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
Ⅲ.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고(장구)
Ⅳ. 한국전통악기(국악기)의 훈과 부
1. 훈
2. 부
Ⅴ. 한국전통악기(국악기) 태평소
Ⅵ.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비파와 해금
1. 향비파
2. 당비파
3. 해금
Ⅶ.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아쟁
Ⅷ.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북
Ⅸ.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좌고와 진고
1. 좌고
2. 진고
참고문헌
Ⅱ.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
Ⅲ.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고(장구)
Ⅳ. 한국전통악기(국악기)의 훈과 부
1. 훈
2. 부
Ⅴ. 한국전통악기(국악기) 태평소
Ⅵ.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비파와 해금
1. 향비파
2. 당비파
3. 해금
Ⅶ.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아쟁
Ⅷ.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북
Ⅸ.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좌고와 진고
1. 좌고
2. 진고
참고문헌
본문내용
친다.
구궁 감아 친다.
원박인 궁을 치기 전에 부드러운 손목 힘을 이용해 여리게 구를 친다.
장구의 구궁 타법
Ⅸ.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좌고와 진고
1. 좌고
좌고는 연례악을 연주할 때 쓰이던 북의 하나. 악학궤범에는 보이지 않으나 조선말기의 화가 신윤복의 풍속도에 보인다.
좌고는 춤의 반주뿐만 아니라 관악합주·합악에는 사용되지만 현악에는 쓰이지 않는다. 주로 장구의 합장단과 북편을 칠 때 이를 따라 함께 친다. 좌고의 양쪽 가죽면 지름은 1척 7촌. 북통의 너비는 7촌. 북통의 상하 좌우로 세 개의 고리가 달려 있다.
2. 진고
진고는 주로 우리나라의 제사 때 사용하던 대형북의 하나이다. 진고는 네 기둥을 세우고, 횡목을 가로지른 틀 위에 북을 놓는다. 음악을 시작 할 때와 그칠 때, 그리고 매 구끝에 노고와 동시에 치는데 퇴는 나무로 만든다.
진고는 문묘와 종묘의 헌가에서 사용되는데 종묘제향에서 아헌에 먼저 진고 10통을 친 다음에 고축삼성 등의 절차로 음악이 시작되고, 종헌에는 아예 고축삼성은 없고 진고 3통으로 음악을 시작하는 것이 조선조 후기의 전통이었다.
참고문헌
권오성, 한국전통음악 장단 연구의 문제점, 91-국악회 전국대회 - 한국 음악의 장단, 한국 국악 교육학회, 1990
기청, 어화둥둥 두리 둥둥 이야기 국악, 서울 : 세광음악출판, 1994
대원사, 우리 옛 악기, 1990
송혜진, 국악, 이렇게 들어보세요, 2002
이성천·권덕원·백일형·황현정 지음, 알기 쉬운 국악개론, 도서출판 풍남
주태원,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본질화를 위한 시론,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구궁 감아 친다.
원박인 궁을 치기 전에 부드러운 손목 힘을 이용해 여리게 구를 친다.
장구의 구궁 타법
Ⅸ.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좌고와 진고
1. 좌고
좌고는 연례악을 연주할 때 쓰이던 북의 하나. 악학궤범에는 보이지 않으나 조선말기의 화가 신윤복의 풍속도에 보인다.
좌고는 춤의 반주뿐만 아니라 관악합주·합악에는 사용되지만 현악에는 쓰이지 않는다. 주로 장구의 합장단과 북편을 칠 때 이를 따라 함께 친다. 좌고의 양쪽 가죽면 지름은 1척 7촌. 북통의 너비는 7촌. 북통의 상하 좌우로 세 개의 고리가 달려 있다.
2. 진고
진고는 주로 우리나라의 제사 때 사용하던 대형북의 하나이다. 진고는 네 기둥을 세우고, 횡목을 가로지른 틀 위에 북을 놓는다. 음악을 시작 할 때와 그칠 때, 그리고 매 구끝에 노고와 동시에 치는데 퇴는 나무로 만든다.
진고는 문묘와 종묘의 헌가에서 사용되는데 종묘제향에서 아헌에 먼저 진고 10통을 친 다음에 고축삼성 등의 절차로 음악이 시작되고, 종헌에는 아예 고축삼성은 없고 진고 3통으로 음악을 시작하는 것이 조선조 후기의 전통이었다.
참고문헌
권오성, 한국전통음악 장단 연구의 문제점, 91-국악회 전국대회 - 한국 음악의 장단, 한국 국악 교육학회, 1990
기청, 어화둥둥 두리 둥둥 이야기 국악, 서울 : 세광음악출판, 1994
대원사, 우리 옛 악기, 1990
송혜진, 국악, 이렇게 들어보세요, 2002
이성천·권덕원·백일형·황현정 지음, 알기 쉬운 국악개론, 도서출판 풍남
주태원,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본질화를 위한 시론,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추천자료
문화체험
국악공연을 감상하고...
-뉴에이지음악과 크로스오버음악에 대하여
한국무용레포트-승무
단소 교육안
문제해결학습에 따른 학습지도안-중3 음악 푸른옷소매
[일본문화][일본의 문화][일본][일본인]일본의 꽃꽂이문화, 술문화(음주문화), 음식문화, 결...
[북한][북한문화][북한연예인][북한음악][북한명절][북한금융][북한화폐][북한문화재][북한문...
강은일의 오래된 미래 감상 보고서
아동복지론-다문화가족인식개선방안
유치원(어린이집)기준 영역별 교재
복지 레크리에이션
가부키 소개
『더 스토닝 (The Stoning Of Soraya M.)』 [영화감상문] (kcu 이슬람문화와 예술 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