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evaluation procedures for stroke survivors
client-centered assessment
Top-Down Approach to Assessment
Effects of Neurological Deficits on Activity Performance
THE NONFUNCTIONAL UPPER EXTREMITY
PSYCHOSOCIAL ADJUSTMENT
client-centered assessment
Top-Down Approach to Assessment
Effects of Neurological Deficits on Activity Performance
THE NONFUNCTIONAL UPPER EXTREMITY
PSYCHOSOCIAL ADJUSTMENT
본문내용
oral evaliation(A-ONE)은 SELF-CARE에대한 수행요소의 기능장애(left neglect, apraxia, spatial dysfunction)과 mobility task를 서로 관련시켰다.
the assessment of motor process skills(AMPS)은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을 사용하고 여기에는 motor function (reaching, grasping, posture)과 process skill
dysfunction(using items and searching and locating)을 기초로 평가한다.
table 37-3에는 뇌졸중 생존자들에게 사용하는 평가도구에 대해 요약되어있다.
functional limitations commonly observed after strokes
복합적인 요소는 환자가 작업치료에서 초점으로 요구하는 다양한 과제의 효력과 효율적인 실행을 방해할수 있다. 다음의 section은 뇌졸중 생존자가 일하는 동안 전형적으로 관찰되는
기능을 방해하는 것을 복습하는 것이다.
Inability to perform chosen tasks while seated
뇌졸중후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손상은 몸통과 자세조절의 상실이다.
몸통조절의 부조화는 다음 문제를 야기하게된다.
1. 하지의 조절장애 (dysfunction of limb control)
2. 넘어질 위험증가 (increased risk for falls)
3. 주위환경과의 상호작용 장애 (impaired ability to intact with the environment)
4. 머리와 목의 일직선 정렬기능 장애로 생기는 2차적인 시야결손 (visual dysfunction
secondary to resultant head and neck malalignment)
5. 중앙부위의 일직선 정렬기능 장애로 생기는 2차적인 연하장애 증상 (symptoms of dysph
agia secondary to proximal malalignment)
6. 일상생활동작의 독립성 감소(decreased independence in ADL)
뇌졸중후 몸통조절의 상실은 적절한 배열로 앉을수 없고, 정위반응과 평형반응의 상실, 자세조절실조로 인하여 팔의 회전범위를 벗어난 부위에 팔을 뻗을수 없게되고, 기능을 시도하는동안 넘어지는것등을 관찰할수있다.
몸통조절 상실을 가진 뇌졸중 생존자들은 직립자세를 유지하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자세보정을 위해 기능적으로 상지를 더 많이 사용할 필요가있다. 이러한 경우에, 환자들은 바닥을 지지하는 것으로부터 더 많은 기능적인 팔의 들어올이는 동작들이 넘어지는 결과를 존재할수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동작이나 이동작업에 연관된 기능을 효과작으로 제거한다.
“ 몸통조절은 복잡한 행위에 대한 기초를 구성하는 더욱더 복잡한 사지 움직임을 조절하는 것에 대한 필수불가결한 명백한 기초로 보여진다.”
연구를통해, 몸통조절이 뇌졸중후 보행의 회복, 균형있게 앉기, barthel index score와 functi
onal independence measure score를 예견할수 있다고 밝혀졌다.
몸통에 대한 뇌졸중의 특별한 영향은 다음과 같다. :
1. 공간상호작용의 실조로써 중심선을 인지할수없고, 그 결과로 똑바로, 수직으로 앉아있을 수 없게한다.
2. 기능적이 활동에 있어서 engagement를 지지하지 않는 고정된 자세독점(e.g. 뒤로 골반을 경사지게 하기, 척추후만, 외전)
3. 다양한 방향으로서의 몸통 약화
4. 연부조직 단축으로인한 2차적인 척추 구축
5. 몸통의 부분적 움직임 불가능 (e.g 몸통은 하나의 단위로 움직인다) ( 이 현상의 예를들
면 침대에서 움직이는 동안 패턴은 “log rolling\"을 사용하고, 중앙선을 지나서 항목에 도
달하는 동안 몸통의 회전의 움직임이 불가능하다.)
6. 골반의 앞, 뒤, 측면으로 체중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
몸통조절에 특별한 손상은 과제수행에 관찰을 통하여 평가된다. (box 37-1) 과제 관찰은
치료사가 많은 방향으로 몸통조절을 평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고,(trunk muscle group의
isometric, eccentric, concentric control)
s>그리고 환자의 안정성의 제한을 평가하게 해준다.
사지의 안정성은 “공간의 범위 경계선에서 신체는 base of support의 변화없이 이런 자세를 유지할수 있다.” 또는 “center of mass는 equilibrium의 분열없이 어떤 주어진 support의 b
ase를 지나서 움직일수 있다. 치료사는 환자가 인지하는 안정성의 한계와 안정성의 실제의 한계사이의 차이점을 구별해야한다. 뇌졸중후에 이것은 body scheme disorder, falling의 공포, 또는 insight나 disability의 인식의 부족 때문에 둘 사이에 불균형이 주로 있다.
만일, 환자가 그들의 실제의 한계보다 더 크게 한계를 느낀다면 그것은 떨어지는것의 주요 원인이 된다. 다른 경우에 환자가 느끼는 한계가 실제의 한계보다 더 낮다면 환자는 더 dynamic한 활동들을 시도 할수 없을 것이고 또는 adaptive equipment에 지나치게 집착한다. 치료의 중재는 다은의 것을 포함ㄹ하여 앉은 자세에서 환자가 선택한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1. 여전히 능동적인 출발 alignment의 중간을 성립해야하고, 기능에서 준비된자세, 이 출발
배열(similar to a typist posture)은 활동에 사지를 참여시키는 것이 필수 조건이다. 요구
되는 자세에는 :
# 발을 바닥에 붙이고 체중 싣기
# 양쪽 ischial tuberosities에 동등하게 체중지지
# 가볍게 전방으로 골반경사 유지
# 직립 척추 (erect spine)
# 엉덩이위에 어깨, 어깨위에 머리
독자는 위의 자세로부터 뻗는 동작을 시도해야하고, 후방골반경사와 척추 굴곡으로 부
the assessment of motor process skills(AMPS)은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을 사용하고 여기에는 motor function (reaching, grasping, posture)과 process skill
dysfunction(using items and searching and locating)을 기초로 평가한다.
table 37-3에는 뇌졸중 생존자들에게 사용하는 평가도구에 대해 요약되어있다.
functional limitations commonly observed after strokes
복합적인 요소는 환자가 작업치료에서 초점으로 요구하는 다양한 과제의 효력과 효율적인 실행을 방해할수 있다. 다음의 section은 뇌졸중 생존자가 일하는 동안 전형적으로 관찰되는
기능을 방해하는 것을 복습하는 것이다.
Inability to perform chosen tasks while seated
뇌졸중후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손상은 몸통과 자세조절의 상실이다.
몸통조절의 부조화는 다음 문제를 야기하게된다.
1. 하지의 조절장애 (dysfunction of limb control)
2. 넘어질 위험증가 (increased risk for falls)
3. 주위환경과의 상호작용 장애 (impaired ability to intact with the environment)
4. 머리와 목의 일직선 정렬기능 장애로 생기는 2차적인 시야결손 (visual dysfunction
secondary to resultant head and neck malalignment)
5. 중앙부위의 일직선 정렬기능 장애로 생기는 2차적인 연하장애 증상 (symptoms of dysph
agia secondary to proximal malalignment)
6. 일상생활동작의 독립성 감소(decreased independence in ADL)
뇌졸중후 몸통조절의 상실은 적절한 배열로 앉을수 없고, 정위반응과 평형반응의 상실, 자세조절실조로 인하여 팔의 회전범위를 벗어난 부위에 팔을 뻗을수 없게되고, 기능을 시도하는동안 넘어지는것등을 관찰할수있다.
몸통조절 상실을 가진 뇌졸중 생존자들은 직립자세를 유지하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자세보정을 위해 기능적으로 상지를 더 많이 사용할 필요가있다. 이러한 경우에, 환자들은 바닥을 지지하는 것으로부터 더 많은 기능적인 팔의 들어올이는 동작들이 넘어지는 결과를 존재할수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동작이나 이동작업에 연관된 기능을 효과작으로 제거한다.
“ 몸통조절은 복잡한 행위에 대한 기초를 구성하는 더욱더 복잡한 사지 움직임을 조절하는 것에 대한 필수불가결한 명백한 기초로 보여진다.”
연구를통해, 몸통조절이 뇌졸중후 보행의 회복, 균형있게 앉기, barthel index score와 functi
onal independence measure score를 예견할수 있다고 밝혀졌다.
몸통에 대한 뇌졸중의 특별한 영향은 다음과 같다. :
1. 공간상호작용의 실조로써 중심선을 인지할수없고, 그 결과로 똑바로, 수직으로 앉아있을 수 없게한다.
2. 기능적이 활동에 있어서 engagement를 지지하지 않는 고정된 자세독점(e.g. 뒤로 골반을 경사지게 하기, 척추후만, 외전)
3. 다양한 방향으로서의 몸통 약화
4. 연부조직 단축으로인한 2차적인 척추 구축
5. 몸통의 부분적 움직임 불가능 (e.g 몸통은 하나의 단위로 움직인다) ( 이 현상의 예를들
면 침대에서 움직이는 동안 패턴은 “log rolling\"을 사용하고, 중앙선을 지나서 항목에 도
달하는 동안 몸통의 회전의 움직임이 불가능하다.)
6. 골반의 앞, 뒤, 측면으로 체중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
몸통조절에 특별한 손상은 과제수행에 관찰을 통하여 평가된다. (box 37-1) 과제 관찰은
치료사가 많은 방향으로 몸통조절을 평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고,(trunk muscle group의
isometric, eccentric, concentric control)
사지의 안정성은 “공간의 범위 경계선에서 신체는 base of support의 변화없이 이런 자세를 유지할수 있다.” 또는 “center of mass는 equilibrium의 분열없이 어떤 주어진 support의 b
ase를 지나서 움직일수 있다. 치료사는 환자가 인지하는 안정성의 한계와 안정성의 실제의 한계사이의 차이점을 구별해야한다. 뇌졸중후에 이것은 body scheme disorder, falling의 공포, 또는 insight나 disability의 인식의 부족 때문에 둘 사이에 불균형이 주로 있다.
만일, 환자가 그들의 실제의 한계보다 더 크게 한계를 느낀다면 그것은 떨어지는것의 주요 원인이 된다. 다른 경우에 환자가 느끼는 한계가 실제의 한계보다 더 낮다면 환자는 더 dynamic한 활동들을 시도 할수 없을 것이고 또는 adaptive equipment에 지나치게 집착한다. 치료의 중재는 다은의 것을 포함ㄹ하여 앉은 자세에서 환자가 선택한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1. 여전히 능동적인 출발 alignment의 중간을 성립해야하고, 기능에서 준비된자세, 이 출발
배열(similar to a typist posture)은 활동에 사지를 참여시키는 것이 필수 조건이다. 요구
되는 자세에는 :
# 발을 바닥에 붙이고 체중 싣기
# 양쪽 ischial tuberosities에 동등하게 체중지지
# 가볍게 전방으로 골반경사 유지
# 직립 척추 (erect spine)
# 엉덩이위에 어깨, 어깨위에 머리
독자는 위의 자세로부터 뻗는 동작을 시도해야하고, 후방골반경사와 척추 굴곡으로 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