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시장조사(SAS) and 통계기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계] 시장조사(SAS) and 통계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시장조사론

인과조사를 위한 실험설계

의사소통방법의 유형

척도(Scale) 의 종류

리커트형척도

타당성의 종류

통 계 기 법

본문내용

시스템(MKIS) : Marketing Information System
마케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업내외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정리하여 마케팅담당자들에게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마케팅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측정(measurement) :대상(사람또는 제품등)의 속성(특징)에 숫자를 부여하는 체계적인 과정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
측정대상이 되는 어떤 개념(concept또는 construct)의 의미를 사전적으로 정의를 내린 것이다.
ex) Life style -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
☆조작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어떤 개념에 대해 응답자가 구체적인 수치(number)를 부여할 수 있는 상태로 상세한 정의를 내린 것을 말한다.
ex) 라이프 스타일의 개념적 정의가 행위, 관심, 의견등의 구체적 측정 항목들로 전환되는 것.
척도화(scaling) : 거리마 무개를 재거나 구매량을 측정하는 것처럼 대상의 특성을 숫자로 표현하기 위해 수량화(quantification)하는 과정을 말한다.
척도(Scale) 의 종류☆☆☆
①명목척도 (nominal scale): 조사대상의 소속여부나 대상의 분류를 위해 사용된 수를 말한다. 성별, 직업, 구매여부, 지역, 구매상표등이 그 예이며,
명목척도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단지 집단별 빈도(frequency)에 대한 분석만 가능하며, 전체 집단에 대한 대표치는 최빈치(mode)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②서열척도(ordinal scale) : 집단구분 외에 측정대상자들간의 순서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수를 말한다. 서열척도를 사용해 표시된 숫자들은 순위만을 나타내므로, 측정값들의 대표치로서 중위수(median)를 이용하게 된다.
③등간척도(Interval scale)
서열척도에 포함된 정보외에, 측정대상들간의 속성의 차이비교를 가능하게 하며, 덧셈과 뺄셈이 가능하며, 표본집단의 평균이 나온다.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가 가장 흔히 사용
④비율척도(ratio scale) : 등간척도가 갖는 특성을 모두 포함하며, 이외에도 등간척도가 갖지 못하는 절대적 기준점인 절대 0점이 존재하는 척도이다.
◆비모수척도(non-parametric scale) : 명목척도(nominal scale) , 서열척도(ordinal scale)
◆모수척도(Parametric) : 등간척도(Interval scale), 비율척도(ratio scale)
척도별 자료의 특성 및 분석방법
척 도
비교방법
(숫자부여방법)
대표값의 측정
적용가능
분석방법

명목척도
집단분류
최빈값
빈도분석,
비모수통계
교차분석
성별분류
상품유형별 분류
시장세분구역분류
존재유무
서열척도
순위비교
중앙값
서열상관관계
비모수통계
상표선후순위
상품품질등위
상회계층
등간척도
간격비교
평균
모수통계
온도, 광고인지도
상표선호도,주가지수
비율척도
절대적
크기 비교
평균
모수통계
매출액, 구매확률
무게, 소득, 나이
☆서열척도(ordinal scale) 2가지
①순위법(Ranking)
응답자들로 하여금 어떤 속성에 대한 조사대상등의 순위를 기록하게 하는 방법
②범주별 순위할당법(Orderde Category Sorting)
비교대상의 수가 많을 때 이용가능한 측정방법
☆등간척도(Interval scale)-4개
등급법(rating) :응답자로 하여금 어떤 측정대상이 갖고 있는 속성의 정도를 글(verbal), 그림(graphic), 또는 숫자(numeric)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

매우
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어의차이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
스타펠척도(Stapel Scale)
리커트형척도(Likert Type Scale)
응답자들에게 서술형(statement)로 작성된 각 질문항목에 대한 동의 토은 반대의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1 2 3 4 5
전혀그렇치않다 그렇지 않다 모르겠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비율척도(ratio scale) -2개
총합고정척도법 : (Constant Sum Scale)응답자들에게 일정한 수를 주고 이 점수를 속성의 상대적 다과에 따라 여러 측정대상들에게 나누어주게 하는 방법이다.
ex) 안전성( )점, 정확성( )점, 서비스( )점,, 총계 100점.
비율분할법(Fractionation)
ERROR
응답자 개인적 특성으로 인한 오류--이해여부, 답변회피등
응답자의 조사시점에서의 일시적 특성으로 인한 오류-응답자가 피곤, 배고파서성의X등.
자료가 수집되는 상황으로 인한오류-날씨 , 소음,
응답자와 질문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오류-응답자와 질문자의 성별,직업,출신등이상이한경우
설문지 자체의 오류
ERROR-신뢰성(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을 고려해야한다.
신뢰성(reliability)이란 비체계적(non-systematic) 또는 일시적(transient)오류의 발생을 의미
타당성이란? 측정상의 체계적(systematic) 또는 지속적인(permanent)오류의 발생정도를의미
타당성의 종류☆☆☆☆
1)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
측정항목이 연구자가 의도한 내용을 실제로 측정하고 있는가의 문제이다.
ex)제품의 선호도(preference)를 질문할 경우 귀하가 좋아하는상표는 무엇입니까? 라는 질문을 해야하는데 귀하가 다음에 구매하려넌 상표는 무엇입니까로 질문한다면 내용타당성이 없는 측정도구로 판단되는 것이다.
2)개념타당성(Construct Validity) ( 종류가로 )치기.
①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측정항목으로 서로 상이한 개념을 측정하는 경우 상관관계가 낮아야 한다는것,-----------즉, 상관관계가 없어야 된다.
②집중타당성(Convergent Validity)
하나의 개념을 서로 다른 측정방법들을 사용하여 측정하더라도 결과치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이해하기(읽기)
질문용어 결정시 유의할 사항들
1)응답자들이 전문용어를 이해하리라고 가정해서는 안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4.22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0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