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몽고자치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몽고자치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개관
2. 역사
3. 경제
4. 환경
5. 관광지

본문내용

내몽고자치구
목차
1. 개관
2. 역사
3. 경제
4. 환경
5. 관광지
1. 내몽고 자치구 개관
[공식명칭]: 중국 내몽고자치구(內蒙古自治區) *약칭은 네이멍구

[위치]
내몽고자치구는 중국의 북쪽 변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황허의 북쪽 기슭에 있는 허타오평원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길게 가로놓여 있어 동서 간의 직선 길이가 2400여 킬로미터에 달하며 남북 간의 직선 길이가 1700킬로미터에 달한다. 동에서 남으로 지린, 랴오닝, 허베이, 산시 등의 여러 성 및 닝샤후이족 자치구와 접경하고 있다. 북에서 서쪽으로는 외몽골과 국경을 맞닿아 있다.

[수도]: 후허하오터[呼和浩特] * 한국식 발음 : 호화호특
후허하오터는 춘추전국시대에 조나라가 이미 군을 설치했던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이며 명칭은 몽골어를 음역한 것으로서 \"청색의도시\"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16세기 중반 성벽을 개축할 때 청색벽돌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면적]
총면적은 약 110만㎢. 면적에 있어서는 신강위구르자치구, 티베트에 이어 세 번째로 넓은 지역이다. 1947년 5월 1일 중국에서는 첫 번째로 자치구로 승인된 지역이다. 내몽고자치구는 중국 토지의 12.3%를 차지하며 중국의 성, 자치구에서 세 번째로 크다.

[인구]: 약 2,288만 명(1998)
주민은 약 90%가 한족이고 나머지 대부분이 몽골족이다. 몽골족은 마오쩌둥 시대에 목축 경제의 집단농장화에 따라 정착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밖에 소수의 후이족(回族), 위그르족, 다우르족, 만주족, 조선족 ,티베트족 등이 산다.
내몽고자치구에 한족이 대다수를 이루는 까닭은 원이 망하고 청나라가 수립되면서부터 이 지역은 중국과의 관계가 밀접해졌다. 이때부터 청나라의 장려 하에 한족의 이주가 이루어져서 18세기 말에는 한족의 수가 몽골족의 수를 넘어섰다. 한족은 주로 허타오 지역에 살며 내몽고 중부와 동부에도 상당수 거주한다.

[행정단위]
8개의 맹(盟, 내몽고자치구의 행정구역단위)과 4개의 시, 16개의 현급 시, 17개의 현, 49개의 기(旗, 행정구역 단위 = 현), 3개의 자치 현으로 나뉜다.

[지형]
내몽고는 내몽고 초원 또는 내몽고 고원으로 불리는데 고원 면적이 내몽고 총 면적의 50%를 차지하며 후룬벨고우(呼高)평원, 시린궈러고우(林郭勒高)평원 등이 있다. 평균 해발고도는 약 1000미터 이며 고원의 최고 해발고도는 허란산(山)으로 해발 3556미터다. 내몽고 주위에는 산맥으로 둘러싸였고 사막, 삼림, 초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초원 면적이 가장 넓다. 모래지대는 11만㎢, 사막지대는 8만㎢이다. 인산산맥의 남쪽기슭에는 비옥하고 수리가 좋은 허타오 평원이 해발고도 900-1000m의 고원지대에 펼쳐지고 있다.
* 참고 : 고비 사막
중국 북부의 내몽고 자치구와 몽고에 걸쳐 있는 큰 사막. 동서 길이는 약 2,000km이고 남북 길 는 약 1,000km이며, 높이가 900∼1,200m인 고원이다. 대부분 바위와 돌만 있는 사막으로 모래사막 지역은 그다지 넓지 않다. 대륙성 건조 기후로 추위와 더위의 차가 심하다. 초원 지대에서는 목축이 성한데, 근래에는 농목업의 집단화·기계화가 이루어지고, 석유 등 지하자원의 개발도 진행되는 중이다.

[기후]
내몽고는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어 한랭건조하고 한서(더위와 추위)의 차가 커서 기온의 연교차는 대부분의 지역이 36℃ 이상이다. 동쪽은 습한 지대이고, 서쪽은 반 건조한 지대다.
내몽고는 1월의 기온이 가장 낮은데 남쪽은 영하 10℃, 북쪽은 영하 30℃로 남북간의 기온 차이가 크며 연간 최저 기온이 영하 45℃에 달한다.
자치구는 반년 동안 겨울 한파가 잦고 건조한 기후이고 나머지 반년인 여름은 6월부터 9월까지 비가 내려 습하다. 그리고 연강수량의 70%가 여름에 집중돼 작물과 목초의 생육에 적절하다.

[교통-인프라]
교통은 중국 내 5개 자치구 중 가장 발달한 편이다.
- 철도 : 주요 간선에는 북경-포두 철도(징바오철도, 京包鐵道), 포두-난주 철도(바오란 철도, 包蘭鐵道) 등이 있다. 그리고 국제철도인 지얼철도(集二鐵 道:集寧~二連浩特~몽골·러시아)가 유명하다. (濱州線 (包頭-呼和浩特-길림성 -흑룡강성-내몽고를 지나 러시아로 연결되는 최대 간선철도
- 도로 : 1995년까지 전 지역의 개통도로는 44,700㎞이며 이 가운데 포장이 양호한 도 로는 전체의 약 80%에 달한다. 호화호특포두(바오터우)지닝 등지를 중심으로 각 도시로 연결된다.
- 항만 : 황하에 내수면 항운망이 발달해있다.
- 공항 : 내몽고 공항이 있어 몽골공화국과 연결된다. 후어하오터(呼和浩特), 包頭 등 10 여개의 도시에 공항이 분포해 있다. 후어하오터 공항에서는 북경, 상해, 광주, 심천 등 35개 국내선과 울란바트로 등 두개의 국제선이 개통되어 있음.
중부 내륙에 위치해 있고 면적도 넓어 중국의 일반도시에 비해 교통여건이 그다 지 좋지 않다. 화물은 주로 철도에 의해 수송되지만 철로망이 빈약해 화물수송 량은 전국 총 화물수송량의 2.6%에 불과하다. 2000년 내몽고자치구의 화물운 송량은 철도이용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내몽고 지역의 교통은 시 내를 제외한 외곽지역의 교통이 많이 불편한 상황이고 아직까지 도로 포장율이 매우 낮은 상황이다.
2010년 9월 2일 <인민철도보>에 따르면 초원 동부지역에 3개 철도 공정이 동시 에 착공되었다고 한다. 3개 철도는 지닝(集寧)~통리아오(通遼)철도와 시린하오터 (錫林浩特)~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1.05.27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