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는 알타이어계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는 알타이어계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어는 알타이어계인가?

<알타이계 언어>

1. 석기시대

2. 청동기시대

3. 철기시대(빠지리크 시대)

4. 투르크(돌궐)시대

5. 몽골과 중가리아의 지배시대

6. 러시아 지배 시대(18~19세기)

본문내용

한국어는 알타이어계인가?
지금까지 알타이공화국 박물관을 세 번 관람하면서 갈 때마다 나는 한 파넬 앞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다. 바로 알타이어의 계보를 그려놓은 것이다. 이 표에는 분명 한국어가 들어가 있다. 알타이어 계통이라는 것이다.
알타이어계란 원래 18세기 중반 스타라흐렌베르그가 제창한 알타이어족설부터 시작한 것이다. 그 분포는 유라시아대륙의 중앙부(그때 알타이지방이 본 고향이라고 생각하였다)를 중심으로 하여, 동으로 캄차카반도에서 서쪽으로 발칸반도까지, 북으로는 시베리아 북부에서 남으로는 중국 서남부까지 미치는 아주 광대한 지역이었다. 총 인구 약 6466만 가운데 투르크계 5864만, 몽골계 314만, 만주ㆍ퉁구스계 288만 등 3그룹으로 나누었다. 크게 보면 투르크계와 몽골계는 초원의 유목 생활에 적응하며 문화를 발달시켜온 것에 반해 만주ㆍ퉁구스계는 삼림에 살면서 수렵과 어로를 생활의 기초로 하고 있었다. 비록 여러 가지 특징 때문에 크게 3그룹으로 나누었지만 실제로는 투르크계가 대다수를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한국어는 바로 만주ㆍ퉁구스어에 속하기 때문에 알타이어 계통이 되는 것이다.
<알타이계 언어>
언어 그룹
언어
뚜르크어 그룹
알타이어, 아젤바이잔어, 발카르어, 가가우즈어, 돌간어, 카자흐어, 카라차에프어, 키르기즈어, 쿠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