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빈도분석 기술통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빈도표

기술통계

T-검정

교차분석

현재 급여 * 성별

현재 급여 * 소수민족 여부

현재 급여 * 연령대

현재 급여 * 경력

현재 급여 * 근무 기간

현재 급여 * 최초 급여

현재 급여 * 교육 수준

상관계수

일변량 분산분석

교육 수준

최초 급여

선형회귀분석

본문내용

.
사후분석은 Scheffe를 사용하였습니다.
교육 수준
변수값 설명
N
교육 수준
1
중졸
13
고졸
38
대졸
34
대학원 이상
15
종속변수: 현재 급여
소스
제 III 유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수정 모형
43.147(a)
3
14.382
66.885
.000
절편
498.306
1
498.306
2317.375
.000
EDU2
43.147
3
14.382
66.885
.000
오차
20.643
96
.215
합계
635.000
100
수정 합계
63.790
99
a R 제곱 = .676 (수정된 R 제곱 = .666)
종속변수: 현재 급여
Scheffe
(I) 교육 수준
(J) 교육 수준
평균차(I-J)
표준오차
유의확률
95% 신뢰구간
상한값
중졸
고졸
-.28
.149
.318
-.71
.14
-.81(*)
.151
.000
-1.24
-.38
-2.11(*)
.176
.000
-2.61
-1.61
고졸
중졸
.28
.149
.318
-.14
.71
-.53(*)
.109
.000
-.84
-.21
-1.83(*)
.141
.000
-2.23
-1.42
대졸
중졸
.81(*)
.151
.000
.38
1.24
.53(*)
.109
.000
.21
.84
-1.30(*)
.144
.000
-1.71
-.89
대학원 이상
중졸
2.11(*)
.176
.000
1.61
2.61
1.83(*)
.141
.000
1.42
2.23
1.30(*)
.144
.000
.89
1.71
관측된 평균에 기초합니다.
* .05 수준에서 평균차는 유의합니다.
Scheffe
교육 수준
N
집단군
2
3
중졸
13
1.69
고졸
38
1.97
대졸
34
2.50
대학원 이상
15
3.80
유의확률
.303
1.000
1.000
동일집단군의 그룹에 대한 평균이 표시됩니다.
유형 III 제곱합에 기초합니다
오차항은 평균제곱(오차) = .215입니다.
a 조화평균 표본 크기 20.069을(를) 사용합니다.
b 집단 크기가 동일하지 않습니다. 집단 크기의 조화평균이 사용됩니다. I 유형 오차 수준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c 유의수준 = .05.
최초 급여
변수값 설명
N
최초 급여
1
15000 이하
51
15000~20000
23
20000~25000
10
25000 이상
16
종속변수: 현재 급여
소스
제 III 유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수정 모형
47.467(a)
3
15.822
93.057
.000
절편
533.396
1
533.396
3137.075
.000
FIRST2
47.467
3
15.822
93.057
.000
오차
16.323
96
.170
합계
635.000
100
수정 합계
63.790
99
a R 제곱 = .744 (수정된 R 제곱 = .736)
종속변수: 현재 급여
Scheffe
(I) 최초 급여
(J) 최초 급여
평균차(I-J)
표준오차
유의확률
95% 신뢰구간
상한값
15000 이하
15000~20000
-.32(*)
.104
.031
-.61
-.02
-1.20(*)
.143
.000
-1.60
-.79
-1.85(*)
.118
.000
-2.18
-1.51
15000~20000
15000 이하
.32(*)
.104
.031
.02
.61
-.88(*)
.156
.000
-1.33
-.44
-1.53(*)
.134
.000
-1.91
-1.15
20000~25000
15000 이하
1.20(*)
.143
.000
.79
1.60
.88(*)
.156
.000
.44
1.33
-.65(*)
.166
.003
-1.12
-.18
25000 이상
15000 이하
1.85(*)
.118
.000
1.51
2.18
1.53(*)
.134
.000
1.15
1.91
.65(*)
.166
.003
.18
1.12
관측된 평균에 기초합니다.
* .05 수준에서 평균차는 유의합니다.
Scheffe
최초 급여
N
집단군
2
3
15000 이하
51
1.90
15000~20000
23
2.22
20000~25000
10
3.10
25000 이상
16
3.75
유의확률
.166
1.000
1.000
동일집단군의 그룹에 대한 평균이 표시됩니다.
유형 III 제곱합에 기초합니다
오차항은 평균제곱(오차) = .170입니다.
a 조화평균 표본 크기 17.732을(를) 사용합니다.
b 집단 크기가 동일하지 않습니다. 집단 크기의 조화평균이 사용됩니다. I 유형 오차 수준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c 유의수준 = .05.
선형회귀분석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가장 쉽게 해결하기 위해
종속변수 하나에 모든 독립 변수를 넣어 분석하는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습니다.
진입/제거된 변수(b)
모형
진입된 변수
제거된 변수
방법
1
현재 직종, 근무 기간, 경력 소수민족 여부, 성별, 교육 수준, 연령대, 최초 급여(a)
.
입력
a 요청된 모든 변수가 입력되었습니다.
b 종속변수: 현재 급여
모형 요약
모형
R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추정값의 표준오차
1
.903(a)
.815
.796
.355
a 예측값: (상수), 현재 직종, 근무 기간, 경력
경력, 소수민족 여부, 성별, 교육 수준, 연령대, 최초 급여
분산분석(b)
모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1
선형회귀분석
44.169
8
5.521
43.925
.000(a)
10.056
80
.126
54.225
88
a 예측값: (상수), 현재 직종, 근무 기간, 경력
경력, 소수민족 여부, 성별, 교육 수준, 연령대, 최초 급여
b 종속변수: 현재 급여
계수(a)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표준오차
베타
1
.205
.066
.228
3.088
.003
.334
.080
.493
4.178
.000
.064
.037
.089
1.720
.089
-.082
.045
-.133
-1.828
.071
.030
.063
.035
.476
.635
-.126
.100
-.078
-1.257
.212
-.111
.100
-.060
-1.108
.271
.172
.085
.192
2.014
.047
a 종속변수: 현재 급여
자료가 맞는 자료인지 판단이 어렵습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1.05.17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7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