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획요약 ----------------- 4
2 자사소개 ----------------- 5
3 개 요 ----------------- 5
4 기획의도 ----------------- 6
5 분 석 ----------------- 6
1. 환경분석
2. 경쟁사분석
3. SWOT분석
4. STP
6 특 징 ----------------- 8
7 게임 시스템 ----------------- 10
1. 화면 인터페이스 ----------------- 10
2. 조작 인터페이스 ----------------- 13
3. 그래픽 ----------------- 16
8 세부설명 ----------------- 20
9 게임의 진행 ----------------- 21
10 마 케 팅 ----------------- 24
11 수행계획 ----------------- 25
1.일정
2.예산
12 기대효과 ----------------- 27
2 자사소개 ----------------- 5
3 개 요 ----------------- 5
4 기획의도 ----------------- 6
5 분 석 ----------------- 6
1. 환경분석
2. 경쟁사분석
3. SWOT분석
4. STP
6 특 징 ----------------- 8
7 게임 시스템 ----------------- 10
1. 화면 인터페이스 ----------------- 10
2. 조작 인터페이스 ----------------- 13
3. 그래픽 ----------------- 16
8 세부설명 ----------------- 20
9 게임의 진행 ----------------- 21
10 마 케 팅 ----------------- 24
11 수행계획 ----------------- 25
1.일정
2.예산
12 기대효과 ----------------- 27
본문내용
으로 유지 하도록 한다.
B 현재 유저가 선택한 건설 및 생산 표시 창
생산 가능한 건물을 클릭 시 그 목록이 나타나며 건설이 가능한 유니트를
클릭시도 그 목록이 나타나는 창이다. 생산 이나 건설을 담당하고 있는 건물이나 유니트를 선택 하였을 때 생산 가능한 유니트 혹은 건설 가능한 건물의 목록을 보여 주는 창이다. 이 창은 전체적으로 미니 맵과의 현격한 차이를 보여 주기 위하여 짙은 색을 사용하나 전체 이미지는 역시 금속성의 느낌을 주도록 한다.
<위 그림은 스타 크래프트의 한 장면이다. 위 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스타의 화면 인터페이스에서와 같이 뒷 배경이 전혀 보이지 않으며 건설 할 수 있는 건물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C 현재 생산과 건설의 진행 표시 창
유저가 선택한 유니트가 나타나며 생산 혹은 건설 정도 등이 나타나는
창이다.
D 현재의 에너지 상태창(싸이클론)
에너지의 저장량과 사용량을 나타내는 에너지 바이다. 이 창은 두 가지 자원 중 하나인 싸이클론의 사용 바이다.
E 조작 인터페이스 창
유니트 들의 행동에 관련된 인터페이스 창이다. 유니트의 특성에 따른
어느 정도의 차이는 나지만 공격, 수비, 건설, 해체 등 여러 가지 행동
가능한 것들이 나타나는 창이다.
F 현재의 에너지 상태 창(아리룬)
이 창은 다른 자원의 현재 보관량과 소비량을 나타내어 주고 있다.
2.조작 인터페이스
1. 개요
이 게임의 조작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는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인 스타의 인터페이스와 어느 정도의 유사성을 둔다. 이는 게임을 처음 접하는 유저들에게 익숙한 느낌으로 쉽게 다가 갈수 있는 장점을 발휘 할 수 있다. 모든 기본적인 조작은 마우스를 통하여 할 수 있으나 게임에 익숙해 질수록 키보드와 단축키를 이용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2. 세부 설정
먼저 캐릭터 들을 움직이는 기본 조작이다. 모든 캐릭터 들이 할 수 있는 기본 동작에는 선택, 이동, 멈춤, 홀드 가 있으며 유니트의 특성상 있는 나뉘어 지는 동작으로는 건설, 수리, 공격, 채취, 수비 가 있다.
하나. 선택
이 과정은 캐릭터나 건물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는 마우스의 커서로 선택하는 순간 화면의 인터페이스에 그 건물 혹은 캐릭터와 관련된 목록이 보이며 이 순간부터 캐릭터의 자유스러운 조작이 가능하다.
<위 그림은 국산 전략 게임 아마게돈의 한 장면이다. 원 안에 유저들이 선택한 캐릭터가 나와 있으며 화면상에 유저들에게 선택된 유니트가 나와 있다.>
조작법
마우스의 왼쪽 키는 유니트의 선택에 사용 된다.
기본적으로 캐릭터의 선택은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캐릭터를 선택 하는 법은 하나 씩 클릭 하여 한번에 하나의 유니트만 선택하는 방법과 마우스의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 번에 다수의 유니트를 동시에 선택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화면상의 동일 유니트를 모두 선택하기 위해서는 더블 클릭을 사용할 수 있다. 키보드를 함께 이용할 때는 키보드의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의 마우스의 드래그 혹은 클릭으로 선택된 유니트들은 계속해서 그 수가 더해지며 화면상의 유니트가 아닌 현재 유저가 보고 있는 맵에 있는 동일 유니트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은 Ctrl키와 마우스의 더블 클릭을 동시에 한다.
둘. 이동(Move)
이동은 말 그대로 캐릭터의 움직임을 말한다. 이는 오직 마우스로만 조작이 가능하다. 선택된 캐릭터는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다. 선택은 마우스의 왼쪽을 이용하지만 이동 자체는 마우스의 오른쪽을 이용하여 실행한다. 마우스의 왼쪽을 이용하여 선택한 유니트 들은 마우스의 오른쪽으로 클릭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혹은 화면 인터페이스에 나타난 조작 인터페이스 판에서 이동을 클릭하여 지정한 장소 까지 이동하기도 한다.
셋. 멈춤(Stop)
멈춤은 현재 유니트에서 조작하였던 행동을 멈추게 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이동 중, 공격 중, 건설 중 등 어떤 상황에서도 유니트는 그 행동을 멈추고 다른 행동의 대기 상태로 들어 간다.
넷. 고정(Hold)
홀드는 유니트 들이 어떤 상태가 되더라도 움직이지 않으며 그 자리에 고정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상태가 되면 어떤 명령이 떨어져 있더라도 그 유니트는 그 자리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기본적인 조작은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한다.
다섯.공격(Attack)
선택한 유니트를 이용한 공격이다. 적을 발견하여 공격하는 것이며 이는 자동 공격과 집중 공격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 날 수 있다. 역시 마우스를 이용하거나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한다.
여섯.방어(Guard)
선택된 유니트를 이용하여 공격이 아닌 방어만을 실행 시키는 것이다. 마우스로 선택된 유니트를 이용하며 역시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한다.
일곱.건설(Bulid)
이는 건설을 담당하고 있는 유니트 들을 클릭하여 필요한 건물을 건설하는 것을 말한다. 건설을 담당하는 유니트를 선택 할 시에는 화면 인터페이스 오른쪽 화면 인터페이스에 건설이 가능한 건물이 나타나며 이를 선택하여 건물을 지을 위치에 가서 클릭하면 건물이 건설 되며 다른 방법으로는 역시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한다.
여덟.수리
수리는 모든 건물이나 유니트에 해당 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과 몇몇 유니트에 해당 된다. 설정에 따라 생물에 해당 되는 유니트는 수리가 되지 않는다.
수리가 가능한 유니트를 선택하여 수리 대상에 클릭하면 되며 마우스의 오른쪽을 사용하며 역시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한다.
아홉.행성간 이동
유저는 공중 부대를 행성에서 우주로 그리고 우주에서 행성으로 이동을 시켜야 한다. 즉 별을 벗어 났다가 다시 들어 왔다가를 반복해야 되는 것이다. 이는 유니트를 선택한 뒤 마우스의 양쪽 키를 모두 누른 상태에서 위로 혹은 아래로 드래그 함으로서 그 별에서 벗어 나기도 하고 다시 들어 가기도 하는 것이다.
열.자신의 별 보기
유저는 자신이 점령하고 있는 각각의 별을 자주 직접 보며 관리하여야 한다. 이 때 직접 일일이 마우스로 클릭하지 않고
B 현재 유저가 선택한 건설 및 생산 표시 창
생산 가능한 건물을 클릭 시 그 목록이 나타나며 건설이 가능한 유니트를
클릭시도 그 목록이 나타나는 창이다. 생산 이나 건설을 담당하고 있는 건물이나 유니트를 선택 하였을 때 생산 가능한 유니트 혹은 건설 가능한 건물의 목록을 보여 주는 창이다. 이 창은 전체적으로 미니 맵과의 현격한 차이를 보여 주기 위하여 짙은 색을 사용하나 전체 이미지는 역시 금속성의 느낌을 주도록 한다.
<위 그림은 스타 크래프트의 한 장면이다. 위 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스타의 화면 인터페이스에서와 같이 뒷 배경이 전혀 보이지 않으며 건설 할 수 있는 건물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C 현재 생산과 건설의 진행 표시 창
유저가 선택한 유니트가 나타나며 생산 혹은 건설 정도 등이 나타나는
창이다.
D 현재의 에너지 상태창(싸이클론)
에너지의 저장량과 사용량을 나타내는 에너지 바이다. 이 창은 두 가지 자원 중 하나인 싸이클론의 사용 바이다.
E 조작 인터페이스 창
유니트 들의 행동에 관련된 인터페이스 창이다. 유니트의 특성에 따른
어느 정도의 차이는 나지만 공격, 수비, 건설, 해체 등 여러 가지 행동
가능한 것들이 나타나는 창이다.
F 현재의 에너지 상태 창(아리룬)
이 창은 다른 자원의 현재 보관량과 소비량을 나타내어 주고 있다.
2.조작 인터페이스
1. 개요
이 게임의 조작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는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인 스타의 인터페이스와 어느 정도의 유사성을 둔다. 이는 게임을 처음 접하는 유저들에게 익숙한 느낌으로 쉽게 다가 갈수 있는 장점을 발휘 할 수 있다. 모든 기본적인 조작은 마우스를 통하여 할 수 있으나 게임에 익숙해 질수록 키보드와 단축키를 이용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2. 세부 설정
먼저 캐릭터 들을 움직이는 기본 조작이다. 모든 캐릭터 들이 할 수 있는 기본 동작에는 선택, 이동, 멈춤, 홀드 가 있으며 유니트의 특성상 있는 나뉘어 지는 동작으로는 건설, 수리, 공격, 채취, 수비 가 있다.
하나. 선택
이 과정은 캐릭터나 건물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는 마우스의 커서로 선택하는 순간 화면의 인터페이스에 그 건물 혹은 캐릭터와 관련된 목록이 보이며 이 순간부터 캐릭터의 자유스러운 조작이 가능하다.
<위 그림은 국산 전략 게임 아마게돈의 한 장면이다. 원 안에 유저들이 선택한 캐릭터가 나와 있으며 화면상에 유저들에게 선택된 유니트가 나와 있다.>
조작법
마우스의 왼쪽 키는 유니트의 선택에 사용 된다.
기본적으로 캐릭터의 선택은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캐릭터를 선택 하는 법은 하나 씩 클릭 하여 한번에 하나의 유니트만 선택하는 방법과 마우스의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 번에 다수의 유니트를 동시에 선택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화면상의 동일 유니트를 모두 선택하기 위해서는 더블 클릭을 사용할 수 있다. 키보드를 함께 이용할 때는 키보드의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의 마우스의 드래그 혹은 클릭으로 선택된 유니트들은 계속해서 그 수가 더해지며 화면상의 유니트가 아닌 현재 유저가 보고 있는 맵에 있는 동일 유니트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은 Ctrl키와 마우스의 더블 클릭을 동시에 한다.
둘. 이동(Move)
이동은 말 그대로 캐릭터의 움직임을 말한다. 이는 오직 마우스로만 조작이 가능하다. 선택된 캐릭터는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다. 선택은 마우스의 왼쪽을 이용하지만 이동 자체는 마우스의 오른쪽을 이용하여 실행한다. 마우스의 왼쪽을 이용하여 선택한 유니트 들은 마우스의 오른쪽으로 클릭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혹은 화면 인터페이스에 나타난 조작 인터페이스 판에서 이동을 클릭하여 지정한 장소 까지 이동하기도 한다.
셋. 멈춤(Stop)
멈춤은 현재 유니트에서 조작하였던 행동을 멈추게 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이동 중, 공격 중, 건설 중 등 어떤 상황에서도 유니트는 그 행동을 멈추고 다른 행동의 대기 상태로 들어 간다.
넷. 고정(Hold)
홀드는 유니트 들이 어떤 상태가 되더라도 움직이지 않으며 그 자리에 고정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상태가 되면 어떤 명령이 떨어져 있더라도 그 유니트는 그 자리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기본적인 조작은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한다.
다섯.공격(Attack)
선택한 유니트를 이용한 공격이다. 적을 발견하여 공격하는 것이며 이는 자동 공격과 집중 공격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 날 수 있다. 역시 마우스를 이용하거나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한다.
여섯.방어(Guard)
선택된 유니트를 이용하여 공격이 아닌 방어만을 실행 시키는 것이다. 마우스로 선택된 유니트를 이용하며 역시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한다.
일곱.건설(Bulid)
이는 건설을 담당하고 있는 유니트 들을 클릭하여 필요한 건물을 건설하는 것을 말한다. 건설을 담당하는 유니트를 선택 할 시에는 화면 인터페이스 오른쪽 화면 인터페이스에 건설이 가능한 건물이 나타나며 이를 선택하여 건물을 지을 위치에 가서 클릭하면 건물이 건설 되며 다른 방법으로는 역시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한다.
여덟.수리
수리는 모든 건물이나 유니트에 해당 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과 몇몇 유니트에 해당 된다. 설정에 따라 생물에 해당 되는 유니트는 수리가 되지 않는다.
수리가 가능한 유니트를 선택하여 수리 대상에 클릭하면 되며 마우스의 오른쪽을 사용하며 역시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한다.
아홉.행성간 이동
유저는 공중 부대를 행성에서 우주로 그리고 우주에서 행성으로 이동을 시켜야 한다. 즉 별을 벗어 났다가 다시 들어 왔다가를 반복해야 되는 것이다. 이는 유니트를 선택한 뒤 마우스의 양쪽 키를 모두 누른 상태에서 위로 혹은 아래로 드래그 함으로서 그 별에서 벗어 나기도 하고 다시 들어 가기도 하는 것이다.
열.자신의 별 보기
유저는 자신이 점령하고 있는 각각의 별을 자주 직접 보며 관리하여야 한다. 이 때 직접 일일이 마우스로 클릭하지 않고
추천자료
(온라인상점 사업계획서)4P에 따른 마케팅전략 보고서
e-game Net 사업계획서
언어 교구 계획서- 언어교구활동계획안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학업계획서
레크레이션 프로그램 계획서
테니스 트레이닝 계획서
나주정신병원 레크레이션 계획서
꿈의 발전소 사업계획서 PPT자료입니다.
정신병동 활동요법 계획서
한방차 전문점 사업계획서
PC방 사업 계획서 (최종)
노인 레크레이션 계획서
나만의 창의적인 사업계획서 구상 및 계획 분석 및 경영전략분석, 성공사례, 성공전략, 마케...
사회과 교수-학습 계획서 - 고등학교 세계지리 - 세계지리 ((주) 천재교육) -Ⅰ 세계와 지리 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