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목차
발간사 ‥‥‥‥‥‥‥‥‥‥‥‥‥‥‥‥ 1
Ⅰ. 몽골의 일반적 이해
개관 ‥‥‥‥‥‥‥‥‥‥‥‥‥‥‥‥‥ 3
국호와 인구‥‥‥‥‥‥‥‥‥‥‥‥‥‥ 3
지리와 기후‥‥‥‥‥‥‥‥‥‥‥‥‥‥ 4
정치와 경제‥‥‥‥‥‥‥‥‥‥‥‥‥‥ 6
역사 ‥‥‥‥‥‥‥‥‥‥‥‥‥‥‥‥‥ 6
언어 ‥‥‥‥‥‥‥‥‥‥‥‥‥‥‥‥‥ 7
몽골어 알파벳과 독음 ‥‥‥‥‥‥‥‥‥ 7
몽골의 종교 ‥‥‥‥‥‥‥‥‥‥‥‥‥ 8
비자 취득 방법 ‥‥‥‥‥‥‥‥‥‥‥‥ 10
몽골의 생활 정보 ‥‥‥‥‥‥‥‥‥‥‥ 11
선교지 정착 문제 ‥‥‥‥‥‥‥‥‥‥‥ 13
몽골 관련 서적 목록 ‥‥‥‥‥‥‥‥‥ 15
Ⅱ. 몽골 선교 상황
기독교 선교 역사 ‥‥‥‥‥‥‥‥‥‥‥ 18
몽골어 성경 번역의 역사 ‥‥‥‥‥‥‥ 20
현재의 기독교 선교 여건과 전망 ‥‥‥‥ 22
타종파의 활동 현황 ‥‥‥‥‥‥‥‥‥‥ 25
선교지 요구와 사역의 가능성 ‥‥‥‥‥ 26
몽골 선교의 특이성과 그 대책 ‥‥‥‥‥ 29
몽골 선교 현장의 특징 ‥‥‥‥‥‥‥‥ 29
한국 선교사와 몽골 선교 ‥‥‥‥‥‥‥ 30
몽골 선교의 중요한 과제 ‥‥‥‥‥‥‥ 31
몽골 선교의 의의(意義) ‥‥‥‥‥‥‥‥ 33
몽골 선교 전략(안) ‥‥‥‥‥‥‥‥‥‥ 34
몽골에서의 교회 개척 시안 ‥‥‥‥‥‥ 37
기독교 용어 번역과 사용에 관한 문제 ‥‥ 43
몽골 기독교 용어집 (초안) ‥‥‥‥‥‥‥ 46
Ⅲ. 몽골에서의 분야별 선교 활동
교회 개척의 현황과 전망 ‥‥‥‥‥‥‥‥ 51
의료 선교 현황과 전망 ‥‥‥‥‥‥‥‥‥ 55
문서 사역 (출판 및 인쇄) ‥‥‥‥‥‥‥ 58
몽골 연합 성경 훈련원(UBTC) 활동 ‥‥ 59
교회 학교와 어린이 선교 활동 ‥‥‥‥‥ 61
몽골 선교 훈련원(MMTI) 활동 ‥‥‥‥‥ 63
구호 선교 활동, 국제기아대책기구 활동 ‥ 64
스포츠 선교 현황과 전망 ‥‥‥‥‥‥‥ 65
교육 선교의 현황과 전망 ‥‥‥‥‥‥‥‥ 66
울란바타르 한인 교회의 역사와 활동 ‥‥ 69
한국어 교육과 선교 ‥‥‥‥‥‥‥‥‥ 71
선교 단체들의 활동 현황 ‥‥‥‥‥‥‥‥ 73
선교 연합 활동의 내용과 전망 ‥‥‥‥‥‥ 74
Ⅳ. 선교 관련 자료 모음
제1차 한인 선교사 수련회 선교 세미나 자료 76
종교법(안) ‥‥‥‥‥‥‥‥‥‥‥‥ 80
종교법안에 대한 대책 회의록 ‥‥‥‥‥‥ 84
교회 등록 내규(울란바타르 시 의회) ‥‥ 85
몽골 전도 동맹 수련회 자료 ‥‥‥‥‥‥ 87
연합 성경 학교 설립 초안 ‥‥‥‥‥‥‥ 88
몽골 교회 감사 보고서 기사 ‥‥‥‥‥‥ 90
외국인 등록법 ‥‥‥‥‥‥‥‥‥‥‥‥ 92
어느 여성 선교사의 사역 ‥‥‥‥‥‥‥ 98
편집의 글 ‥‥‥‥‥‥‥‥‥‥‥‥‥‥ 101
Ⅰ. 몽골의 일반적 이해
개관 ‥‥‥‥‥‥‥‥‥‥‥‥‥‥‥‥‥ 3
국호와 인구‥‥‥‥‥‥‥‥‥‥‥‥‥‥ 3
지리와 기후‥‥‥‥‥‥‥‥‥‥‥‥‥‥ 4
정치와 경제‥‥‥‥‥‥‥‥‥‥‥‥‥‥ 6
역사 ‥‥‥‥‥‥‥‥‥‥‥‥‥‥‥‥‥ 6
언어 ‥‥‥‥‥‥‥‥‥‥‥‥‥‥‥‥‥ 7
몽골어 알파벳과 독음 ‥‥‥‥‥‥‥‥‥ 7
몽골의 종교 ‥‥‥‥‥‥‥‥‥‥‥‥‥ 8
비자 취득 방법 ‥‥‥‥‥‥‥‥‥‥‥‥ 10
몽골의 생활 정보 ‥‥‥‥‥‥‥‥‥‥‥ 11
선교지 정착 문제 ‥‥‥‥‥‥‥‥‥‥‥ 13
몽골 관련 서적 목록 ‥‥‥‥‥‥‥‥‥ 15
Ⅱ. 몽골 선교 상황
기독교 선교 역사 ‥‥‥‥‥‥‥‥‥‥‥ 18
몽골어 성경 번역의 역사 ‥‥‥‥‥‥‥ 20
현재의 기독교 선교 여건과 전망 ‥‥‥‥ 22
타종파의 활동 현황 ‥‥‥‥‥‥‥‥‥‥ 25
선교지 요구와 사역의 가능성 ‥‥‥‥‥ 26
몽골 선교의 특이성과 그 대책 ‥‥‥‥‥ 29
몽골 선교 현장의 특징 ‥‥‥‥‥‥‥‥ 29
한국 선교사와 몽골 선교 ‥‥‥‥‥‥‥ 30
몽골 선교의 중요한 과제 ‥‥‥‥‥‥‥ 31
몽골 선교의 의의(意義) ‥‥‥‥‥‥‥‥ 33
몽골 선교 전략(안) ‥‥‥‥‥‥‥‥‥‥ 34
몽골에서의 교회 개척 시안 ‥‥‥‥‥‥ 37
기독교 용어 번역과 사용에 관한 문제 ‥‥ 43
몽골 기독교 용어집 (초안) ‥‥‥‥‥‥‥ 46
Ⅲ. 몽골에서의 분야별 선교 활동
교회 개척의 현황과 전망 ‥‥‥‥‥‥‥‥ 51
의료 선교 현황과 전망 ‥‥‥‥‥‥‥‥‥ 55
문서 사역 (출판 및 인쇄) ‥‥‥‥‥‥‥ 58
몽골 연합 성경 훈련원(UBTC) 활동 ‥‥ 59
교회 학교와 어린이 선교 활동 ‥‥‥‥‥ 61
몽골 선교 훈련원(MMTI) 활동 ‥‥‥‥‥ 63
구호 선교 활동, 국제기아대책기구 활동 ‥ 64
스포츠 선교 현황과 전망 ‥‥‥‥‥‥‥ 65
교육 선교의 현황과 전망 ‥‥‥‥‥‥‥‥ 66
울란바타르 한인 교회의 역사와 활동 ‥‥ 69
한국어 교육과 선교 ‥‥‥‥‥‥‥‥‥ 71
선교 단체들의 활동 현황 ‥‥‥‥‥‥‥‥ 73
선교 연합 활동의 내용과 전망 ‥‥‥‥‥‥ 74
Ⅳ. 선교 관련 자료 모음
제1차 한인 선교사 수련회 선교 세미나 자료 76
종교법(안) ‥‥‥‥‥‥‥‥‥‥‥‥ 80
종교법안에 대한 대책 회의록 ‥‥‥‥‥‥ 84
교회 등록 내규(울란바타르 시 의회) ‥‥ 85
몽골 전도 동맹 수련회 자료 ‥‥‥‥‥‥ 87
연합 성경 학교 설립 초안 ‥‥‥‥‥‥‥ 88
몽골 교회 감사 보고서 기사 ‥‥‥‥‥‥ 90
외국인 등록법 ‥‥‥‥‥‥‥‥‥‥‥‥ 92
어느 여성 선교사의 사역 ‥‥‥‥‥‥‥ 98
편집의 글 ‥‥‥‥‥‥‥‥‥‥‥‥‥‥ 101
본문내용
улын тавиур
축복 ерл, ерх
충만하다
치리자 захррагч
친교 нхрлл
침례 булхах ёсллол, баптисма
침례주다 булах ёслол йлдэхь баписма хртээх.
칭의 зтгл, зтгх
크게하다 рглжлх
타고난 трлхийн
태생 трлхйин
통치하다 захирах
파괴 эвдрэл
표적 тэмдэг, гэрчлэл
하나님 Бурхан
하나님 나라
хаанчлал, Бурханы улс
하나님 아버지 Эцэг Бурхан
하늘 тэнгэр
할렐루야 халеляа
할례 огтлох ёслол
할례하다 огтлох ёслол йлдэх.
향 сан
향로 бойпор
헌금 ргл
헌물 ргл
혀 хэл
형제 ах дс
호산나 Хосанна
혼 снс
홍수 ер
화해 эвлэрлэл, эвлэрлэх
환란 зовлон
회개 гэмшил, гэмших
회당 хурлын танхим
훈련 засаглал
훈련시키다 засаглах
희망 найдвар
Ⅲ. 분야별 선교 현황과 전망
교회 개척의 회고와 앞으로의 전망
1. 돌아 보기
1) 초창기: 존 기븐스의 교회 개척과 그 의의
몽골의 교회 개척은 몽골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신게레를 번역한 존 기븐스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초기 선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역이라고 할 수 있는 성경 번역과 최초의 교회 개척이 몽골 선교의 개척자에 해당하는 존 기븐스에 이루어졌다는 것은 차후 몽골 선교에 있어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그가 몽골 선교의 초석을 놓았다는 점에서 그의 교회 개척 사역에 대해 다소 자세히 알아 보기로 한다. 존 기븐스의 교회 개척 사역과 그가 개척한 그리스도 교회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그리스도 교회는 몽골의 최초의 교회이며, 이 교회는 그후 많은 교회들의 모교회가 된다. 몽골에는 두 가지 형태의 교회 개척이 이뤄지는 데, 하나는 기존의 교회가 분립되어 나가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처음부터 새롭게 개척하는 것이다. 존 기븐스가 개척한 그리스도 교회는 몽골 최초의 교회인 동시에 그후 급속하게 늘어나기 시작한 많은 교회의 모교회가 되었다. 다만 그리스도 교회와 그 후에 나타난 교회 간에 긍정적인 분립이라는 관계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은 차후 몽골 교회 내의 불편한 분위기의 원인이 된 동시에, 존 기븐스와 여타 선교사와의 불화의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그리스도 교회와 그 교회가 뿌리가 된 여러 교회 사이에는 실제적으로는 모교회, 자교회, 손자교회의 관계가 있으면서도 불구하고, 명목상으로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명실상부하지 못한 관계로 고착되고 만다. 그리고 그리스도 교회를 그 뿌리로 삼는 교회들 중에는 그 관계가 분명하게 추적될 수 있는 교회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교회들도 있다. 그러나 그후 몽골의 교회들의 많은 지도자들이 이 그리스도 교회의 출신이라는 점은 이러한 사실에 대한 분명한 증거가 아닐 수 없다. 물론 한때 그리스도 교회의 교인이었던 사람이 영원히 그 교회의 교인이어야 한다거나, 다른 교회나 기관과 관계를 맺어서는 안된다거나, 혹은 그들이 모두 그리스도 교회에서 이미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다 갖추었다고 단정하거나 주장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지만, 그 교회의 출신들이 다른 교회의 지도자나 교인이 되는 과정들이 그리 순조롭게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존 기븐스는 피해의식과 아울러 여타 선교사나 몽골 현지인 지도자들에 대해 불신과 아울러 불만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이런 의혹에 대해서는 그 의혹이 전혀 근거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없으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일단의 책임을 물을 수 있다.
둘째, 따라서 그리스도 교회의 최초의 실질적인 지도자였던 존 기븐스의 영향은 비단 그리스도 교회 뿐 아니라 그 교회를 뿌리로 한 많은 교회에서 느낄 수 있다. 존 기븐스의 성경과 그의 최초의 교회는 사실상 몽골 기독교의 초석을 놓은 셈이다. 따라서 그 주춧돌들이 바로 놓였는가 아닌가를 떠나서 그것은 백지같은 몽골 기독교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다. 초기에는 존 기븐스의 성경과 그리스도 교회가 성경이요 교회이며, 그것도 유일한 가능성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후에 긍정적인 개선의 노력도 기존의 관성으로 인하여 저항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함께 사역했던 일부 선교사들 가운데 그가 사역을 하는 스타일이 다른 이들과 협력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하곤 한다. 곧 주도적 역할을 양보하지 않고 계속 유지하려는 자세가 연합에 어려움을 초래한다는 평이다. 이로써 그의 초기 사역이 차후에 몽골에 입국한 선교사들과의 활발한 연합으로 이어지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세째, 존 기븐스는 그의 아내 알탄치멕과 함께 교회를 지도함으로써 교회의 지도력이 선교사와 현지인이 함께 나누는 예가 된다. 존 기븐스씨의 교회개척의 또다른 특징은 그의 교회가 외국인과 현지인의 지도력을 처음부터 나눠가졌다는 점이다. 이것은 그가 현지인의 지도력은 단시일 내에 키웠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현지인과 결혼하였고, 그 아내가 남편과 함께 교회를 지도했기 때문에 생겨난 결과이다. 그러나 그것이 얼마나 실제적인 지도력의 공유였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현지인의 지도력은 자격을 갖춘 지도력이 아니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선교사의 지도력에 종속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그런 사실을 인정하기 보다 현지인이 지도력을 공유한다는 점만이 강조됨으로써 그후 여러가지 문제점을 낳게 된다. 물론 처음부터 현지인과 지도력을 공유하면서 그들로 하여금 시행착오로부터 배우면서 지도력을 배양해 나가는 것은 매우 의의있는 일이다. 그러나, 현지인이 지도력을 가져야 한다는 당위성과 지도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만이 강조됨으로써 몽골에서 긍정적인 현지인 지도자 양성에 걸림돌이 된 점이 있었다.
현지인은 지도자가 됨에 있어서 자격을 갖춰야 한다는 조건보다는 지도자라는 지위 획득 자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위치를 확보하면 곧 자격이 동반되는 듯한 오해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지도자가 되기에 성급했고, 혹 선교사가 그런 시기를
축복 ерл, ерх
충만하다
치리자 захррагч
친교 нхрлл
침례 булхах ёсллол, баптисма
침례주다 булах ёслол йлдэхь баписма хртээх.
칭의 зтгл, зтгх
크게하다 рглжлх
타고난 трлхийн
태생 трлхйин
통치하다 захирах
파괴 эвдрэл
표적 тэмдэг, гэрчлэл
하나님 Бурхан
하나님 나라
хаанчлал, Бурханы улс
하나님 아버지 Эцэг Бурхан
하늘 тэнгэр
할렐루야 халеляа
할례 огтлох ёслол
할례하다 огтлох ёслол йлдэх.
향 сан
향로 бойпор
헌금 ргл
헌물 ргл
혀 хэл
형제 ах дс
호산나 Хосанна
혼 снс
홍수 ер
화해 эвлэрлэл, эвлэрлэх
환란 зовлон
회개 гэмшил, гэмших
회당 хурлын танхим
훈련 засаглал
훈련시키다 засаглах
희망 найдвар
Ⅲ. 분야별 선교 현황과 전망
교회 개척의 회고와 앞으로의 전망
1. 돌아 보기
1) 초창기: 존 기븐스의 교회 개척과 그 의의
몽골의 교회 개척은 몽골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신게레를 번역한 존 기븐스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초기 선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역이라고 할 수 있는 성경 번역과 최초의 교회 개척이 몽골 선교의 개척자에 해당하는 존 기븐스에 이루어졌다는 것은 차후 몽골 선교에 있어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그가 몽골 선교의 초석을 놓았다는 점에서 그의 교회 개척 사역에 대해 다소 자세히 알아 보기로 한다. 존 기븐스의 교회 개척 사역과 그가 개척한 그리스도 교회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그리스도 교회는 몽골의 최초의 교회이며, 이 교회는 그후 많은 교회들의 모교회가 된다. 몽골에는 두 가지 형태의 교회 개척이 이뤄지는 데, 하나는 기존의 교회가 분립되어 나가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처음부터 새롭게 개척하는 것이다. 존 기븐스가 개척한 그리스도 교회는 몽골 최초의 교회인 동시에 그후 급속하게 늘어나기 시작한 많은 교회의 모교회가 되었다. 다만 그리스도 교회와 그 후에 나타난 교회 간에 긍정적인 분립이라는 관계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은 차후 몽골 교회 내의 불편한 분위기의 원인이 된 동시에, 존 기븐스와 여타 선교사와의 불화의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그리스도 교회와 그 교회가 뿌리가 된 여러 교회 사이에는 실제적으로는 모교회, 자교회, 손자교회의 관계가 있으면서도 불구하고, 명목상으로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명실상부하지 못한 관계로 고착되고 만다. 그리고 그리스도 교회를 그 뿌리로 삼는 교회들 중에는 그 관계가 분명하게 추적될 수 있는 교회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교회들도 있다. 그러나 그후 몽골의 교회들의 많은 지도자들이 이 그리스도 교회의 출신이라는 점은 이러한 사실에 대한 분명한 증거가 아닐 수 없다. 물론 한때 그리스도 교회의 교인이었던 사람이 영원히 그 교회의 교인이어야 한다거나, 다른 교회나 기관과 관계를 맺어서는 안된다거나, 혹은 그들이 모두 그리스도 교회에서 이미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다 갖추었다고 단정하거나 주장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지만, 그 교회의 출신들이 다른 교회의 지도자나 교인이 되는 과정들이 그리 순조롭게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존 기븐스는 피해의식과 아울러 여타 선교사나 몽골 현지인 지도자들에 대해 불신과 아울러 불만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이런 의혹에 대해서는 그 의혹이 전혀 근거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없으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일단의 책임을 물을 수 있다.
둘째, 따라서 그리스도 교회의 최초의 실질적인 지도자였던 존 기븐스의 영향은 비단 그리스도 교회 뿐 아니라 그 교회를 뿌리로 한 많은 교회에서 느낄 수 있다. 존 기븐스의 성경과 그의 최초의 교회는 사실상 몽골 기독교의 초석을 놓은 셈이다. 따라서 그 주춧돌들이 바로 놓였는가 아닌가를 떠나서 그것은 백지같은 몽골 기독교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다. 초기에는 존 기븐스의 성경과 그리스도 교회가 성경이요 교회이며, 그것도 유일한 가능성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후에 긍정적인 개선의 노력도 기존의 관성으로 인하여 저항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함께 사역했던 일부 선교사들 가운데 그가 사역을 하는 스타일이 다른 이들과 협력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하곤 한다. 곧 주도적 역할을 양보하지 않고 계속 유지하려는 자세가 연합에 어려움을 초래한다는 평이다. 이로써 그의 초기 사역이 차후에 몽골에 입국한 선교사들과의 활발한 연합으로 이어지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세째, 존 기븐스는 그의 아내 알탄치멕과 함께 교회를 지도함으로써 교회의 지도력이 선교사와 현지인이 함께 나누는 예가 된다. 존 기븐스씨의 교회개척의 또다른 특징은 그의 교회가 외국인과 현지인의 지도력을 처음부터 나눠가졌다는 점이다. 이것은 그가 현지인의 지도력은 단시일 내에 키웠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현지인과 결혼하였고, 그 아내가 남편과 함께 교회를 지도했기 때문에 생겨난 결과이다. 그러나 그것이 얼마나 실제적인 지도력의 공유였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현지인의 지도력은 자격을 갖춘 지도력이 아니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선교사의 지도력에 종속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그런 사실을 인정하기 보다 현지인이 지도력을 공유한다는 점만이 강조됨으로써 그후 여러가지 문제점을 낳게 된다. 물론 처음부터 현지인과 지도력을 공유하면서 그들로 하여금 시행착오로부터 배우면서 지도력을 배양해 나가는 것은 매우 의의있는 일이다. 그러나, 현지인이 지도력을 가져야 한다는 당위성과 지도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만이 강조됨으로써 몽골에서 긍정적인 현지인 지도자 양성에 걸림돌이 된 점이 있었다.
현지인은 지도자가 됨에 있어서 자격을 갖춰야 한다는 조건보다는 지도자라는 지위 획득 자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위치를 확보하면 곧 자격이 동반되는 듯한 오해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지도자가 되기에 성급했고, 혹 선교사가 그런 시기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