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대주의 신학
Ⅰ. 세대주의의 역사
1. 세대주의
2. 세대주의의 본질
3. 세대주의의 시작
2. 세대주의 교리
1. 특 징
3. 세대주의 논쟁
1. 내부적 - 교리 차이
2. 외부적 - 세대주의 체계가 신랄하게 비판
3. 논쟁의 예
4. 결 론
1. 긍정적 평가
2. 부정적 평가
근본주의 신학
Ⅰ. 근본주의의 역사
1. 근본주의
2. 근본주의 신학적 배경
3. 근본주의 논쟁
4. 결 론
여 성 신 학
Ⅰ. 여성신학의 태동
1. 여성신학
2. 여성 신학의 발전
3. 여성신학 논쟁
4. 결 론
과 정 신 학
Ⅰ. 과정신학의 태동
2. 과정신학설
1. 양극적 본성
2. 만유재신론(신고전적 유신론)
3. 무로부터의 창조
4. 과정 기독론
3. 과정 신학 논쟁
4. 결 론
현대 종말론의 흐름
Ⅰ. 자유주의 신학의 종말론
2. 철저한 종말론
3. 실현된 종말론
4. 실존적 종말론
5. 정치적 종말론
6. 결 론
Ⅰ. 세대주의의 역사
1. 세대주의
2. 세대주의의 본질
3. 세대주의의 시작
2. 세대주의 교리
1. 특 징
3. 세대주의 논쟁
1. 내부적 - 교리 차이
2. 외부적 - 세대주의 체계가 신랄하게 비판
3. 논쟁의 예
4. 결 론
1. 긍정적 평가
2. 부정적 평가
근본주의 신학
Ⅰ. 근본주의의 역사
1. 근본주의
2. 근본주의 신학적 배경
3. 근본주의 논쟁
4. 결 론
여 성 신 학
Ⅰ. 여성신학의 태동
1. 여성신학
2. 여성 신학의 발전
3. 여성신학 논쟁
4. 결 론
과 정 신 학
Ⅰ. 과정신학의 태동
2. 과정신학설
1. 양극적 본성
2. 만유재신론(신고전적 유신론)
3. 무로부터의 창조
4. 과정 기독론
3. 과정 신학 논쟁
4. 결 론
현대 종말론의 흐름
Ⅰ. 자유주의 신학의 종말론
2. 철저한 종말론
3. 실현된 종말론
4. 실존적 종말론
5. 정치적 종말론
6. 결 론
본문내용
의 계명
c. 하나님 나라에 관한 예수의 설교는 서로 대립되는 두 개의 극으로 구성 - 하나는 하나 님 나라를 하나님의 외적 통치로, 그리고 그것의 도래를 미래적인 사건으로 간주하는 것 이고 다른 하나는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내적 통치로, 도래를 이미 실현된 현재로 간 주하는 것
d, 예수의 설교에서 하나님 나라와 그 도래의 개념이 명료하게 제시되지 않음 - 전승된 것 과 예수 자신의 것이 혼합됨
e. 하나님 나라를 “개인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거룩한 하나님의 통치”로 이해
⑥ 자유주의 신학은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이나 미래적인 성격을 거부하고 현재적 성격을 강조한다. 따라서 종말론을 경시하고 그것을 진보적 역사관으로 대치했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를 윤리적 영역이나 네적 체험의 영역으로 제한했다.
2. 철저한 종말론
① 요하네스 바이스 - 자유주의 성서 해석의 기본 방법 수용
a. 저서 - 「하나님 나라에 관한 예수의 설교」
b. 종래의 예수 연구에 종지부를 찍고 신약 성서 연구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옴
② 리츨 -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가 하나님 나라라고 주장
③ 바이스 - 자유주의 신학의 종말론을 거부하고, 신약성서에 근거하여 하나님 나라에 대한 예수 자신의 견해를 밝힘
a. 하나님 나라는 초월적이며 현세적이다
b. 하나님 나라는 현재가 아닌, 미래에 대한 문제이다
c. 하나님 나라는 작은 시작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극적인 활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d. 예수의 사명은 하나님 나라를 창건하거나 선포하는 것이 아니었다
e. 공헌 - 예수의 초기 교회의 종말론적 신념을 인식하고 예수가 실제로 이해한 하나님 나라가 무엇이었는지 발견하려고 한 것
④ 슈바이처 - 예수의 공생애 전체가 그의 종말론적 신념과의 관계에 의해 설명되어야 한 다고 주장(“철저한 종말론” 용어 사용)
a. 예수의 설교의 핵심적 요소는 그의 재림이다
b. 예수는 하나님 나라를 현재적인 것이 아니라 미래적인 것으로 생각했다
c. 하나님 나라에 대한 예수의 개념은 묵시 문학으로부터 유래했다
d. 예수는 하나님 나라가 도래할 시기에 대해 오해했으며, 그의 종말론적 기대는 환상에 그치고 말았다
⑤ 철저한 종말론은 바이스가 시작하고 슈바이처가 완성
⑥ 비판 - 하나님 나라의 미래성만을 강조하고 그 현재성을 인식하지 못함
3. 실현된 종말론
① 찰스다드 - 종말론에 대한 새로운 방향 제시
a. 예수의 초림과 함께 하나님 나라가 실현됨 - 실현된 종말론 제시
b. 예수는 하나님 나라를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어떤 것이 아닌 현재의 경험으로 취급
c. 종말은 미래로부터 현재에로, 기대의 영역으로부터 실현된 경험의 영역에로 이동함했 다고 주장
d. 저서 - 「사도적 설교와 그 발전」
주의 날에 대한 성서적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종말론을 체계화함
e. 그리스도의 재림, 심판의 날, 새 땅 등과 같이 신약에서 발견되는 미래적 요소들을 교 회가 예수의 재림의 연기를 설명하기 위해 유대인의 묵시 문학으로부터 도입하여 나 중에 첨부한 것으로 해석
f. 미래 종말론 - 기독교 본래의 것이 아니며 유대 묵시 문학의 자료에 근거하여 후대에 재구성된 종말론으로 취급
g. 슈바이처의 철저한 종말론의 반동으로 제시된 것
h. 공헌 - 하나님 나라의 미래를 교적한 것
4. 실존적 종말론
① 루돌프 불트만(1884-1976)
a. 신학적 과제 -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현대인에게 어떻게 해석되는가
b. 문제의 해결책 - 비신화화 → 성서의 기록을 실제로 일어난 것에 대한 객관적 또는 문자적인 설명이 아니라, 오히려 성서 저자들에게 실전적으로 일어났 던 것을 신화를 사용하여 표현한 것으로 이해
※ 비신화화란 초월적인 것을 이 세상의 것으로 말하는 것이며 성서의 진리에 대한 당시 의 해석을 현세적으로 고치는 것이다. 그리고 신화적 개념들 배후에 있는 보다 심원한 의미를 되찾으려고 하는 신학적 해석 방법
c. 실전주의 철학, 특히 하이데거의 철학적 개념들을 사용
d. 신약성서의 메시지는 실존적, 종말론 역시 비신화화 작업의 일부로 취급
- 실존적 종말론 제시
e. 실존적 종말론 - 미래에 일어날 문자적 사건에 관계된 것이 아니라 현재의 경험과 관 계. 하나님 나라의 도래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고 인간에게 무엇을 의미하는 가에 관심을 둠
f. 실존적 종말론의 근거 - 사도 바울과 요한에서 찾음
g. 종말론의 특징 - 종말의 미래적인 면을 완전히 부정하고 그 현재적이며 실존적인 면 만을 강조한 것이며, 이것의 그의 종말론의 약점이기도 함
5. 정치적 종말론
① 위르겐 몰트만
a. 저서 - 「희망의 신학 - 체계적으로 제시」
b. 신학적 사고의 주제 - 희망 (기독교인들은 희망의 주제를 재주장하여 현재의 사회적, 정치적인 문제에 대하여 책임을 가져야함)
c. 종말론 - 신학의 뒷부분이 아닌 신학의 시작
신학의 한 부분이 아닌 신학의 전체로 간주
d. 희망신학 - 기독교는 “전적으로 종말론이며 앞을 향한 전망과 성취이다. 그것은 또한 현재의 혁신과 변화이다. 종말론적인 것은 기독교의 한 요소가 아니라 기 독교 신앙의 매개체”이다.
e. 기독교 종말론 -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미래에 대해 말하는 것이며 그언어는 “이스라 엘의 언어와 희망과 경험을 만들어 냈던 약속”이다
f. 하나님의 계시와 약속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약속은 어떤 사건 속에서 성취되어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는 미래를 가르쳐 주는 잔여물이 있음 - 역사 안에서 일회 적인 사건으로 끝나지 않고 미래적인 측면이 있음
g. 미래적 종말론 - 희망의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미래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
6. 결 론
①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을 기점으로 전개된 종말론은 하나님 나라가 현재적이냐 아니면 미래적이냐 하는 것을 핵심 주제로 삼음
② 리츨, 하르낙, 다드, 불트만 - 하나님 나라를 현재적인 것으로 간주
③ 종말론은 성경의 핵심적 교훈이며, 신학의 중요한 주제임
④ 종말론은 기독교의 여러 교리 중의 하나이지 몰트만의 주장처럼 신학의 전체는 아님
- 교리 전체를 종말론으로 전환하거나 종말론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신학을 왜곡시켜서는 안될 것임
c. 하나님 나라에 관한 예수의 설교는 서로 대립되는 두 개의 극으로 구성 - 하나는 하나 님 나라를 하나님의 외적 통치로, 그리고 그것의 도래를 미래적인 사건으로 간주하는 것 이고 다른 하나는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내적 통치로, 도래를 이미 실현된 현재로 간 주하는 것
d, 예수의 설교에서 하나님 나라와 그 도래의 개념이 명료하게 제시되지 않음 - 전승된 것 과 예수 자신의 것이 혼합됨
e. 하나님 나라를 “개인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거룩한 하나님의 통치”로 이해
⑥ 자유주의 신학은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이나 미래적인 성격을 거부하고 현재적 성격을 강조한다. 따라서 종말론을 경시하고 그것을 진보적 역사관으로 대치했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를 윤리적 영역이나 네적 체험의 영역으로 제한했다.
2. 철저한 종말론
① 요하네스 바이스 - 자유주의 성서 해석의 기본 방법 수용
a. 저서 - 「하나님 나라에 관한 예수의 설교」
b. 종래의 예수 연구에 종지부를 찍고 신약 성서 연구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옴
② 리츨 -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가 하나님 나라라고 주장
③ 바이스 - 자유주의 신학의 종말론을 거부하고, 신약성서에 근거하여 하나님 나라에 대한 예수 자신의 견해를 밝힘
a. 하나님 나라는 초월적이며 현세적이다
b. 하나님 나라는 현재가 아닌, 미래에 대한 문제이다
c. 하나님 나라는 작은 시작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극적인 활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d. 예수의 사명은 하나님 나라를 창건하거나 선포하는 것이 아니었다
e. 공헌 - 예수의 초기 교회의 종말론적 신념을 인식하고 예수가 실제로 이해한 하나님 나라가 무엇이었는지 발견하려고 한 것
④ 슈바이처 - 예수의 공생애 전체가 그의 종말론적 신념과의 관계에 의해 설명되어야 한 다고 주장(“철저한 종말론” 용어 사용)
a. 예수의 설교의 핵심적 요소는 그의 재림이다
b. 예수는 하나님 나라를 현재적인 것이 아니라 미래적인 것으로 생각했다
c. 하나님 나라에 대한 예수의 개념은 묵시 문학으로부터 유래했다
d. 예수는 하나님 나라가 도래할 시기에 대해 오해했으며, 그의 종말론적 기대는 환상에 그치고 말았다
⑤ 철저한 종말론은 바이스가 시작하고 슈바이처가 완성
⑥ 비판 - 하나님 나라의 미래성만을 강조하고 그 현재성을 인식하지 못함
3. 실현된 종말론
① 찰스다드 - 종말론에 대한 새로운 방향 제시
a. 예수의 초림과 함께 하나님 나라가 실현됨 - 실현된 종말론 제시
b. 예수는 하나님 나라를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어떤 것이 아닌 현재의 경험으로 취급
c. 종말은 미래로부터 현재에로, 기대의 영역으로부터 실현된 경험의 영역에로 이동함했 다고 주장
d. 저서 - 「사도적 설교와 그 발전」
주의 날에 대한 성서적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종말론을 체계화함
e. 그리스도의 재림, 심판의 날, 새 땅 등과 같이 신약에서 발견되는 미래적 요소들을 교 회가 예수의 재림의 연기를 설명하기 위해 유대인의 묵시 문학으로부터 도입하여 나 중에 첨부한 것으로 해석
f. 미래 종말론 - 기독교 본래의 것이 아니며 유대 묵시 문학의 자료에 근거하여 후대에 재구성된 종말론으로 취급
g. 슈바이처의 철저한 종말론의 반동으로 제시된 것
h. 공헌 - 하나님 나라의 미래를 교적한 것
4. 실존적 종말론
① 루돌프 불트만(1884-1976)
a. 신학적 과제 -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현대인에게 어떻게 해석되는가
b. 문제의 해결책 - 비신화화 → 성서의 기록을 실제로 일어난 것에 대한 객관적 또는 문자적인 설명이 아니라, 오히려 성서 저자들에게 실전적으로 일어났 던 것을 신화를 사용하여 표현한 것으로 이해
※ 비신화화란 초월적인 것을 이 세상의 것으로 말하는 것이며 성서의 진리에 대한 당시 의 해석을 현세적으로 고치는 것이다. 그리고 신화적 개념들 배후에 있는 보다 심원한 의미를 되찾으려고 하는 신학적 해석 방법
c. 실전주의 철학, 특히 하이데거의 철학적 개념들을 사용
d. 신약성서의 메시지는 실존적, 종말론 역시 비신화화 작업의 일부로 취급
- 실존적 종말론 제시
e. 실존적 종말론 - 미래에 일어날 문자적 사건에 관계된 것이 아니라 현재의 경험과 관 계. 하나님 나라의 도래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고 인간에게 무엇을 의미하는 가에 관심을 둠
f. 실존적 종말론의 근거 - 사도 바울과 요한에서 찾음
g. 종말론의 특징 - 종말의 미래적인 면을 완전히 부정하고 그 현재적이며 실존적인 면 만을 강조한 것이며, 이것의 그의 종말론의 약점이기도 함
5. 정치적 종말론
① 위르겐 몰트만
a. 저서 - 「희망의 신학 - 체계적으로 제시」
b. 신학적 사고의 주제 - 희망 (기독교인들은 희망의 주제를 재주장하여 현재의 사회적, 정치적인 문제에 대하여 책임을 가져야함)
c. 종말론 - 신학의 뒷부분이 아닌 신학의 시작
신학의 한 부분이 아닌 신학의 전체로 간주
d. 희망신학 - 기독교는 “전적으로 종말론이며 앞을 향한 전망과 성취이다. 그것은 또한 현재의 혁신과 변화이다. 종말론적인 것은 기독교의 한 요소가 아니라 기 독교 신앙의 매개체”이다.
e. 기독교 종말론 -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미래에 대해 말하는 것이며 그언어는 “이스라 엘의 언어와 희망과 경험을 만들어 냈던 약속”이다
f. 하나님의 계시와 약속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약속은 어떤 사건 속에서 성취되어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는 미래를 가르쳐 주는 잔여물이 있음 - 역사 안에서 일회 적인 사건으로 끝나지 않고 미래적인 측면이 있음
g. 미래적 종말론 - 희망의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미래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
6. 결 론
①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을 기점으로 전개된 종말론은 하나님 나라가 현재적이냐 아니면 미래적이냐 하는 것을 핵심 주제로 삼음
② 리츨, 하르낙, 다드, 불트만 - 하나님 나라를 현재적인 것으로 간주
③ 종말론은 성경의 핵심적 교훈이며, 신학의 중요한 주제임
④ 종말론은 기독교의 여러 교리 중의 하나이지 몰트만의 주장처럼 신학의 전체는 아님
- 교리 전체를 종말론으로 전환하거나 종말론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신학을 왜곡시켜서는 안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