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목차
목 차
보건소 실습내용 ‥‥‥‥‥‥‥‥ 2 page
관할지역 현황 파악 및 개요 ‥‥‥‥2 page
관련법규의 종류와 내용 ‥‥‥‥‥‥ 3 page
보건소의 사업목적과 사업내용 ‥‥‥ 31 page
보건소의 조직구조 ‥‥‥‥‥‥‥‥ 32 page
보건소의 상하기관 ‥‥‥‥‥‥‥‥ 34 page
보건소의 협조기관 ‥‥‥‥‥‥‥‥ 35 page
각 부서의 주요 사업 추진현황 ‥‥‥ 35 page
각 분야별 업무 활동 ‥‥‥‥‥‥‥‥ 37 page
실습 평가 ‥‥‥‥‥‥‥‥‥‥‥‥‥ 68 page
비판적 성찰 탐구 과정 ‥‥‥‥‥‥‥‥ 75 page
실습 후 느낀 점 ‥‥‥‥‥‥‥‥‥‥‥ 82 page
보건소 실습내용 ‥‥‥‥‥‥‥‥ 2 page
관할지역 현황 파악 및 개요 ‥‥‥‥2 page
관련법규의 종류와 내용 ‥‥‥‥‥‥ 3 page
보건소의 사업목적과 사업내용 ‥‥‥ 31 page
보건소의 조직구조 ‥‥‥‥‥‥‥‥ 32 page
보건소의 상하기관 ‥‥‥‥‥‥‥‥ 34 page
보건소의 협조기관 ‥‥‥‥‥‥‥‥ 35 page
각 부서의 주요 사업 추진현황 ‥‥‥ 35 page
각 분야별 업무 활동 ‥‥‥‥‥‥‥‥ 37 page
실습 평가 ‥‥‥‥‥‥‥‥‥‥‥‥‥ 68 page
비판적 성찰 탐구 과정 ‥‥‥‥‥‥‥‥ 75 page
실습 후 느낀 점 ‥‥‥‥‥‥‥‥‥‥‥ 82 page
본문내용
따라 정한다.)
* 추구관리
- 경과관찰 : 투약시마다 호흡기계 증상 및 일반증상을 확인하고 재치료환자관리기 록표에 기록한다.
- 이상반응
투약시마다 이상반응을 확인하고 이상반응번호를 재치료 환자 관리 기록표 란에 기록한다.
이상반응에 관한 조치는 환자기록표란에 기록하고 경과를 기록한다.
이상반응 발생시는 발생상태와 처리결과를 시ㆍ도 결핵관리의사에게 보고하고 이 에 대한 조치시에 의하여 처리한다.
- 추구검사
ㆍ객담검사 : 검사의뢰서의 \"구분,비고\"란에 몇 개월째 추구검사물 임을 기록한다.
<도말검사>
12개월처방: 3, 5, 9, 12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18개월처방: 3, 5, 9, 12, 18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24개월처방: 3, 5, 9, 12, 18, 24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배양검사> 5,9개월째 시행한다.
ㆍ엑스선촬영 : 12개월처방: 7, 12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18개월처방: 7, 12, 18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24개월처방: 7, 12, 18, 24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ㆍ기타검사: 처음 3개월간은 가급적 매월 소변검사, SGOT, SGPT를 시행하고 시 력장애 호소시 시야 및 색신 검사를 실시, 그 후에는 필요에 다라 실 시하여 이상반응 예방에 참고한다.
(3) 만정질환 관리(방문간호)
① 방문보건 부서의 사업내용
* 목적
- 의료 취약계층 주민의 방문을 통해 대상자발견, 질병관리와 예방 및 건강증진 활동 등의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으로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
- 취약계층 가구 및 가구원의 생애주기별 견강위험요인 및 질환에 대한 자가 관 리능력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여 건강한 지역사회 조성
- 지역주민의 건강지킴이로서 ‘새국민 건강증진 종합 계획 2010’ 등과 연계하여 주민의 의료이용 편의 제공 및 건강 증진 향상 도모
구 분
사업목표
취약가족 건강관리
등록가구 관리율 향상: 23% 이상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 관리
낙상경험율 감소 20% 이하
만성 질환 등록
가구원
고혈압
조절율 향상(90%)
당뇨
조절율 향상(90%)
맞춤형 방문 건강관리 사업 만족도
80점 이상
* 사업 목표
* 사업 대상자
순 위
기 준
1 순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65세 이상 장애인, 독거 노인 및 노인부부세대
2 순위
1순위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3 순위
차상위계층 중 65세 이상 장애인, 독거노인 및 노부부세대
4 순위
3순위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차상위 계층
5 순위
가 순위
임산부, 영유아, 결혼이민자 가구
보건소 내 타 부서 및 관련기관, 지역사회기관에서 의뢰한 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
나 순위
시설 및 미인가 시설 거주주민(노숙자쉼터, 복지시설 등)
* 경로당 제외
6순위
1~5순위에 속하지 않은 일반 주민 * 경로당 포함
* 사업 내용
방문건강관리담당 전문 인력이 주민의 가정 또는 시설을 방문하여 가구원 혹은 가 족의 건강 문제를 스크리닝 하여 문제 해결에 적합한 건강증진, 질병예방, 질병관 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
서비스제공 방법은 건강문제 스크리닝 결과에 따른 상담과 1차 간호 및 건강관리, 건강교육 및 상담, 정보제공과 지지 등의 직접 서비스와 의뢰·연계 등의 간접서비스 그리고 지역단위 서비스 제공 체계의 운영 방문간호사의 첫 방문에서 방문구도 조사 를 실시하여 집중관리군, 정기관리군, 자가 관리군으로 분류하여 대상자 요구를 고 려한 간호사 판단으로 융통성 있게 관리주기를 결정
영 역
구 분
내 용
취약가족
건강관리
지역사회
모니터링
· 건강 기초조사 실시: 4,000가구/년
- 취약계층 건강수준 파악과 환자 등록 판정
· 환자관리: 8,050가구/년
· 방문건강관리사업 수혜자 만족도 조사 실시: 1회/년
- 대상자에게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결과 활용을 통한 서비스 수준 향상
건강정보제공 및 교육
·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 실시: 8,050 가구
- 만성질환 및 심뇌혈관질환 등 예방에 대한 정보제 공과 교육
지역사회
협력
· 민·관 협력 구축 “ 스마일 홈 닥터시스템” 운영
- 협력기관 수 : 241개소
- 내용: 의료서비스 제공, 병원동행, 환자수송, 의료 비감면, 자원봉사자 연계, 사회복지 연계, 저소득층 후원 등
서비스
제공
· 방문서비스 제공: 20,000회/년
- 내용: 의약품제공(파스), 욕창관리, 간호 등
· 희귀난치성질환자 의료비 지원: 260명
· 만성질환자 집중관리: 혈압 및 당뇨 측정
- 고혈압, 당뇨 환자수: 2,114명
(고혈압 1,495명, 당뇨 619명)
· 복지서비스: 가사보조, 정서적지지, 건강지원, 후원 서비스 제공, 자원봉사자 연계
취약계층 여성과 어린이 건강관리
건강정보제공 및 교육
·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 실시
- 대상: 결혼이민자가구, 취약계층모자세대(250가구)
- 방법: 가정방문 및 보건소 내 연계(구강불소도포, 치아 홈 메우기, 영유아 예방접종, 임산부 건강교실 등)
서비스
제공
· 영유아 예방접종 및 일상생활 교육 실시
- 대상: 결혼이민자 및 산모도우미 250가구
· 복지서비스: 가사보조, 정서적지지, 건강지원, 후원 서비스 제공, 자원봉사자 연계
· 보건소 내 프로그램 참여 유도
- 건강교실 운영, 산모신생아도우미 지원 등
취약계층 노인건강관리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
· 치매교육 및 검진 실시: 4,000명
- 대상: 관내 노인대학, 보건소 내소자
- 시설대상 치매교육, 검진 병행실시로 효율성 재고
지역사회 협력
· 마산사회복지관 거동불편어르신 병원이용 수송지원
· 외상환자경남장애인종합사회복지관 이동목욕: 10명
서비스
제공
· 이동목욕서비스, 재활의료기 대여, 상담 및 교육
취약계층 만성질환자와 보호자 건강관리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
· 고혈압, 당뇨 환자 고나리: 투약지도 및 예방교육
서비스
제공
· 혈압, 당뇨 측정
· 환자관리(투약지도 및 교육)
취약계층 주민 생활습관 및 건강의 집단관리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
· 건강생활습관 및 위험요인에 대한 교육 실시
- 흡연, 음주, 운동
서비스
제공
· 금연, 절주, 운동 실천율 높이기 위한 교육 보건소 내 프로그램 연계
행정사항
* 추구관리
- 경과관찰 : 투약시마다 호흡기계 증상 및 일반증상을 확인하고 재치료환자관리기 록표에 기록한다.
- 이상반응
투약시마다 이상반응을 확인하고 이상반응번호를 재치료 환자 관리 기록표 란에 기록한다.
이상반응에 관한 조치는 환자기록표란에 기록하고 경과를 기록한다.
이상반응 발생시는 발생상태와 처리결과를 시ㆍ도 결핵관리의사에게 보고하고 이 에 대한 조치시에 의하여 처리한다.
- 추구검사
ㆍ객담검사 : 검사의뢰서의 \"구분,비고\"란에 몇 개월째 추구검사물 임을 기록한다.
<도말검사>
12개월처방: 3, 5, 9, 12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18개월처방: 3, 5, 9, 12, 18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24개월처방: 3, 5, 9, 12, 18, 24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배양검사> 5,9개월째 시행한다.
ㆍ엑스선촬영 : 12개월처방: 7, 12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18개월처방: 7, 12, 18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24개월처방: 7, 12, 18, 24개월째 각각 1회씩 실시한다.
ㆍ기타검사: 처음 3개월간은 가급적 매월 소변검사, SGOT, SGPT를 시행하고 시 력장애 호소시 시야 및 색신 검사를 실시, 그 후에는 필요에 다라 실 시하여 이상반응 예방에 참고한다.
(3) 만정질환 관리(방문간호)
① 방문보건 부서의 사업내용
* 목적
- 의료 취약계층 주민의 방문을 통해 대상자발견, 질병관리와 예방 및 건강증진 활동 등의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으로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
- 취약계층 가구 및 가구원의 생애주기별 견강위험요인 및 질환에 대한 자가 관 리능력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여 건강한 지역사회 조성
- 지역주민의 건강지킴이로서 ‘새국민 건강증진 종합 계획 2010’ 등과 연계하여 주민의 의료이용 편의 제공 및 건강 증진 향상 도모
구 분
사업목표
취약가족 건강관리
등록가구 관리율 향상: 23% 이상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 관리
낙상경험율 감소 20% 이하
만성 질환 등록
가구원
고혈압
조절율 향상(90%)
당뇨
조절율 향상(90%)
맞춤형 방문 건강관리 사업 만족도
80점 이상
* 사업 목표
* 사업 대상자
순 위
기 준
1 순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65세 이상 장애인, 독거 노인 및 노인부부세대
2 순위
1순위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3 순위
차상위계층 중 65세 이상 장애인, 독거노인 및 노부부세대
4 순위
3순위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차상위 계층
5 순위
가 순위
임산부, 영유아, 결혼이민자 가구
보건소 내 타 부서 및 관련기관, 지역사회기관에서 의뢰한 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
나 순위
시설 및 미인가 시설 거주주민(노숙자쉼터, 복지시설 등)
* 경로당 제외
6순위
1~5순위에 속하지 않은 일반 주민 * 경로당 포함
* 사업 내용
방문건강관리담당 전문 인력이 주민의 가정 또는 시설을 방문하여 가구원 혹은 가 족의 건강 문제를 스크리닝 하여 문제 해결에 적합한 건강증진, 질병예방, 질병관 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
서비스제공 방법은 건강문제 스크리닝 결과에 따른 상담과 1차 간호 및 건강관리, 건강교육 및 상담, 정보제공과 지지 등의 직접 서비스와 의뢰·연계 등의 간접서비스 그리고 지역단위 서비스 제공 체계의 운영 방문간호사의 첫 방문에서 방문구도 조사 를 실시하여 집중관리군, 정기관리군, 자가 관리군으로 분류하여 대상자 요구를 고 려한 간호사 판단으로 융통성 있게 관리주기를 결정
영 역
구 분
내 용
취약가족
건강관리
지역사회
모니터링
· 건강 기초조사 실시: 4,000가구/년
- 취약계층 건강수준 파악과 환자 등록 판정
· 환자관리: 8,050가구/년
· 방문건강관리사업 수혜자 만족도 조사 실시: 1회/년
- 대상자에게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결과 활용을 통한 서비스 수준 향상
건강정보제공 및 교육
·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 실시: 8,050 가구
- 만성질환 및 심뇌혈관질환 등 예방에 대한 정보제 공과 교육
지역사회
협력
· 민·관 협력 구축 “ 스마일 홈 닥터시스템” 운영
- 협력기관 수 : 241개소
- 내용: 의료서비스 제공, 병원동행, 환자수송, 의료 비감면, 자원봉사자 연계, 사회복지 연계, 저소득층 후원 등
서비스
제공
· 방문서비스 제공: 20,000회/년
- 내용: 의약품제공(파스), 욕창관리, 간호 등
· 희귀난치성질환자 의료비 지원: 260명
· 만성질환자 집중관리: 혈압 및 당뇨 측정
- 고혈압, 당뇨 환자수: 2,114명
(고혈압 1,495명, 당뇨 619명)
· 복지서비스: 가사보조, 정서적지지, 건강지원, 후원 서비스 제공, 자원봉사자 연계
취약계층 여성과 어린이 건강관리
건강정보제공 및 교육
·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 실시
- 대상: 결혼이민자가구, 취약계층모자세대(250가구)
- 방법: 가정방문 및 보건소 내 연계(구강불소도포, 치아 홈 메우기, 영유아 예방접종, 임산부 건강교실 등)
서비스
제공
· 영유아 예방접종 및 일상생활 교육 실시
- 대상: 결혼이민자 및 산모도우미 250가구
· 복지서비스: 가사보조, 정서적지지, 건강지원, 후원 서비스 제공, 자원봉사자 연계
· 보건소 내 프로그램 참여 유도
- 건강교실 운영, 산모신생아도우미 지원 등
취약계층 노인건강관리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
· 치매교육 및 검진 실시: 4,000명
- 대상: 관내 노인대학, 보건소 내소자
- 시설대상 치매교육, 검진 병행실시로 효율성 재고
지역사회 협력
· 마산사회복지관 거동불편어르신 병원이용 수송지원
· 외상환자경남장애인종합사회복지관 이동목욕: 10명
서비스
제공
· 이동목욕서비스, 재활의료기 대여, 상담 및 교육
취약계층 만성질환자와 보호자 건강관리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
· 고혈압, 당뇨 환자 고나리: 투약지도 및 예방교육
서비스
제공
· 혈압, 당뇨 측정
· 환자관리(투약지도 및 교육)
취약계층 주민 생활습관 및 건강의 집단관리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
· 건강생활습관 및 위험요인에 대한 교육 실시
- 흡연, 음주, 운동
서비스
제공
· 금연, 절주, 운동 실천율 높이기 위한 교육 보건소 내 프로그램 연계
행정사항
추천자료
복지관 보고서/치매케이스
[사회과학] 심리사회적사정 사례
성인간호- 호흡기 내과 케이스 스터디
부산시 해운대구 노인 장기요양에 대한 요구 조사
지역사회간호 케이스 스터디 - 담낭암
(정신보건 서비스 전달체계)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의 사업내용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
보건진료소 사례5
지역간호학 비판성찰
영유아 영양관리의 필요성과 영양교육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조사
[보육계획안] 아동건강[뽀로로와 손씻기]
폐결핵 케이스 (Tuberculosis CASE STUDY), 폐결핵 간호진단, 폐결핵 간호과정, TB case TB ...
[정신] 충동조절장애(control disorder) 간호사정 및 퇴원교육
[여성] 정상분만[Normal delivery(NFSD)]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