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김치의 기원

1. 김치라는 말의 유래

2. 한국에서 김치가 발달한 이유

Ⅱ. 김치의 종류

1. 가지김치

2. 부추김치

3. 고추김치

4. 고구마줄기김치

5. 갓김치

6. 콩나물김치

7. 배추김치

8. 우엉김치

9. 고들빼기김치

10. 깍두기

Ⅲ. 각 지역별 김치의 특성

Ⅳ. 김치와 건강

1. 김치의 영양

2. 김치의 기능성

Ⅴ. 김치의 재료

Ⅵ. 계절에 따라 담그는 여러가지 종류의 김치들

본문내용

행, 잣, 사과 등이 있으며, 곡물 재료로는 쌀겨, 보리쌀, 찹쌀, 누룩, 밀가루, 엿기름, 좁쌀이 있다.
그 외 표고, 석이, 대나무잎과 동물성으로 작지, 굴, 조기, 동태, 새우, 낙지, 오징어, 쇠고기, 돼지고기, 계란, 대구, 문어, 연어
3) 조미, 향신료
향신료로는 파, 마늘, 고추가루, 생강, 부추, 겨자, 후추, 양파, 달래, 계피가루 등이 쓰이며, 일반 조미료로는 소금, 간장, 식초, 화학 조미료, 참기름, 감미료, 엿, 깨를 쓰며, 젓갈류로 새우젓, 멸치젓, 황새기젓, 갈치젓, 창란젓, 조개젓, 소라젓, 조기젓, 꼴두기젓, 곤쟁이젓을 사용한다.
4) 고춧가루의 이용
초기의 김치는 단순한 채소 절임에 지나지 않았으나 12세기 무렵부터는 각 종 향신채류를 가미한 독특한 김치가 생겨났으며, 16세기에 일본에서 도입된 고춧가루가 18세기 무렵부터는 김치에 본격적으로 이용되게 되었다. 특히 19세기에는 김장김치에 적합한 결구배추의 재배가 보급됨에 따라 현재와 같은 전형적인 김치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Ⅵ. 계절에 따라 담그는 여러가지 종류의 김치들
1) 봄 (3-5월) ... 돌나물김치, 햇배추김치, 파(봄)김치, 시금치김치, 봄갓김치, 얼가리김치, 미나리김치 등
2) 여름 (6-8월) ... 열무김치, 열무물김치, 부추김치, 오이소박이, 양배추김치 등
3) 가을 (9-11월) ... 고들빼기김치, 가지김치, 총각김치, 파(가을)김치, 고추잎 김치, 가을갓김치, 콩잎김치, 깻잎김치 등
4) 겨울 (12-2월) ... 섞박지, 통배추김치, 보쌈김치, 깍두기, 통무우김치, 백김 치, 동치미, 총각김치, 호박지 등
전통식품은 우리 고유의 것이고, 그 향미는 우리의 즐거움이자 아름다움이다. 앞으로 문화의 국제화 현상은 더욱 급속히 진행될 것이므로 이제 전통 식품은 전통'이라는 그 하나만을 고집할 수 없다. 따라서 전통식품은 국제화 지향 및 미래 지향적인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계승 발전되어야 한다.
도시화, 산업화 시대에 있는 오늘날 식생활에 있어서 가장 큰 요구 조건은 기호성, 간편성, 영양성이다. 독특한 특성을 지닌 정통식품은 그 자체의 과학적 규명과 관련기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러한 과학적 기술과 고도의 가공기술에 의하여 전통식품의 현대화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전통식품의 다양한 제품은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요구되고 있는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