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의의
1. 평행·동등
2. 교훈
3. 공동 협력
4. 방관
Ⅲ.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특성
Ⅳ.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준비
1. 또래교사훈련
2. 또래교수자료의 구성
1) 1등급
2) 2등급
3) 3등급
4) 4등급
5) 5등급
Ⅴ.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사례
1. 통합교육 활동 지도 계획 수립(개별화 지도 계획)
1) 개별화 지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2) 원적학급 적응 활동 지도 계획
3) 개별화 지도 계획(개인 기록부 참조)
2. 또래지도 활동안 작성 활용
Ⅵ.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프로그램개발
Ⅶ.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기대효과
Ⅷ.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Ⅱ.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의의
1. 평행·동등
2. 교훈
3. 공동 협력
4. 방관
Ⅲ.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특성
Ⅳ.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준비
1. 또래교사훈련
2. 또래교수자료의 구성
1) 1등급
2) 2등급
3) 3등급
4) 4등급
5) 5등급
Ⅴ.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사례
1. 통합교육 활동 지도 계획 수립(개별화 지도 계획)
1) 개별화 지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2) 원적학급 적응 활동 지도 계획
3) 개별화 지도 계획(개인 기록부 참조)
2. 또래지도 활동안 작성 활용
Ⅵ.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프로그램개발
Ⅶ. 통합교육 또래지도학습(또래교수활동)의 기대효과
Ⅷ.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적 성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Vaugh, Elbaum, & Sehumm, 1996). 또래교수는 통합을 지원하고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켜주며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성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Vaugh, Elbaum, & Sehumm, 1996; Shisler, Osguthorpe, & Eiserman, 1987). 이와 같이 또래교수가 일반교실의 수업에서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은 크게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수용태도의 변화를 연구한 것과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 있다.
또 다른 방향에서 또래교수의 효과를 연구한 보고가 있다. 일반학급에서 일반학생을 또래교사로 사용하여 위에서 제시한 학업성취도나 문제행동 감소, 학급 내 통합 촉진의 성과가 아닌 지역사회참여하기 기술의 향상을 본 연구다(Longwill & Kleinert, 1998). 이는 또래교수의 잠재력을 다른 분야에서 밝혀낸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에서 또래교수를 적용하여 장애학생의 높은 지역사회 참여율을 이끌어냈다. 일반학생들과 함께 과제를 수행하였을 때 장애학생은 가게에서 물건사기, 친구의 집 방문하기 등을 통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서 지역사회에 참여하였으며 학업성취도도 높아졌다. 이 외에 또래교수의 효과로는 자존감의 향상, 바른 학교생활 기술 습득, 의사소통 기술의 향상 등이 있다(Beirne-Smith, 1991; Eiserman, 1988; Eiserman & Osguthorpe. 1986b; Scruggs & Richter, 1988).
이러한 또래교수는 다양한 영역의 교과에서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Fuchs, Fuchs, Mathes, & Simmons, 1996; Osguthorpe, Eiserman, Shisler, Top, & Scruggs, 1985). 또래교수가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읽기, 쓰기, 셈하기와 같은 교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다룬 연구와 다른 교수법과 접목하여 실시한 연구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교수는 장애학생이 읽기에서 높은 학업성취율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돕는다(Mathes, 1984; Mathes & Fuchs, 1991). Eiserman, Shisler, & Osguthorpe(1986a)는 일반학급에서 일반학생을 또래교사로 하여 읽기에 어려움을 지닌 학습장애학생에게 또래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의 읽기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으며, Mathes & Fuchs(1991)는 장애학생의 읽기 성취도가 교사가 가르쳐 주었을 때보다 또래교사가 지도하였을 때 더 높은 성취율을 보였다고 하였다.
둘째, 또래교수는 철자하기에서도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Dineen, Clark, & Risley, 1977; Tucker, 1990). Baradley, Bjorlykke, Mann, Homon, & Lindsay(1993)은 학급전체 또래교수를 통해 학습자와 또래교사 모두의 철자하기 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보였으며 전통적인 철자하기 교수법보다 또래교수의 효과가 탁월하였음을 보고하였다. 손지영(2000) 역시 특수학급에서 상급생 장애학생을 또래교사로 하급생 장애학생을 학습자로 또래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또래교사와 학습자 모두의 철자성취도가 향상되었음을 연구하였다.
셋째, 또래교수는 셈하기 학업성취도에도 효과가 있다(Beirne-Smith, 1991; Mercer, 1998). Cook, Scruggs, Mastropieri, & Casto(1985)는 전통적인 셈하기 교수법과 또래교수를 적용한 셈하기 교수법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에서 또래교수를 사용한 집단이 유의미한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후에 Beirne-Smith(1991)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Mercer & Mercer(1998)는 다른 교과목과 비교한 또래교수의 효과에서 수학과에서 가장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음을 보고하였다.
넷째, 또래교수는 다른 교수법과 비교하거나 접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받았다. 협동교수와 또래교수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결과(Jenkins, Mayhall, Peschka, & Jenkins, 1974) 또래교수가 더 강력하게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있음이 보고 되었으며, 다른 교수법과 접목을 통한 효과를 알아본 연구로 CBM(Curriculum Based-Measurement)과 또래교수를 함께 사용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읽기, 철자하기, 셈하기의 전반에 걸쳐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Philips, Fuchs, & Fuchs, 1994).
Ⅷ. 결론 및 시사점
(1) 또래지도 학습은 특수학급 아동의 인간관계 개선 및 친구사귀기와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었으며, 일반아동은 함께 어울려 사는 사회의 일원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는 태도를 기르는데 도움이 되었다.
(2) 또래지도 조직은 학력 우수 집단 보다는 인간관계 중심이 효과적이었다.
(3) 또래지도 활동안의 활용은 통합된 아동의 적절한 성취목표 제시와 개별지도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학습 성취에 대한 보상 방법이 고려되어야겠다.
(4) 또래지도 학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또래지도자의 훈련 프로그램이 더 개발되고, 정의적 측면의 지도 방법이 연구되어야겠다.
참고문헌
김광웅, 특수학생의 통합교육, 서울 : 단국대학교, 1990
김승국, 특수교육 방법 및 전략,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3
김영환,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경기 : 국립특수교육원, 1997
김성애 외 2인,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경기 : 국립특수교육원, 1997
박승희,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 실행, 한국재활재단 논집, 1999
손지영, 장애학생간의 상급학생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와 학습자의 철자성취도 및 과제수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2000
또 다른 방향에서 또래교수의 효과를 연구한 보고가 있다. 일반학급에서 일반학생을 또래교사로 사용하여 위에서 제시한 학업성취도나 문제행동 감소, 학급 내 통합 촉진의 성과가 아닌 지역사회참여하기 기술의 향상을 본 연구다(Longwill & Kleinert, 1998). 이는 또래교수의 잠재력을 다른 분야에서 밝혀낸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에서 또래교수를 적용하여 장애학생의 높은 지역사회 참여율을 이끌어냈다. 일반학생들과 함께 과제를 수행하였을 때 장애학생은 가게에서 물건사기, 친구의 집 방문하기 등을 통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서 지역사회에 참여하였으며 학업성취도도 높아졌다. 이 외에 또래교수의 효과로는 자존감의 향상, 바른 학교생활 기술 습득, 의사소통 기술의 향상 등이 있다(Beirne-Smith, 1991; Eiserman, 1988; Eiserman & Osguthorpe. 1986b; Scruggs & Richter, 1988).
이러한 또래교수는 다양한 영역의 교과에서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Fuchs, Fuchs, Mathes, & Simmons, 1996; Osguthorpe, Eiserman, Shisler, Top, & Scruggs, 1985). 또래교수가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읽기, 쓰기, 셈하기와 같은 교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다룬 연구와 다른 교수법과 접목하여 실시한 연구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교수는 장애학생이 읽기에서 높은 학업성취율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돕는다(Mathes, 1984; Mathes & Fuchs, 1991). Eiserman, Shisler, & Osguthorpe(1986a)는 일반학급에서 일반학생을 또래교사로 하여 읽기에 어려움을 지닌 학습장애학생에게 또래교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의 읽기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으며, Mathes & Fuchs(1991)는 장애학생의 읽기 성취도가 교사가 가르쳐 주었을 때보다 또래교사가 지도하였을 때 더 높은 성취율을 보였다고 하였다.
둘째, 또래교수는 철자하기에서도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Dineen, Clark, & Risley, 1977; Tucker, 1990). Baradley, Bjorlykke, Mann, Homon, & Lindsay(1993)은 학급전체 또래교수를 통해 학습자와 또래교사 모두의 철자하기 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보였으며 전통적인 철자하기 교수법보다 또래교수의 효과가 탁월하였음을 보고하였다. 손지영(2000) 역시 특수학급에서 상급생 장애학생을 또래교사로 하급생 장애학생을 학습자로 또래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또래교사와 학습자 모두의 철자성취도가 향상되었음을 연구하였다.
셋째, 또래교수는 셈하기 학업성취도에도 효과가 있다(Beirne-Smith, 1991; Mercer, 1998). Cook, Scruggs, Mastropieri, & Casto(1985)는 전통적인 셈하기 교수법과 또래교수를 적용한 셈하기 교수법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에서 또래교수를 사용한 집단이 유의미한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후에 Beirne-Smith(1991)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Mercer & Mercer(1998)는 다른 교과목과 비교한 또래교수의 효과에서 수학과에서 가장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음을 보고하였다.
넷째, 또래교수는 다른 교수법과 비교하거나 접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받았다. 협동교수와 또래교수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결과(Jenkins, Mayhall, Peschka, & Jenkins, 1974) 또래교수가 더 강력하게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있음이 보고 되었으며, 다른 교수법과 접목을 통한 효과를 알아본 연구로 CBM(Curriculum Based-Measurement)과 또래교수를 함께 사용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읽기, 철자하기, 셈하기의 전반에 걸쳐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Philips, Fuchs, & Fuchs, 1994).
Ⅷ. 결론 및 시사점
(1) 또래지도 학습은 특수학급 아동의 인간관계 개선 및 친구사귀기와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었으며, 일반아동은 함께 어울려 사는 사회의 일원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는 태도를 기르는데 도움이 되었다.
(2) 또래지도 조직은 학력 우수 집단 보다는 인간관계 중심이 효과적이었다.
(3) 또래지도 활동안의 활용은 통합된 아동의 적절한 성취목표 제시와 개별지도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학습 성취에 대한 보상 방법이 고려되어야겠다.
(4) 또래지도 학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또래지도자의 훈련 프로그램이 더 개발되고, 정의적 측면의 지도 방법이 연구되어야겠다.
참고문헌
김광웅, 특수학생의 통합교육, 서울 : 단국대학교, 1990
김승국, 특수교육 방법 및 전략,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3
김영환,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경기 : 국립특수교육원, 1997
김성애 외 2인,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경기 : 국립특수교육원, 1997
박승희,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 실행, 한국재활재단 논집, 1999
손지영, 장애학생간의 상급학생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와 학습자의 철자성취도 및 과제수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2000
추천자료
[수학적 의사소통]수학적 의사소통의 정의, 수학적 의사소통의 형태, 수학적 의사소통의 중요...
영어교육(영어과교육) 침묵식교수법과 전신반응교수법(TPR), 영어교육(영어과교육) 활동중심...
[체육과 교수․학습 계획안] 메트를 이용한 신체활동, 평균대를 이용한 신체활동, ...
스마트러닝 (Smart Learning) (스마트러닝 정의,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스마트러닝의 장단점,...
[아동상담] 집단상담 - 집단 단계와 집단상담의 활동들, 그리고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예시(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수-학습 활동 - 주제 : 우리에게 필요한 비타민 : 비타민의 중요성...
통합 교류 활동이 일반유아 학부모의 통합 교육 인식도 및 일반유아의 장애또래 수용도에 미...
[영유아교수방법] 수박화채 만들기 - 생활주제 : 계절-여름 | 소주제 : 여름의 날씨와 생활 |...
[교육과정] 음악 줄넘기를 통해 건강한 심신 만들기 & 교수 - 학습 과정안 / 표현활동 (...
영아(만0-2세)와 유아(만3-5세)의 언어활동영역에서 중점을 두는 교수법의 차이에 대해 토론...
영유아교수방법론 : 영유아교수방법론(만4세, 연간교유계획안, 월간교육계획안, 주간교육계획...
[청소년 집단 및 집단활동] 청소년 또래집단의 개념(정의)과 기능, 청소년 집단활동의 의의와...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며 또래 간 갈등을 유발하는 유아 2명이 있다고 가정하고 1)갈등상황 ...
또래집단에서의 활동 및 놀이 시 따돌림 현상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시각에서의 인식은 무엇...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