자료
◇ http://cclab.konkuk.ac.kr/~clang/Multi.htm
◇ http://www.handell.co.kr/photo/text/index-ii.html
◇ http://www.etri.re.kr/news/99-11/etri2.htm
III. 결론
1994년 10월에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수는 약 4만개로서 약 1년간에 2배씩 접속 네트워크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 1995년 2월 IP에서 지원할 수 있는 38억 개의 사용 가능한 이름들 중 14억 개가 이미 할당되었다고 하며, 2005 +/- 5 년 사이에 나머지 부분들도 할당되어 포화상태가 되리라는 전망이다. 인터넷 사용자와 호스트(PC, 호스트, 통신장비, 이동전화, 가전제품, 제어장치 등)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2008년경에는 현재 약 42억개의 주소를 제공하는 32비트 체계의 IPv4의 주소가 고갈되어 인터넷 주소 요구를 따를 수 없게 된다.
* 참고자료
◇ http://cclab.konkuk.ac.kr/~clang/Multi.htm
◇ http://www.handell.co.kr/photo/text/index-ii.html
◇ http://www.etri.re.kr/news/99-11/etri2.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