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개발과환경보전[1]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광개발과환경보전[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의 개발취지와 지역주민의 의사와는 동떨어지게 개발되었다. 2차계획은 중앙부서의 몇몇 연구원의 짧은 시간 내에 급조한 작품으로 서구적 의미(제2의 하와이)의 개발에 권위주의적 관료체제가 가미되어 오래혀 1차 계획보다 사태가 더욱 악화될 조짐이다.
끝으로, 장차 개발의 문제는 세가지 차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지방적 차원, 국가적 차원, 세게적 차원이 그것이다. 관광의 또 하나의 진정한 원료는 ‘문화’(culture)이다. 전국이 하루 생활권으로 좁아지고, 지방색 (local color)은 갈수록 엷어지고 있으나, 광주와 전주는 그 나름대로, 특색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중앙집권제로 각 고장의 특성과 다양성이 깔아 뭉개졌는데 문화적으로 (정치적이 아닌) 과연 지방색과 지역감정이 없어져야 하는가? 도리어 강조되어야 할 것은 지역의식(지방색이나 지역감정)이 살아나서 전라도, 경상도 분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모든 고장이 그 나름대로의 고유한 전통과 맛을 잃지 않고 살려야 한다.
4. 구체적 방법 : 지구구명과 관광환경 영향평가
(1) 환경보전 방법
국내적이든 국제적이든 관광자는 환경을 누릴 권리(환경권)와 환경을 보호해야 할 의무(윤리강령)를 지니는데 이걸 원만히 수행하기 위해 정보와 교육훈련을 통해 사후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제 관광사업자들도 ‘환경보호론자’들과 같은 입장에 서서 환경보호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환경파괴의 가장 큰 문제는 ‘과밀과 혼잡’이다. 그러나 환경에 부정적 효과가 일어나지 않도록 관광활동의 임계수준(臨界水準)을 정해 수용량을 정량화하기란 매우 어렵다.
너무 빠른 경제성장과 번듯한 물리적인 시설이 결코 발전으로 착각되어서는 안된다. 자연보존(Natural preservation)도 훌륭한 관광개발이다.
(2) 생명운동과 관광환경 영향평가
한국의 ‘농촌’은 비참하게 죽어가고 있으며, 농촌의 ‘땅’이 죽어가는 있으며, 창조질서의 근본인 땅과 물이 죽어가고 있다. 그래서 농촌에는 사람이 자꾸만 줄어들고, 어린아이 울음소리가 끊어진 지가 오래이며, 우리 식량의 일부를 외국에 의존하게 되었고 그렇게 되니까 식량은 가장 무서운 무기로 둔갑하엿다.
이상적인 도시국가의 인구가 10만 이상이 되면 그 도시는 이미 도시가 아니며, 도시가 거대해지면 인간관계가 깨어지고, 인간이 ‘살아야만’할 도시가 조용함을 잃고 떠들썩하게 되어, 결국 인간이 살 수 없게 되고 만다는 것이다. 관광개발이 착수되기 전에 반드시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를 실시하여, 개발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최고화해야 할 것이다.
관광공해 장비를 위해 ‘관광소득’의 일부는 반드시 부대시설과 하부구조(infrastructure)의 유지를 위해 배정되어야만 관광지가 꾸준히 ‘제품력’(製品力)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자연(농토, 자연경관등)이나 문화시설은 사용한 것만큼, 빼먹은 것 만큼 반드시 보충해 주어야 현상유지(status quo)가 가능하다.
5. 맺는말
환경은 인간의 경제에 생명막이자 모체가 된다는 사실을 재인식하고 오늘날 환경의 위기를 맞아 관광산업체도 자발적으로 ‘환경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무릇 관광개발은 ‘자연법칙’에 따라 균형개발을 하되, 그 개발의 지역통제권과 지역민에게 혜택이 가는 ‘국지지각(국지지각 local perception)이 선행조건이 되어야 한다. 자연보존도 휼융한 관광개발이라는 교훈을 조상의 예지를 통해 배워야 할 것이다.
제7장 서비스의 개발과 관광산업의 틀
1. 서비스의 개괄적 고찰
(1) 서비스업의 현황
급격한 서비스의 팽창을 두고 선진국병 징후라고 우려하고 있다. 이같은 산업구조의 개편은 선진국의 공통된 현상이며 고도의 현대 도시산업사회와 함께 서비스의 증식이 확대재생산되는 것을 가리켜 정서화.연성화사회(情緖化.軟性化 社會 service and soft society)라고 일컫고 있다.
선진제국에서는 소비자에게 일차적으로 육체적 욕구충족을 위한 필수품소비재 (consumable goods,식품등)를, 2차 단계는 경제적 욕구충족을 위한 내구재.소비재(consumer service, 여가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또 서비스의 진화 단계는 1950년대는 물건의 품질이 압도적으로 지배하였으며, 60 ~ 70년대는 서비스의 품질, 이미지가 상당히 중요한 소구점(訴求点, appeal point)이었는데 80년대 이후부터 서비스의 시스템화, 서비스의 품질관리(quality control0가 단연 절대 우세하여 물건의 품질로 팔리던 시대에서 서비스가 판매를 좌우하는 시대로 역전되었다.
(2) 서비스의 개념
서비스는 봉사, 공헌, 친절, 무료, 덤이란 뜻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한 의미는 손님에게 기쁨 모성애 같은 애정 심리적 만족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서 곧 ‘마음’이요‘정(情)’이다. 한마디로 말해 서비스산업은 ‘손님의 기쁨’이 사업목표다.
(3)서비스의 구분
서비스의 종류로서
① 말씨, 태도, 복장, 청결, 경품등이 있고
② 사회 문화 활동으로서 기업의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고
③ 고객과의 대화를 통해 만족을 느끼게 하는 심리적 서비스다.
서비스의 분류로서
① 유료서비스는 매스컴의 광고를 통한 유료서비스
② 무료서비스는 판촉서비스와 아프터 서비스(AS)가 있다. AS는 사회가 민주화 되면서 소비자의 의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한번 고객은 영원한 고객이란 사고로 AS가 제2의 판매가 된다는 고객 밀착주의다.
③ 무형서비스는 미소. 말씨, 태도와 같은 것으로 손님으로부터 좋고, 나쁨에 대한 평가가 수반되는 정서적 서비스요
④ 유형서비스는 서비스가 있고 없는 것에 관한 유무를 따지는 객관적 판정을 가리키는 기능적 서비스이다.
2. 서비스의 정신과 과제
서비스를 이끌어 가는 경영주와 경영자는 언제나 자사에게 기업철학이 무엇인지를 자문해야한다. 서비스 산업은 단순히 기업의 경영비결이나 방법에 관한 노하우의 터득이란 차원에서 그 기업의 존재가치, 존재이유, 왜 이 기업이 사회에 필요한가에 대한 노하우도 물어야겠지만 더욱 핵심적이고 궁극적인 것은 서비스기업이 마땅히 해야할 것이 무엇인지, 그 본질과 철학을 꿰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1.04.22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1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