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 영화예술의 이해 (기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주대 영화예술의 이해 (기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9주차
9-1 해방 후 1960년대 한국영화
9-2 1970년대 이후 한국영화

10주차
10-1 북한영화 정책이론
10-2 북한영화사

11주차
11-1 독립영화
11-2 민중영화, 민족영화

12주차
12-1 영화제작 및 기획
12-2 영화 연출

13주차
13-1 시나리오
13-2 대사

14주차
14-1 촬영과 조명
14-2 영화 연기술, 의상과 분장, 영화미술, 편집

15주차
15-1 영화읽기
15-2 비평방식론

본문내용

, 남정임, 고은아가 데뷔하여 인기를 누림
-청춘영화 : 김묵의 <성난 능금>(1963), 정진우의 <초우>, 박종호의 <학사주점>(1964), 유현목의 <푸른 별아래 잠들게 하라>(1965), 김수용의 <여자19세>(1964)등
-초기 문예영화의 등장 : 리얼리즘적 경향이 짙음
->한국영화작가의 탄생을 알려준 작품들
: 한국 누벨바그의 기수로 불리우는 이성구의 <젊은 표정>(1960)
: 한국 사실주의영화의 대표작 : 유현목의 <오발탄>(1961)
: 서정적 리얼리즘의 화제작 : 신상옥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 김기영의 <현해탄은 알고있다>(1961), <고려장>(1963)
: 강대진의 한국 최초 베를린영화제 은곰상 수상작 : <마부>(1961), <박서방>(1962)
: 서민생활의 리얼리티를 살린 작품 : 김수용의 <혈맥>(1963), <갯마을>(1964)
: 소년가장의 수기를 영화화한 국민적 영화 : <저 하늘에도 슬픔이>(1965), 이만희의 <흑맥>(1965), <시장>(1965) 등
-우수영화 보상제도 : 한국영화가 짧은 기간 동안에 많은 문예물을 양산하여 예술영화 전성기를 이룩 할 수 있었던 요인이 됨
-문학작품의 구조가 리얼리즘을 표방하는 경향이 짙어 소설을 영화화함에 있어서 사실주의 영화미학의 필연적 요구는 한국영화의 리얼리즘 시대를 기대할 수 있었음
->이 시기의 문예물
: 이만희의 <만추>(1966), <귀로>(1967), 김수용의 <산불>(1967), <만선>(1967), <안개>(1967), 유현목의 <한>(1967), <나도 인간이 되련다>(1969), <카인의 후예>(1968), 이성구의 <일월>(1967), <메밀꽃 필 무렵>(1967), <장군의 수염>(1968), 최하원의 <독짓는 늙은이>(1969) 등
-1960년대 후반 청춘물과 사극은 급격히 쇠퇴함
-1960년대 초반 저속한 취향의 희극물이 붐을 이룸. 심우섭의 <남자식모>(1968), <남자기생>(1968)
이형표의 <5대 복덕방>(1968), 김기풍의 <단벌신사>(1968) 등 인기 코메디언 구봉서, 서영춘을 출연시켜 엎치락 뒷치락 슬랩스틱류의 희극영화를 개척함
-멜로물 : 공전의 대히트를 기록한 정소영의 <미워도 다시 한번>의 4편의 시리즈물은 대중 영화의 신드롬을 일으킴. 이후 가정과 사랑을 그림 신파멜로드라마를 집대성한 여성취향의 작품경향이 많아짐
-복고풍의 멜로물 : 이규웅의 <요화배정자>(1966), 강대진의 <강명화>(1967), 박종호의 <명월관 아씨>(1967), 안현철의 <윤심덕>(1968) 등
▶학습평가
1. 광복영화인 것은? 윤봉길 의사, 자유만세, 독립전야 (성벽을 뚫고는 아님)
2. 문예영화 등장과 관련이 있는 것은? 우수영화 보상제도, 사실주의 영화미학, 검열의 강화 (한국영화 쇠퇴는 아님)
▶학습정리
1. 해방 후 광복영화는 애국투사나 열사의 전기와 투쟁사를 그렸다
2. 625 동란으로 한국영화계는 파탄되었고 많은 영화인들은 군영화제작에 참여하여 전쟁기록영화를 만들었다
3. 이승만의 영화에 대한 면세조치는 한국영화산업을 부흥시켰다
4. 516군사정권은 영화법을 제정하여 한국영화산업의 기반을 조성하였다
5. 영화법 제정 이후 영화검열의 강화는 한국영화계의 활동을 위축시켜 한국영화의 질을 떨어트린다
6. 영화검열시대에 문예영화의 붐이 일어나 한국예술영화의 전성기를 이룬다
9-2 1970년대 이후 한국영화
▶한국영화 유신기 (1971~80년)
-1970년대 초반 TV산업의 신장 : 영화관객을 안방으로 빼앗아 가 1970년대 231편을 제작한 한국영화계가 1975년에는 94편으로 급속히 감소
-1972년 유신정권의 유신이념의 강요 : 한국영화가 진지한 삶에 대한 성찰과 영화작가의 비판적 안목대신에 도식적인 계몽물이나 개성이 없는 문예물,
저속한 멜로물과 활극물 만을 양산함
-이 시기의 작품경향의 특징 : 유신이념을 강조하는 사극, 반공, 군사, 계몽류의 영화가 국책적으로 만들어짐
-이 당시 대표 작품
->사극 : 최인현의 <태조왕건>(1970), 정진우의 <마지막 황태자>(1970), 이규웅의 <세종대왕>(1970), <성웅 이순신>(1971)
이성구가 한국 최초 70m로 제작한 <춘향전>(1971)
변장호의 <홍살문>(1972), 전조명의 <서산대사>(1972), 신상옥의 <삼일천하>(1973) 등
->반공, 군사, 계몽 : 이만희의 <들국화는 피었는데>(1974), 유현목의 <불꽃>(1975), 김묵의 <사하린의 하늘과 땅>(1974), 신상옥의 <13세 소년>(1974)
임권택의 <증언>(1973), 권영순의 <태백산맥>(1975) 등
->문학 : 유현목의 <분례기>(1971), 하길종의 <화분>(1972), <바보들의 행진>(1975), 정진우의 <석화촌>(1972), 최하원의 <무녀도>(1972)
김수용의 <토지>(1974), 김기영의 <파계>(1974), 이장호의 <별들의 고향>(1974), 이만희의 <삼포가는 길>(1975), 김호선의 <영자의 전성시대>(1975) 등
->활극 : 박노식의 <집행유예>(1973), <폭력은 없다>(1975), 이두용의 <죽음의 다리>(1974), 김효천의 <협객 김두한>(1975), 정창화의 <심판자>(1975) 등
-유신정권 : 철저하게 통제한 영화정책으로 독립영화 제작형식의 개인활동을 완전히 봉쇄함
-이 시기의 작품경향 : 검열에 위축된 한국영화제작계는 의무제작 편수에 매달리는 요식적인 영화제작 활동에 그침
-우수영화 보상제도 : 흥행물을 기대치 않는 문예영화를 꾸준히 만들어 냄
->작품들 : 김호선의 <여자들만 사는 거리>(1976), 임권택의 <왕십리>(1976), <족보>(1978), 김수용의 <야행>(1977), <화려한 외출>(1977)
이두용의 <초분>(1977), <피막>(1980), 유현목의 <문>(1977), <장마>(1979), 변장호의 <을화>(1979), 정진우의 <심봤다>(1979) 등
->멜로 : 직업여성이나 독신여성을 통한 변모한 성모랄을 제기한 김호선의 <겨울여자>(1977)
정소영의 <내가 버린 여자>(1977), <내가 버린 남자>(1979), 변장호의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1.04.19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9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