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1. 가족에 대한 이해
1) 정상적인 가족이란?
(1) 문제 혹은 증상이 없는 가족?
(2) 평균적인 가족?
(3) 최적의 기능을 유지하는 가족?
(4) 정상적인 과정을 거치는 가족?
2) ‘정상적인 가족’에 대한 신화
(1) 전통적인 가족?
(2) 핵가족?
(3) 모든 가족에게 적용되는 규범?
(4) 적합한 성별역할?
(5) 섞으면 섞이나?
3) 가족에 대한 전통적인 임상적 관점
(1) 세대간 전승(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2) 공동의존(Codependency)?
4) 가족개입방법에 발전과 도전을 위한 이슈
(1) 임상가들은 가족의 정상성과 건강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가?
(2) 임상현장이외의 가족에 대한 경험이 있는가?
(3) 정상적인 과정을 병리적인 시각으로 보는 것은 없나?
(4) 병리적인 것을 정상적인 것으로 보는 것은 없나?
(5) 가족의 디스트레스를 정상적인 것으로 보는 것은 없나?
(6) 문화적 다양성이 고려되고 있나?:•gender / sexism
•문화 / 인종 / 계층
•다양한 인생주기
•상호작용효과
5) 결함에서 자원으로!
6) 체계로서의 가족
(1) 가족 pattern:•동맹(alliance)
•제휴(coalition)
•위계(hierarchy)
(2) 하위체계:•연령
•성별
•경계선
•생활주기
(3) 개인:•행동의 순환성(circular)
•행동의 보완성(complementary)
(4) 이행기(transitions)
(5) ‘작은 사회’로서의 가족
(6) ‘기관’가족 : 다중위기빈곤가족
2. 건강한 가족기능의 구성요소들
(1) 우리는 한가족이다!
(2) 우리는 서로 다르다!
(3) 나눔의 삶
(4) 잘 키우기
(5) 안정성
(6) 적응성
(7) 개방적 의사소통
(8) 효과적인 문제해결
(9) 신념체계의 공유
(10) 적절한 자원확보
1) 정상적인 가족이란?
(1) 문제 혹은 증상이 없는 가족?
(2) 평균적인 가족?
(3) 최적의 기능을 유지하는 가족?
(4) 정상적인 과정을 거치는 가족?
2) ‘정상적인 가족’에 대한 신화
(1) 전통적인 가족?
(2) 핵가족?
(3) 모든 가족에게 적용되는 규범?
(4) 적합한 성별역할?
(5) 섞으면 섞이나?
3) 가족에 대한 전통적인 임상적 관점
(1) 세대간 전승(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2) 공동의존(Codependency)?
4) 가족개입방법에 발전과 도전을 위한 이슈
(1) 임상가들은 가족의 정상성과 건강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가?
(2) 임상현장이외의 가족에 대한 경험이 있는가?
(3) 정상적인 과정을 병리적인 시각으로 보는 것은 없나?
(4) 병리적인 것을 정상적인 것으로 보는 것은 없나?
(5) 가족의 디스트레스를 정상적인 것으로 보는 것은 없나?
(6) 문화적 다양성이 고려되고 있나?:•gender / sexism
•문화 / 인종 / 계층
•다양한 인생주기
•상호작용효과
5) 결함에서 자원으로!
6) 체계로서의 가족
(1) 가족 pattern:•동맹(alliance)
•제휴(coalition)
•위계(hierarchy)
(2) 하위체계:•연령
•성별
•경계선
•생활주기
(3) 개인:•행동의 순환성(circular)
•행동의 보완성(complementary)
(4) 이행기(transitions)
(5) ‘작은 사회’로서의 가족
(6) ‘기관’가족 : 다중위기빈곤가족
2. 건강한 가족기능의 구성요소들
(1) 우리는 한가족이다!
(2) 우리는 서로 다르다!
(3) 나눔의 삶
(4) 잘 키우기
(5) 안정성
(6) 적응성
(7) 개방적 의사소통
(8) 효과적인 문제해결
(9) 신념체계의 공유
(10) 적절한 자원확보
본문내용
1) 생태체계 관점(Ecosystems Perspective)을 통한 조망
생태체계적 관점은 생태학의 개념과 일반체계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파생된 개념으로, 실천가의 관심을 인간과 환경이 상호 작용하는 방법에 기울이게 하며, 일반적인 체계의 구조와 성질을 설명해주는 고도로 추상화된 일반체계이론에 생태학의 인간주의적이고 실천적인 차원을 더하여 사회사업실천을 위한 이론틀로서의 유용성을 갖는다(장인협, 1989). 즉 생태체계적 관점은 문제정의를 병리적 상태의 반영이 아니라 주위사람, 사물, 장소, 조직, 관념, 정보, 가치 등을 포함하는 생태체계의 여러 요인들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생긴 생활상의 문제(김융일 외, 1995에서 재인용)로 정의한다. 이에 대한 개입방법도 특정의 개입방법을 고집 혹은 강조하지 않으며, 사회사업실천의 통합적 방법을 권장하고 원조활동의 영역도 개인, 환경 그리고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점으로 확대하고 있다. 즉 생태체계적 관점은 문제를 개념화시키는 방식, 목표를 공식화하는 방식, 원조활동의 영역 확대, 사회복지사의 역할 확장의 측면에서 유용성을 갖는다.
따라서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사회복지서비스는 클라이언트가 지역사회에서 생존하는 데 필요한 환경적 요구와 스트레스에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원조체계를 구성하는 데에 초점을 두게 된다. 즉 환경체계의 요구와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환경상의 원조체계를 획득,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Anthony & Liberman, 1992).
2) 강점 관점(Strength Perspective)을 통한 조망
강점관점은 모든 사람은 심리적 건강과 친사회적인 행동을 하는 선천적인 경향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관점이다. 즉 인간의 신체에 회복과 치유를 위한 자연스런 힘이 있는 것처럼 심리적 손상, 파괴된 관계, 그리고 삶의 여러 부분에서 일어나는 많은 상처들이 자연스러운 개인 내적인 힘이나 가족이나 다른 대인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힘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유하고 회복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힘에 대한 신념이 있다면 사회복지사는 그런 신념을 통해 치유의 힘을 받아들이고 클라이언트도 자연스러운 치유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조건과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김혜련 외, 2000에서 재인용). 즉 인간을 잠재력과 자기실현을 지향하는 존재로서 보는 이러한 인본주의적 관점은 사회복지사가 인간의 잠재적 자원, 강점, 창조성 같은 다중잠재력(multipotentiality)을 인정하는 기반을 형성한다(Miley 등, 1995:11 ; Thrasher & Mowbray, 1995:99 ; 양옥경•김미옥, 2000에서 재인용). 따라서 기존의 병리관점에서의 ‘문제’를 강점관점에서는 변화를 위한 ‘도전’으로 간주되며, 병리적 관점이 ‘과거 지향’이라고 한다면, 강점 관점은 ‘현재를 기반으로 한 미래’를 강조하고 있다. 즉 강점 관점이란 클라이언트를 독특한 존재로서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클라이언트의 결점보다는 강점에 초점을 두어 가능한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역량을 실현해 나가도록 돕고자 하는 것이다.
생태체계적 관점은 생태학의 개념과 일반체계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파생된 개념으로, 실천가의 관심을 인간과 환경이 상호 작용하는 방법에 기울이게 하며, 일반적인 체계의 구조와 성질을 설명해주는 고도로 추상화된 일반체계이론에 생태학의 인간주의적이고 실천적인 차원을 더하여 사회사업실천을 위한 이론틀로서의 유용성을 갖는다(장인협, 1989). 즉 생태체계적 관점은 문제정의를 병리적 상태의 반영이 아니라 주위사람, 사물, 장소, 조직, 관념, 정보, 가치 등을 포함하는 생태체계의 여러 요인들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생긴 생활상의 문제(김융일 외, 1995에서 재인용)로 정의한다. 이에 대한 개입방법도 특정의 개입방법을 고집 혹은 강조하지 않으며, 사회사업실천의 통합적 방법을 권장하고 원조활동의 영역도 개인, 환경 그리고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점으로 확대하고 있다. 즉 생태체계적 관점은 문제를 개념화시키는 방식, 목표를 공식화하는 방식, 원조활동의 영역 확대, 사회복지사의 역할 확장의 측면에서 유용성을 갖는다.
따라서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사회복지서비스는 클라이언트가 지역사회에서 생존하는 데 필요한 환경적 요구와 스트레스에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원조체계를 구성하는 데에 초점을 두게 된다. 즉 환경체계의 요구와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환경상의 원조체계를 획득,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Anthony & Liberman, 1992).
2) 강점 관점(Strength Perspective)을 통한 조망
강점관점은 모든 사람은 심리적 건강과 친사회적인 행동을 하는 선천적인 경향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관점이다. 즉 인간의 신체에 회복과 치유를 위한 자연스런 힘이 있는 것처럼 심리적 손상, 파괴된 관계, 그리고 삶의 여러 부분에서 일어나는 많은 상처들이 자연스러운 개인 내적인 힘이나 가족이나 다른 대인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힘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유하고 회복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힘에 대한 신념이 있다면 사회복지사는 그런 신념을 통해 치유의 힘을 받아들이고 클라이언트도 자연스러운 치유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조건과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김혜련 외, 2000에서 재인용). 즉 인간을 잠재력과 자기실현을 지향하는 존재로서 보는 이러한 인본주의적 관점은 사회복지사가 인간의 잠재적 자원, 강점, 창조성 같은 다중잠재력(multipotentiality)을 인정하는 기반을 형성한다(Miley 등, 1995:11 ; Thrasher & Mowbray, 1995:99 ; 양옥경•김미옥, 2000에서 재인용). 따라서 기존의 병리관점에서의 ‘문제’를 강점관점에서는 변화를 위한 ‘도전’으로 간주되며, 병리적 관점이 ‘과거 지향’이라고 한다면, 강점 관점은 ‘현재를 기반으로 한 미래’를 강조하고 있다. 즉 강점 관점이란 클라이언트를 독특한 존재로서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클라이언트의 결점보다는 강점에 초점을 두어 가능한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역량을 실현해 나가도록 돕고자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