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Ⅱ. 本文
1. 첫 곡은 쓰가루샤미센 독주 ‘쯔가루죠가라부시’
2. 두 번째 곡은 거문고와 쓰가루샤미센의 ‘출강(出鋼)’
3. 세 번째 곡은 대금과 샤쿠하치를 위한 ‘풍류’
4. 네 번째 곡은 샤쿠하치와 고토 이중주 ‘봄바다’
5. 다섯 번 째 곡은 고토와 노래 ‘千鳥의 曲’
6. 여섯 번째 곡은 가야금 병창, 거문고, 대금, 장구, 와다이코, ‘뱃노래와 한오백년’
7. 일곱 번째 곡은 타악 퍼포먼스 히비끼의 ‘일본의 메아리’
8. 여덟 번째 곡은 공명과 히비끼 ‘통해야’
Ⅲ. 結
Ⅱ. 本文
1. 첫 곡은 쓰가루샤미센 독주 ‘쯔가루죠가라부시’
2. 두 번째 곡은 거문고와 쓰가루샤미센의 ‘출강(出鋼)’
3. 세 번째 곡은 대금과 샤쿠하치를 위한 ‘풍류’
4. 네 번째 곡은 샤쿠하치와 고토 이중주 ‘봄바다’
5. 다섯 번 째 곡은 고토와 노래 ‘千鳥의 曲’
6. 여섯 번째 곡은 가야금 병창, 거문고, 대금, 장구, 와다이코, ‘뱃노래와 한오백년’
7. 일곱 번째 곡은 타악 퍼포먼스 히비끼의 ‘일본의 메아리’
8. 여덟 번째 곡은 공명과 히비끼 ‘통해야’
Ⅲ. 結
본문내용
독특한 스타일 때문에 불협화음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비슷한 소리의 악기들이 잘 어울려서 아름다운 선율을 만들어냈다. 우리의 전통음악에서 말하는 ‘신명’을 공명과 히비끼, 그리고 관객들 모두가 느낄 수 있는 공연이었다. 역시 관악기, 현악기보다 타악기 연주를 들을 때면 보는 사람들도 흥겹고,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서 좋았다.
Ⅲ. 結
젊은 세대는 아직 전통음악보다는 대중음악에 더욱 친숙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은 물론이고 다른 나라의 전통음악은 말을 덧붙이지 않아도 그럴 것이다. 전통음악은 문화의 독특한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써 문화를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그리고 비슷한 문화권에서는 유사한 모습이 있으면서도 다른 미묘한 차이가 보이는 것이 전통음악에 빠져들게 하는 매력이 아닌가 싶다.
이번 공연 역시 한국의 전통음악과 일본의 전통음악을 함께 감상하게 되어 동아시아 문화권의 음악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비슷하면서도 다른 음악적 색채를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目 次>
Ⅰ. 序
Ⅱ. 本文
1. 첫 곡은 쓰가루샤미센 독주 ‘쯔가루죠가라부시’
2. 두 번째 곡은 거문고와 쓰가루샤미센의 ‘출강(出鋼)’
3. 세 번째 곡은 대금과 샤쿠하치를 위한 ‘풍류’
4. 네 번째 곡은 샤쿠하치와 고토 이중주 ‘봄바다’
5. 다섯 번 째 곡은 고토와 노래 ‘千鳥의 曲’
6. 여섯 번째 곡은 가야금 병창, 거문고, 대금, 장구, 와다이코, ‘뱃노래와 한오백년’
7. 일곱 번째 곡은 타악 퍼포먼스 히비끼의 ‘일본의 메아리’
8. 여덟 번째 곡은 공명과 히비끼 ‘통해야’
Ⅲ. 結
Ⅲ. 結
젊은 세대는 아직 전통음악보다는 대중음악에 더욱 친숙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은 물론이고 다른 나라의 전통음악은 말을 덧붙이지 않아도 그럴 것이다. 전통음악은 문화의 독특한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써 문화를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그리고 비슷한 문화권에서는 유사한 모습이 있으면서도 다른 미묘한 차이가 보이는 것이 전통음악에 빠져들게 하는 매력이 아닌가 싶다.
이번 공연 역시 한국의 전통음악과 일본의 전통음악을 함께 감상하게 되어 동아시아 문화권의 음악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비슷하면서도 다른 음악적 색채를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目 次>
Ⅰ. 序
Ⅱ. 本文
1. 첫 곡은 쓰가루샤미센 독주 ‘쯔가루죠가라부시’
2. 두 번째 곡은 거문고와 쓰가루샤미센의 ‘출강(出鋼)’
3. 세 번째 곡은 대금과 샤쿠하치를 위한 ‘풍류’
4. 네 번째 곡은 샤쿠하치와 고토 이중주 ‘봄바다’
5. 다섯 번 째 곡은 고토와 노래 ‘千鳥의 曲’
6. 여섯 번째 곡은 가야금 병창, 거문고, 대금, 장구, 와다이코, ‘뱃노래와 한오백년’
7. 일곱 번째 곡은 타악 퍼포먼스 히비끼의 ‘일본의 메아리’
8. 여덟 번째 곡은 공명과 히비끼 ‘통해야’
Ⅲ. 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