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목차
Ⅰ. 단원명
Ⅱ. 단원의 연구
1. 단원의 도입 …………………………………………………- 2
2. 학습계열 ……………………………………………………… 3
3. 단원의 학습목표 ……………………………………………… 5
Ⅲ. 단원의 지도계획
1.학습의 지도계획 ……………………………………………… 6
2.평가 계획 및 방법 …………………………………………… 7
Ⅳ. 학습내용 정리 및 교재 연구
1. 진단 평가 - - - - - - - - - ………………………………-10
2. 호기심 열기(함께 생각하기) ………………………………- 12
3. 이론의 발전과정을 만화로 작성하기………………………- 12
4. 개념 트리 ……………………………………………………- 12
5. 학습 목표 ……………………………………………………--12
6. 소단원 도입 …………………………………………………--12
7. 창의적 탐구방법 ……………………………………………--12
8. 탐구활동 ………………………………………………………-13
9. 학습 내용 정리 ………………………………………………-15
10. 개념도 작성 ……………………………………………………-23
11. 관련 사이트 …………………………………………………- 27
12. 형성 평가 ………………………………………………………29
13. 사고력 키우기 …………………………………………………30
Ⅴ. 지도안 작성
1. 순환 학습 수업과정 모형과 선택한 이유 …………………-41
2. 지도안 - - - - - - - - - - - - - - - - -- - - - - - -41
(1) 학습 제목
(2) 학습 목표
(3) 지도 과정
1) 진단평가
2) 마인드 맵(개념트리)
3) 호기심 열기
4) 학습목표 확인하기
5) 탐구 방법
6) 탐구 실험으로 호기심 해결하기
7) 탐구 활동을 통해 얻은 원리 정리하기 및 적용하기
8) 역할극
9) 다양한 주장 만화로 제시
10) 스스로 해보기
11) 토론하기
12) 개념도 정리
13) V-map
14) 관련 내용 인터넷 사이트 소개
(4) 판서 내용 정리
(5) 평가
Ⅵ.참고문헌 ………………………………………………………………-46
Ⅱ. 단원의 연구
1. 단원의 도입 …………………………………………………- 2
2. 학습계열 ……………………………………………………… 3
3. 단원의 학습목표 ……………………………………………… 5
Ⅲ. 단원의 지도계획
1.학습의 지도계획 ……………………………………………… 6
2.평가 계획 및 방법 …………………………………………… 7
Ⅳ. 학습내용 정리 및 교재 연구
1. 진단 평가 - - - - - - - - - ………………………………-10
2. 호기심 열기(함께 생각하기) ………………………………- 12
3. 이론의 발전과정을 만화로 작성하기………………………- 12
4. 개념 트리 ……………………………………………………- 12
5. 학습 목표 ……………………………………………………--12
6. 소단원 도입 …………………………………………………--12
7. 창의적 탐구방법 ……………………………………………--12
8. 탐구활동 ………………………………………………………-13
9. 학습 내용 정리 ………………………………………………-15
10. 개념도 작성 ……………………………………………………-23
11. 관련 사이트 …………………………………………………- 27
12. 형성 평가 ………………………………………………………29
13. 사고력 키우기 …………………………………………………30
Ⅴ. 지도안 작성
1. 순환 학습 수업과정 모형과 선택한 이유 …………………-41
2. 지도안 - - - - - - - - - - - - - - - - -- - - - - - -41
(1) 학습 제목
(2) 학습 목표
(3) 지도 과정
1) 진단평가
2) 마인드 맵(개념트리)
3) 호기심 열기
4) 학습목표 확인하기
5) 탐구 방법
6) 탐구 실험으로 호기심 해결하기
7) 탐구 활동을 통해 얻은 원리 정리하기 및 적용하기
8) 역할극
9) 다양한 주장 만화로 제시
10) 스스로 해보기
11) 토론하기
12) 개념도 정리
13) V-map
14) 관련 내용 인터넷 사이트 소개
(4) 판서 내용 정리
(5) 평가
Ⅵ.참고문헌 ………………………………………………………………-46
본문내용
갈릴레이였다. 이후 케플러가 갈릴레이식보다 진보된 형태로 굴절 망원경을 만들었다. 17세기 중반부터 굴절 망원경의 한계로 새로운 형태의 망원경을 찾게 되었는데, 1668년 뉴턴에 의해 최초로 반사 망원경이 만들어졌다. 이 무렵에 그레고리는 뉴턴식과는 달리 뒤에서 볼 수 있는 망원경을 구상하였고, 후에 후크에 의해 완성되었다. 또 다른 하나는 카세그레인에 의해 설계된 망원경인데, 현재에도 쓰이는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으로 1971년에 처음 만들어졌다. 반사 망원경의 대구경화는 허셜에 의해 시작되어 로스로 이어졌다. 지금은 미국의 팔로마산의 5m 망원경, 러시아의 구경 6m 망원경, 단일 반사경은 아니지만 육각형 거울로 조합되어 10m 반사경의 성능을 지닌 미국의 케크 천문대의 대형 망원경까지 만들어져 대형 망원경의 종류는 대부분 반사 망원경으로 이루어져 왔다.
망원경의 능력은 구경에 의해 결정되지만 구경이 커지면 커질수록 배율이 높아지면서 시야는 좁아져 사람들은 높은 집광력과 넓은 시야의 관측 장비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래서 1930년 슈미트에 의해 발명된 슈미트 카메라로 굴절과 반사 광학계의 장점을 고루 갖춘, 새로운 형태의 망원경이 탄생되었다. 선호의 대상이 되는 슈미트 카세그레인식이라는 망원경을 낳게 되었다.
우리나라 보현산 천문대에는 1.8m 구경의 광학망원경이 건설되어 천체를 관측하고 있고, 대덕 천문대에는 13.5m 구경의 접시형 안테나를 가진 전파 망원경이 있다. 이러한 망원경의 발달은 천문가에게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망원경의 대형화와 정밀화 그리고 천문학의 저변 확대 등으로 많은 발전을 거듭하였다. 현재 아마추어 망원경의 추세는 PC를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 CCD를 이용한 화상 관측 및 촬영 등 전문가의 수준까지 파고들고 있다.
■ 태양의 감시자들
경상북도 영천에 있는 해발 1,230m의 보현산 정상에는 우리 나라 최대인 1.8m 구경의 반사 망원경을 갖춘 보현산 천문대가 있다. 이 곳에는 태양 망원경이 있는데, 이 망원경은 하루 종일 태양을 향하고 있고, 천문학자들은 이 망원경을 통하여 매일 태양을 관측하고 있다.
하얀색의 원통형 태양 망원경은 5개의 작은 망원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망원경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태양을 관측하고 있으며, 태양에서 플레어가 폭발해 급격한 변화가 감지되면 망원경에 연결된 컴퓨터는 자동으로 신호를 올려 연구원들에게 알려 준다. 태양에서 플레어가 폭발하면 2~3일 후에 지구에서는 오로라가 발생하고, 통신 위성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무선 통신에 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에 태양 활동을 감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태양 천문학자들은 태양을 감시하는 초병이면서, 평소에는 태양 물리 현상을 연구하는 이중적인 일을 수행한다. 특이한 관측 자료를 검출하면 컴퓨터가 즉시 경보음을 울려주므로 연구원들은 자신의 일상 연구를 몰두하고 있다가도 즉시 달려와 자료의 변화를 살필 수 있다.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미국의 기상 위성인 NOAA를 비롯해 세계 각지의 태양 관측소와 연결돼 있으므로 동시에 지구의 다른 곳에서 관측한 자료도 얻을 수 있다.
태양은 늘 변함없는 것 같지만 태양을 연구하는 전문 연구자의 눈에는 태양만큼 변화무쌍한 천체가 없다고 한다. 태양의 변화를 보여 주는 망원경에 연결된 검출기와 이 검출기에 연결된 컴퓨터의 화면을 보고 있노라면, 계속해서 태양의 모습이 변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들은 태양은 고용한 천체가 아니라 살아 있는 야생 동물 같다고 말한다.
홈페이지 http://www.boao.re.kr/~yhmoon/mainframe_han.htm
■ 7X50 쌍안경과 10X50 쌍안경
먼저 이것부터 알아두자. 쌍안경을 보면 O×O 같이 숫자가 적혀있다. 예를 들어 7X50, 10X50등이 있는데 앞의 것은 배율이고 뒤의 것은 쌍안경의 구경(mm)이다. 7배 또는 10배 이 두가지 배율의 50mm 쌍안경의 경우 10만원 내외로 구입이 가능하다. 하지만 쌍안경을 구입할때 있어 고배율을 살까 고민할 필요는 없다. 쌍안경은 7×10배가 넘으면 불편하기 때문이다. 7×50이 10×50보다 좋은 이유는 첫 번째 이유는 시야가 넓다는 것이다. 쌍안경의 최고 장점은 뭐니뭐니 해도 시야가 넓다는 데에 있다. 물론 싼 쌍안경의 경우엔 시야가 넓은 대신 주변상이 안 좋은 단점이 있긴 하지만 아무튼 이런건 생략하고...(요즘에는 배율이 높으면서 시야도 넓은 고급 쌍안경이 나오긴 한다. 대표적으로 칼자이스의 쌍안경 같은 것들... 7X50이 100만원을 호가한다.)
만약 쌍안경을 하나 가지고 있다면 다음 방법으로 테스트를 해보자. 대부분의 시야가 넓은 쌍안경의 경우 만곡 수차라는 수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를 확인하려면 전기줄을 쌍안경 시야의 주변에 두고서 쌍안경을 서서히 움직일 때 그 전기줄이 휘어셔서 보이나 안휘어져서 보이나 확인하면 된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서 눈으로 볼 때 10배와 7배의 차이는 극히 미미하다. 그러나 이에 따른 시야의 차이는 꽤 큰 편이다. 그리고 두번째 이유는 손떨림 때문인데, 7배의 경우 손떨림은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될 정도이다. 하지만 10배의 쌍안경을 쓰는 사람들은 손떨림이 관측에 조금씩 영향을 주기 시작한다. 그래서 삼각대에 연결을 하던가 해야 하는데 그럴 경우 작은 구경의 쌍안경이 가진 신속한 휴대성을 떨어뜨린다. 셋째로 아주 미미하지만 보이는 상은 7×50이 10×50 보다 밝다. 물론 두 쌍안경의 경우 사람의 동공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동공보다 커서 전혀 상관이 없기는 하다.
보충학습 및 심화학습
1. 보충학습
■ 망원경 설치 장소로 적당한 곳은 어디인가?
: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 망원경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먼저 주위가 탁 트인 곳이 좋다. 특히 남쪽 지평선에서나 볼 수 있는 전갈이나 궁수자리 부근의 은하중심을 보기 위해서는 남쪽 하늘이 트여 있어야 한다. 또한 망원경이 흔들리지 말아야 하므로 지반이 단단하고 흔들림이 없는 곳이 좋고, 어두운 딥스카이 등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주위에 불빛이 없고 달의 위상이 삭이나 초승, 그믐일 때가 좋다. 또 습기가 많게 되면 밤에 렌즈에 이슬이
망원경의 능력은 구경에 의해 결정되지만 구경이 커지면 커질수록 배율이 높아지면서 시야는 좁아져 사람들은 높은 집광력과 넓은 시야의 관측 장비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래서 1930년 슈미트에 의해 발명된 슈미트 카메라로 굴절과 반사 광학계의 장점을 고루 갖춘, 새로운 형태의 망원경이 탄생되었다. 선호의 대상이 되는 슈미트 카세그레인식이라는 망원경을 낳게 되었다.
우리나라 보현산 천문대에는 1.8m 구경의 광학망원경이 건설되어 천체를 관측하고 있고, 대덕 천문대에는 13.5m 구경의 접시형 안테나를 가진 전파 망원경이 있다. 이러한 망원경의 발달은 천문가에게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망원경의 대형화와 정밀화 그리고 천문학의 저변 확대 등으로 많은 발전을 거듭하였다. 현재 아마추어 망원경의 추세는 PC를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 CCD를 이용한 화상 관측 및 촬영 등 전문가의 수준까지 파고들고 있다.
■ 태양의 감시자들
경상북도 영천에 있는 해발 1,230m의 보현산 정상에는 우리 나라 최대인 1.8m 구경의 반사 망원경을 갖춘 보현산 천문대가 있다. 이 곳에는 태양 망원경이 있는데, 이 망원경은 하루 종일 태양을 향하고 있고, 천문학자들은 이 망원경을 통하여 매일 태양을 관측하고 있다.
하얀색의 원통형 태양 망원경은 5개의 작은 망원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망원경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태양을 관측하고 있으며, 태양에서 플레어가 폭발해 급격한 변화가 감지되면 망원경에 연결된 컴퓨터는 자동으로 신호를 올려 연구원들에게 알려 준다. 태양에서 플레어가 폭발하면 2~3일 후에 지구에서는 오로라가 발생하고, 통신 위성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무선 통신에 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에 태양 활동을 감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태양 천문학자들은 태양을 감시하는 초병이면서, 평소에는 태양 물리 현상을 연구하는 이중적인 일을 수행한다. 특이한 관측 자료를 검출하면 컴퓨터가 즉시 경보음을 울려주므로 연구원들은 자신의 일상 연구를 몰두하고 있다가도 즉시 달려와 자료의 변화를 살필 수 있다.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미국의 기상 위성인 NOAA를 비롯해 세계 각지의 태양 관측소와 연결돼 있으므로 동시에 지구의 다른 곳에서 관측한 자료도 얻을 수 있다.
태양은 늘 변함없는 것 같지만 태양을 연구하는 전문 연구자의 눈에는 태양만큼 변화무쌍한 천체가 없다고 한다. 태양의 변화를 보여 주는 망원경에 연결된 검출기와 이 검출기에 연결된 컴퓨터의 화면을 보고 있노라면, 계속해서 태양의 모습이 변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들은 태양은 고용한 천체가 아니라 살아 있는 야생 동물 같다고 말한다.
홈페이지 http://www.boao.re.kr/~yhmoon/mainframe_han.htm
■ 7X50 쌍안경과 10X50 쌍안경
먼저 이것부터 알아두자. 쌍안경을 보면 O×O 같이 숫자가 적혀있다. 예를 들어 7X50, 10X50등이 있는데 앞의 것은 배율이고 뒤의 것은 쌍안경의 구경(mm)이다. 7배 또는 10배 이 두가지 배율의 50mm 쌍안경의 경우 10만원 내외로 구입이 가능하다. 하지만 쌍안경을 구입할때 있어 고배율을 살까 고민할 필요는 없다. 쌍안경은 7×10배가 넘으면 불편하기 때문이다. 7×50이 10×50보다 좋은 이유는 첫 번째 이유는 시야가 넓다는 것이다. 쌍안경의 최고 장점은 뭐니뭐니 해도 시야가 넓다는 데에 있다. 물론 싼 쌍안경의 경우엔 시야가 넓은 대신 주변상이 안 좋은 단점이 있긴 하지만 아무튼 이런건 생략하고...(요즘에는 배율이 높으면서 시야도 넓은 고급 쌍안경이 나오긴 한다. 대표적으로 칼자이스의 쌍안경 같은 것들... 7X50이 100만원을 호가한다.)
만약 쌍안경을 하나 가지고 있다면 다음 방법으로 테스트를 해보자. 대부분의 시야가 넓은 쌍안경의 경우 만곡 수차라는 수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를 확인하려면 전기줄을 쌍안경 시야의 주변에 두고서 쌍안경을 서서히 움직일 때 그 전기줄이 휘어셔서 보이나 안휘어져서 보이나 확인하면 된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서 눈으로 볼 때 10배와 7배의 차이는 극히 미미하다. 그러나 이에 따른 시야의 차이는 꽤 큰 편이다. 그리고 두번째 이유는 손떨림 때문인데, 7배의 경우 손떨림은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될 정도이다. 하지만 10배의 쌍안경을 쓰는 사람들은 손떨림이 관측에 조금씩 영향을 주기 시작한다. 그래서 삼각대에 연결을 하던가 해야 하는데 그럴 경우 작은 구경의 쌍안경이 가진 신속한 휴대성을 떨어뜨린다. 셋째로 아주 미미하지만 보이는 상은 7×50이 10×50 보다 밝다. 물론 두 쌍안경의 경우 사람의 동공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동공보다 커서 전혀 상관이 없기는 하다.
보충학습 및 심화학습
1. 보충학습
■ 망원경 설치 장소로 적당한 곳은 어디인가?
: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 망원경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먼저 주위가 탁 트인 곳이 좋다. 특히 남쪽 지평선에서나 볼 수 있는 전갈이나 궁수자리 부근의 은하중심을 보기 위해서는 남쪽 하늘이 트여 있어야 한다. 또한 망원경이 흔들리지 말아야 하므로 지반이 단단하고 흔들림이 없는 곳이 좋고, 어두운 딥스카이 등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주위에 불빛이 없고 달의 위상이 삭이나 초승, 그믐일 때가 좋다. 또 습기가 많게 되면 밤에 렌즈에 이슬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