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원인
2.증상과 징후
3.부정맥의 형태
4.치료와 간호
2.증상과 징후
3.부정맥의 형태
4.치료와 간호
본문내용
때도 있다.
(6) 각블럭
심실 중격의 상부에서 히스 속이 좌우 각으로 갈라져 좌우 심실로 흥분을 전달하는데 이중 어떤 각이 차단되어 심실의 말초부에 흥분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각블러(bundle branch block; BBB)라고 한다. 심전도상에서 QRS 간격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진다.
치료와 간호
(1) 항부정맥 약물요법
① Lidocaine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수술실에서 심실성 부정맥 환자가 발생했을 때 제일 먼저 쓰이는 약이다. Lidocaine은 심실성 부정맥치료에 효과가 크며 정맥으로 주사한다. 그러나 과량을 투여했을 경우 중추신경계에 부작용, 특히 경련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② Quinidine
주로 심방성 부정맥의 치료에 쓰인다. 특히 심방세동을 정상리듬으로 전환시키거나 전기 흉부쇼크의 한 방법인 심장리듬전환 시에 정상리듬을 유지하기 위하여 많이 쓰인다.
(2) 인공 심박동기
인공 심박동기는 동방결절이 기능부전으로 심박조절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거나, 또는 동방결절과 심방으로부터의 자극이 방실연접부를 통해서 심실까지 적절히 도달할 수 없을 때에 인공적으로 심박동을 일으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구이다.
일시적 인공 심박동기 적응증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 적응증
수술, 수술 후 회복기, 심도자, 관상동맥 촬영, 서맥을 유발하는 약물요법,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 설치 전과 같은 특수 상황에 처해있는 동안 적정 맥박과 리듬을 유지하기 위함
개방 심장 수술 후 응급상황 예방
2도, 3도 블럭, 방실블럭, 각블럭을 동반한 심장 앞 부위의 급성 심근경색
증상이 있는 서맥, 방실
(6) 각블럭
심실 중격의 상부에서 히스 속이 좌우 각으로 갈라져 좌우 심실로 흥분을 전달하는데 이중 어떤 각이 차단되어 심실의 말초부에 흥분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각블러(bundle branch block; BBB)라고 한다. 심전도상에서 QRS 간격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진다.
치료와 간호
(1) 항부정맥 약물요법
① Lidocaine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수술실에서 심실성 부정맥 환자가 발생했을 때 제일 먼저 쓰이는 약이다. Lidocaine은 심실성 부정맥치료에 효과가 크며 정맥으로 주사한다. 그러나 과량을 투여했을 경우 중추신경계에 부작용, 특히 경련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② Quinidine
주로 심방성 부정맥의 치료에 쓰인다. 특히 심방세동을 정상리듬으로 전환시키거나 전기 흉부쇼크의 한 방법인 심장리듬전환 시에 정상리듬을 유지하기 위하여 많이 쓰인다.
(2) 인공 심박동기
인공 심박동기는 동방결절이 기능부전으로 심박조절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거나, 또는 동방결절과 심방으로부터의 자극이 방실연접부를 통해서 심실까지 적절히 도달할 수 없을 때에 인공적으로 심박동을 일으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구이다.
일시적 인공 심박동기 적응증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 적응증
수술, 수술 후 회복기, 심도자, 관상동맥 촬영, 서맥을 유발하는 약물요법,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 설치 전과 같은 특수 상황에 처해있는 동안 적정 맥박과 리듬을 유지하기 위함
개방 심장 수술 후 응급상황 예방
2도, 3도 블럭, 방실블럭, 각블럭을 동반한 심장 앞 부위의 급성 심근경색
증상이 있는 서맥, 방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