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맞벌이가족의 개념
2. 맞벌이가족의 발생원인
3. 맞벌이가족의 현황
4. 맞벌이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2. 맞벌이가족의 발생원인
3. 맞벌이가족의 현황
4. 맞벌이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본문내용
규율방안 마련
2)미시적 복지대책
(1)육아지원서비스
* 현황
- 보육시설은 오후 7시 30분에 종료, 운영시간 연장하는 시설은 4%
- 종일제 유치원은 수요 충족에는 미흡
- 일시적으로 아이를 맡길수 있는 시간제 보육시설 부족
* 추진계획
- 시간연장형 보육서비스 및 시간제 보육서비스 지원확대
(06:3천명, 07:4천명 ........ 10:7천명 - 야간보육 위한 보육교사)
- 종일제 운영 유치원을 05년도 62.5% -> 10년도 100% 으로 확대
(2) 국공립 보육시설의 확대
*현황
-국공립 시설을 정부에 등록된 전국 보육시설의 6%정도이다. 교회 등이 운영하는 비영리기관을 합해 봐도 14%
- 생활보호대상자 자녀ㆍ장애아동ㆍ결손가정 자녀 등 우선 입소 대상자를 고려하면 중산층 자녀가 국공립 보육시설에 들어오기란 어렵다 나오며, 지방이나 농촌으로 갈수록 집 근처에서 국공립 시설을 찾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추진계획
- 취약지역 중심으로 영아보육 등 부족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공립 보육시설 신설
- 농어촌 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영유아 보육 및 방과 후 프로그램 연계
(3) 방과 후 보육서비스 활성화
*현황
- 맞벌이부부의 초등학생 자녀는 방과 후에 거의 방치되고 있는 형편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며 매우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므로 방과 후 보육서비스는 절실히 필요하다.
*추진계획
- 방과 후 부모의 자녀 보육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초등 보육프로그램 실시 확대
- 방과 후 보육, 교육 운영 시스템 연계, 통합
- 방과 후 학교 이용료 부담하기 곤란한 저소득층 학생에게는 바우처를 지급하여 교육기회에서 배제되지 않게 지원
(07: 기초생활수급자 -> 08: 차상위 계층)
(4) 직장보육시설의 확충
*현황
- 직장보육시설은 전체 보육시설 중 1%정도만을 차지하고 있고 직장보육시설 의무설치기준이 여성상시근로자 300인 이상으로 되어 있어 활성화 저조
*추진계획
-06년도 의무설치기준을 상시 근로자 500인 이상 또는 상시 여성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
(5)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현황
- 부모-자녀 관계 증진 프로그램, 학습지도 프로그램, 예능교육 프로그램, 부부관계의 질을 높여주는 레크리에이션이나 커뮤니케이션 향상 프로그램 등
- 법률상담이나 생활상담전화도 원조서비스
- 가족생활교육으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베이비시터 파견, 가정도우미 파견 등
* 가족생활교육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홍보로 활용도 높여야 함
#부모교육과 상담
보육시설에서의 부모교육과 상담은 ①부모가 아동의 성장발육을 이해함으로써 아동의 신체발달을 조장할 수 있고 ② 자녀양육에 대한 조언이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③ 부모와 교사가 함께 아동을 지도함으로써 인적 자원의 개발이 효율적(교육의 경제성)이라는 데 그 의의를 지닌다. 최근에 들어서는 발달된 인터넷의 덕분으로 시공간을 초월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해 부모교육과 상담이 실시될 수 있어, 한층 부모교육과 상담의 실시가 용이해졌다.
2)미시적 복지대책
(1)육아지원서비스
* 현황
- 보육시설은 오후 7시 30분에 종료, 운영시간 연장하는 시설은 4%
- 종일제 유치원은 수요 충족에는 미흡
- 일시적으로 아이를 맡길수 있는 시간제 보육시설 부족
* 추진계획
- 시간연장형 보육서비스 및 시간제 보육서비스 지원확대
(06:3천명, 07:4천명 ........ 10:7천명 - 야간보육 위한 보육교사)
- 종일제 운영 유치원을 05년도 62.5% -> 10년도 100% 으로 확대
(2) 국공립 보육시설의 확대
*현황
-국공립 시설을 정부에 등록된 전국 보육시설의 6%정도이다. 교회 등이 운영하는 비영리기관을 합해 봐도 14%
- 생활보호대상자 자녀ㆍ장애아동ㆍ결손가정 자녀 등 우선 입소 대상자를 고려하면 중산층 자녀가 국공립 보육시설에 들어오기란 어렵다 나오며, 지방이나 농촌으로 갈수록 집 근처에서 국공립 시설을 찾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추진계획
- 취약지역 중심으로 영아보육 등 부족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공립 보육시설 신설
- 농어촌 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영유아 보육 및 방과 후 프로그램 연계
(3) 방과 후 보육서비스 활성화
*현황
- 맞벌이부부의 초등학생 자녀는 방과 후에 거의 방치되고 있는 형편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며 매우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므로 방과 후 보육서비스는 절실히 필요하다.
*추진계획
- 방과 후 부모의 자녀 보육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초등 보육프로그램 실시 확대
- 방과 후 보육, 교육 운영 시스템 연계, 통합
- 방과 후 학교 이용료 부담하기 곤란한 저소득층 학생에게는 바우처를 지급하여 교육기회에서 배제되지 않게 지원
(07: 기초생활수급자 -> 08: 차상위 계층)
(4) 직장보육시설의 확충
*현황
- 직장보육시설은 전체 보육시설 중 1%정도만을 차지하고 있고 직장보육시설 의무설치기준이 여성상시근로자 300인 이상으로 되어 있어 활성화 저조
*추진계획
-06년도 의무설치기준을 상시 근로자 500인 이상 또는 상시 여성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
(5)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현황
- 부모-자녀 관계 증진 프로그램, 학습지도 프로그램, 예능교육 프로그램, 부부관계의 질을 높여주는 레크리에이션이나 커뮤니케이션 향상 프로그램 등
- 법률상담이나 생활상담전화도 원조서비스
- 가족생활교육으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베이비시터 파견, 가정도우미 파견 등
* 가족생활교육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홍보로 활용도 높여야 함
#부모교육과 상담
보육시설에서의 부모교육과 상담은 ①부모가 아동의 성장발육을 이해함으로써 아동의 신체발달을 조장할 수 있고 ② 자녀양육에 대한 조언이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③ 부모와 교사가 함께 아동을 지도함으로써 인적 자원의 개발이 효율적(교육의 경제성)이라는 데 그 의의를 지닌다. 최근에 들어서는 발달된 인터넷의 덕분으로 시공간을 초월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해 부모교육과 상담이 실시될 수 있어, 한층 부모교육과 상담의 실시가 용이해졌다.
추천자료
맞벌이 가족의 실태와 자녀양육
맞벌이 가족에 대하여
맞벌이 가족 연구
여성과 일- 맞벌이 부부가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맞벌이부부 자녀의 애착형성으로 인한 심리, 정서적인 문제와 가족복지측면에서의...
독신및 맞벌이 가족의 복지
맞벌이 가족
[사회복지A+]맞벌이 가족의 정의, 개념, 발생요인,현황, 실태, 특징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맞벌이부부의 개념 맞벌이부부의 현황 맞벌이부부 인터
맞벌이 가족
맞벌이 가족
맞벌이 가족의 장, 단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토론하시오
맞벌이 가족 형성 과정 발생 원인
우리나라 맞벌이 가족을 위한 정책의 문제점을 본인의 직간접적 경험에 비추어 설명한 후 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