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시 몸의 신체적 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임신시 몸의 신체적 변화
1.생식기계
(1)자궁
①비대와 증대
②자궁의 모양, 위치의 변화
③자궁의 혈액공급
(2)질
(3)난소와 난관
2.유방
3.심혈관계
4.조혈계
5.비뇨기계
6.소화기계
7.근골격계
8.신경계
9.피부계
10.내분비계
(1)태반
(2)뇌하수체
(3)갑상샘
(4)부신
(5)난소
11.대사
(1)체중증가
(2)단백질대사
(3)탄수화물대사
(4)지방대사
(5)광물질대사
(6)비타민대사
(7)전해질 및 수분대사
12.호흡기계

본문내용

수분함량이 3.500ml가 되고 모체 혈액량 증가, 자궁 및 유방의 증대로 3000ml정도 축적되어 총 6500ml가 축전된다. 임신 말기로 갈수록 함요부종(pitting edema)가 나타나고 측와위를 제외한 모든 체위에서 자궁이 자궁이하 정맥을 압박해 정맥압이 상승해 1000ml이상의 수분이 축적될 수 있다.
-임부의 검사별 정상치 변화
검사종류
비임신시 정상범주
임신시 변화
시기
Serum Chemistries
Albumin
3.5~4.8mg/dl
1g/dl감소
20주경 점차감소
Calcium
9.~10.3mg/dl
10%감소
점차감소
Chloride
95~105mEq/L
변화없음
점차증가
Creatinine
0.6~1.1mg/dl
0.3mg/dl 감소
20주경
Glucose
65~105mg/dl
1~2g/L 증가
점차증가
Fibrogen
1.5~3.6g/L
10%감소
점차감소
Potassuim
3.5~4.5mEq/L.
0.2~0.3mEq/L 감소
20주경
Protein
6.5~8.5g/L
1g/dl 감소
20주경, 그 후 유지
Sodium
135~145mEq/L
2~4mEq/L감소
20주경, 그 후 유지
Urea nitrogen
12~30mg/dl
50%감소
임신 1기
Uric acid
3.5~8mg/dl
33%감소
임신 1기, 말기 때 다시 증가
Urinary chemistries
Creatinine
15~25mg/kg per day(1~1.4g/d)
변화없음
Protein
150mg/d까지
250~300mg/d까지
20주경
Creatinine cheranace
90~130ml/min per 1.73m2
40~50%증가
16주경
Serum Enzymatic Activities
Amylase
23~84IU/l
50~100%증가
논란의 여지가 있음
Glutamic pyruvic(SGPT)
5~35mU/ml
변화없음
Glutamic oxaloacetic(SGOT)
5~40mU/ml
변화없음
Hermatocrit(female)
36~46%
4~7%감소
30~34주경에 최저치
Hemoglobin(female)
12~16g/dl
1.5~2g/dl 증가
30~34주경에 최저치
Leukocyte count
4.8~10.8x10^3/mm^3
3.5x103mm^3증가
Platelet count
150~400x10^3/mm^3
약감감소
점차증가
Erythrocyte count
4.0~5.0x10^6/mm^3
25~30%증가
6~8주경 시작
Serum Hormone Values
Cortisol
8~21ug/dl
20ug/dl 증가
28~32주경에 최고치, 그 후 말기까지 유지
Prolactin
25ug/ml
50~400ng/ml 증가
말기까지 점차 증가
Thyroxin(T3)
5~11g/dl
5mg/dl 증가
초기부터 상승한 뒤 유지
Triodothyronine(T4)
125~245ng/dl
50% 증가
초기부터 상승한 뒤 유지
12.호흡기계
-횡경막은 자궁증대로 약 4cm 상승해 흉막강 횡경이 2cm정도 증가하고, 가슴둘레는 6cm 정도 커진다. 늑골하각도 임신전의 약 68도에서 임신 말기에는 약 103도 정도로 넓어 진다. 임신시 나타나는 과호흡은 임신 1기, 2기부터 발생하며 원인은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호흡조절중추의 민감성이 증가되 호흡용적이 증가되어 혈중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감소해 폐포에서 낮아진 이산화탄소 분압에 반응해 활발한 가스교환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임신중 호흡기계 변화
호흡수
변화없거나 약간증가
1회 호흡량
30~40% 증가
폐활량
변화없음
흡기량
증가
환기량
감소
총환기량
변화없거나 약간 감소
산소 소모량
15~20%
잔류량
감소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22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9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