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의 생산 및 판매 개황
2. 중국의 휴대폰산업 급성장
3. 시장동향
4. 향후 전망
5. 우리 업계의 대응 방안
2. 중국의 휴대폰산업 급성장
3. 시장동향
4. 향후 전망
5. 우리 업계의 대응 방안
본문내용
개방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국내 휴대폰 업계는 커다란 충격을 입게 될 것이며 특히 “상표부착”제조업체에 대한 영향이 클 것이다. 첫째는 시장 완전 개방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중저가 시장 경쟁은 더욱 격화될 것이며 둘째는 국내 업체들의 대외 의존도가 높은 일부 외국업체들은 이 기회를 빌어 국내 로컬 파트너를 따돌린 가능성이 크다. 이밖에 중저가 부품세트 수입이 고급 휴대폰 수입으로 대체될 것으로 보여 가격경쟁에서 많은 국산 제조업체들은 약세를 보일 것이다.
휴대폰별 판매/수출 비중 추이 (%)
1999
2000
2001
2002
판매
수출
판매
수출
판매
수출
판매
수출
모토로라
39.38
48.39
35.42
33.42
29.26
22.34
28.47
24.03
노키아
32.27
32.8
25.14
37.36
22.28
44.16
18.17
40.21
지멘스
5.95
3.87
8.14
5.37
9.65
13.68
4.66
16.32
에릭슨
6.44
5.51
9.23
10.22
6.48
11.75
2.09
7.69
합계
84
90.6
77.9
86.4
67.7
91.9
53.4
88.2
波
3.2
6.4
9.9
TCL
1
3
8.8
자료 : 信息産業部 經濟運行司
● 로컬 업체의 시장공략 비결
로컬 휴대폰 업체의 경우 시장공략에 있어서 외제브랜드로 석권된 주요 大都市를 피해 여타 잠재력을 갖춘 중소도시 공략에 진력해 왔다.
예를 들어 TCL의 경우 외제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은 주요도시에서의 정면대결을 피해 오히려 급속 성장이 예상되는 중소 도시를 타겟으로 설정하였다. 게다가 TV, 백색가전 등을 통해 상당한 브랜드 인지도와 유통망을 전국적으로 확보하고 있어 출하량을 빠르게 늘려갈 수 있었다.
이밖에 필요에 따라 제품 개발과 제조 부문은 아웃소싱을 통해 조달하고 자신들은 브랜드와 유통망 관리에 집중함으로써 빠른 성장을 이루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TCL, 버도우 등 일부 국산 휴대폰업체의 급속 성장은 휴대폰 업체의 전반적인 발전을 초래했다. 지난해 夏新, 南方高科 등 제조업체의 생산 및 판매 증가율은 무려 300% 이상 달했다.
주목할 점은 중국 로컬 업체들이 결코 중국의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저가 전략으로 세계적인 휴대폰 업체들과 경쟁을 펼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4. 향후 전망
현재 중국의 휴대폰 사용자 규모는 세계 1위에 올랐으나 보급률은 16.2%에 불과해 대만(96.6%), 홍콩(84.4%) 및 한국(60.8%)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만약 보급률 30%를 타겟으로 할 경우 국내 휴대폰 산업은 향후 3년간 고속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매년 휴대폰 신규 교체규모는 약 2천만대, 신규가입자는 6천만대에 달하여 2004년도 중국의 휴대폰 규모는 3.2억만명에 달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그동안 축적해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품질, 저렴한 가격 및 다양한 디자인 등으로 시장을 점차 확대, 금년도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의 39%(3,200만대)에 이어 50% 안팎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 信息産業部가 내놓은 예측에 의하면 금년도 중국의 휴대폰 신규 시장규모는 전년에 비해 15% 늘어난 6천만대에 달할 예정이다. 지난해말 현재 중국의 휴대폰 사용자는 2억661만명으로 40%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5. 우리 업계의 대응 방안
중국의 WTO 가입으로 휴대폰의 수입관세율이 0%로 인하되는 등 호조건에 힘입어 한국산 제품이 중국 휴대폰 전체 수입량의 70%에 육박하면서 중국 업체들이 한국 업체를 기술 협력의 파트너가 아니라 직접적인 경쟁자로 상대할 것으로 보인다.
금년 1/4분기 상하이 항을 통한 휴대폰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무려 5.3배나 증가한 66.4만대에 달한 가운데 특히 산 휴대폰이 탄탄한 기술력과 뛰어난 디자인 등 막강한 경쟁력을 과시하면서 주요 수입품으로 부상해 금년 1/4분기 수입물량은 전년 동기대비 무려 13배나 증가한 49.6만대에 달했다. 상하이 항 수입규모의 70% 이상을 차지한 셈이다.
중국은 휴대폰업체들의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서 한 걸음 발전했으나 아직까지 휴대폰 컬러화면 기술은 여전히 일본에 의존하며, 이밖에 휴대폰 이익의 30~50%를 점하는 모듈 역시 외제 수입에 의존하는 등 핵심기술의 완전 장악에는 시일이 소요된다.
따라서 중국 업체와의 경쟁과 협력 관계를 슬기롭게 유지해 나가면서 지속적인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여 특유의 기술 및 디자인 그리고 마케팅으로 중국시장을 공략해야 할 것이다.
휴대폰별 판매/수출 비중 추이 (%)
1999
2000
2001
2002
판매
수출
판매
수출
판매
수출
판매
수출
모토로라
39.38
48.39
35.42
33.42
29.26
22.34
28.47
24.03
노키아
32.27
32.8
25.14
37.36
22.28
44.16
18.17
40.21
지멘스
5.95
3.87
8.14
5.37
9.65
13.68
4.66
16.32
에릭슨
6.44
5.51
9.23
10.22
6.48
11.75
2.09
7.69
합계
84
90.6
77.9
86.4
67.7
91.9
53.4
88.2
波
3.2
6.4
9.9
TCL
1
3
8.8
자료 : 信息産業部 經濟運行司
● 로컬 업체의 시장공략 비결
로컬 휴대폰 업체의 경우 시장공략에 있어서 외제브랜드로 석권된 주요 大都市를 피해 여타 잠재력을 갖춘 중소도시 공략에 진력해 왔다.
예를 들어 TCL의 경우 외제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은 주요도시에서의 정면대결을 피해 오히려 급속 성장이 예상되는 중소 도시를 타겟으로 설정하였다. 게다가 TV, 백색가전 등을 통해 상당한 브랜드 인지도와 유통망을 전국적으로 확보하고 있어 출하량을 빠르게 늘려갈 수 있었다.
이밖에 필요에 따라 제품 개발과 제조 부문은 아웃소싱을 통해 조달하고 자신들은 브랜드와 유통망 관리에 집중함으로써 빠른 성장을 이루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TCL, 버도우 등 일부 국산 휴대폰업체의 급속 성장은 휴대폰 업체의 전반적인 발전을 초래했다. 지난해 夏新, 南方高科 등 제조업체의 생산 및 판매 증가율은 무려 300% 이상 달했다.
주목할 점은 중국 로컬 업체들이 결코 중국의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저가 전략으로 세계적인 휴대폰 업체들과 경쟁을 펼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4. 향후 전망
현재 중국의 휴대폰 사용자 규모는 세계 1위에 올랐으나 보급률은 16.2%에 불과해 대만(96.6%), 홍콩(84.4%) 및 한국(60.8%)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만약 보급률 30%를 타겟으로 할 경우 국내 휴대폰 산업은 향후 3년간 고속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매년 휴대폰 신규 교체규모는 약 2천만대, 신규가입자는 6천만대에 달하여 2004년도 중국의 휴대폰 규모는 3.2억만명에 달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그동안 축적해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품질, 저렴한 가격 및 다양한 디자인 등으로 시장을 점차 확대, 금년도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의 39%(3,200만대)에 이어 50% 안팎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 信息産業部가 내놓은 예측에 의하면 금년도 중국의 휴대폰 신규 시장규모는 전년에 비해 15% 늘어난 6천만대에 달할 예정이다. 지난해말 현재 중국의 휴대폰 사용자는 2억661만명으로 40%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5. 우리 업계의 대응 방안
중국의 WTO 가입으로 휴대폰의 수입관세율이 0%로 인하되는 등 호조건에 힘입어 한국산 제품이 중국 휴대폰 전체 수입량의 70%에 육박하면서 중국 업체들이 한국 업체를 기술 협력의 파트너가 아니라 직접적인 경쟁자로 상대할 것으로 보인다.
금년 1/4분기 상하이 항을 통한 휴대폰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무려 5.3배나 증가한 66.4만대에 달한 가운데 특히 산 휴대폰이 탄탄한 기술력과 뛰어난 디자인 등 막강한 경쟁력을 과시하면서 주요 수입품으로 부상해 금년 1/4분기 수입물량은 전년 동기대비 무려 13배나 증가한 49.6만대에 달했다. 상하이 항 수입규모의 70% 이상을 차지한 셈이다.
중국은 휴대폰업체들의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서 한 걸음 발전했으나 아직까지 휴대폰 컬러화면 기술은 여전히 일본에 의존하며, 이밖에 휴대폰 이익의 30~50%를 점하는 모듈 역시 외제 수입에 의존하는 등 핵심기술의 완전 장악에는 시일이 소요된다.
따라서 중국 업체와의 경쟁과 협력 관계를 슬기롭게 유지해 나가면서 지속적인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여 특유의 기술 및 디자인 그리고 마케팅으로 중국시장을 공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