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낭종 케이스(모성간호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난소낭종 케이스(모성간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일반적 배경

과거 건강력

현재 건강상태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1. 최종진단명

2. 수술명

3. Medication

4. 진단검사
1) 일반진단혈액
2) AIDS, 간염
3) 혈액응고 검사
4) 종양검사
5) 진단검사

수술 후 간호

간호과정(진단, 계획, 수행, 평가)

본문내용

9%
500ML/BAG
수분,전해질보급제
정맥내주사
300ML-1회1일
9/8
수분, 전해질 보급
고나트륨혈증, 울혈성 심부전, 부종
17
PROAMIN 10% 500ML
아미노산수액제
정맥내주사
1BTL-1회1일
9/9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전후 환자의 아미노산 보급제
구토, 구역,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혈압상승 등
4. 진단검사
항 목
결과
정상범주
임상적 의의
9/7
(수술전)
Protein
7.4
8~6g/dl
증가 : 고단백혈증
감소 : 영양결핍등 단백질공급 부족 또는 단백질합성장애, 신증후군 등 배성 이상시 증가
Albumine
4.3
5.2~3.5g/dL
신장염, 간병변, 단백섭취부족, 영양실조, 다발성 골수증, 감염시 감소됨
A.S.T.
15
45~5U/L
간질환, 피로와 스트레스
A.L.T
10
40~10U/L
간질환, 피로와 스트레스
Glucose
105
106~74mg/dl
당뇨병의 지표, 공복시 혈당수치가 126이상 2회이상 측정될 수 당뇨병으로 진단.
B.U.N
16.9
20~7mg/dl
신장배설기능이 비정상적, 탈수, 위장관 출혈, 영양결핍시 상승
Creatine
0.8
1.1~0.6mg/dl
사구체 신염, 신우신염 등 신질환시 상승.
Na.
140
145~135mEq/L
수분 결핍, 염분 과잉, 신 질환, 원발성 aldosterone증, Cushing 증후군
감소 : 구토, 만성 신부전증, 당뇨병성 산성증, Addison 병
K.
3.6
5.3~3.5mEq/L
증가 : 요독증, 부신부전증, 신장염, 염분 과잉, 화상
감소 : 대사성 알칼리증, Cushing 증후군,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Cl.
103
107-98mEq/L
증가 : 탈수증, 만성 신장염, 염분 과잉, 화상시
감소 : Addison 병, 구토, 과식, 신우신염 등
Tg
(Triglyceride)
49
214~45mg/dL
200이상이면 고지혈증
비만, 당뇨, 지방간의 증가, 췌장염, 동맥경화증
T-chol
160
252~147mg/dL
총콜레스테롤, 고지혈증
증가 : 동맥경화, 장애성 황달, 갑상선기능저하, 당뇨
감소 : 영양불량, 간장질환, 빈혈, 항생제 사용시
1) 일반진단혈액
항목
결과
정상범주
임상적 의의
9/7 수술전
9/8 수술후
WBC
7.02
11~4.5X10³uL
증가 : 급만성백혈병. 급성감염증
감소 : 재생불량성빈혈. 과립구감소증. 악성빈혈. 비장기능항진
RBC
4.18
5.1~4.5X100³/uL
증가 : 진성다혈증. 탈수. shock.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감소 : 각종빈혈
Hgb
12.3
10.2
15.5~11.7 g/dL
증가 : 적혈구증다증.
감소 : 빈혈. 백혈병
Hct
36.3
36.3
45~35%
증가 : 구토, 설사, 선천성심질환, 고산병, 폐기종
감소 : 각종빈혈, 철결핍성 빈혈
MCV
86.8
86.9
96~80fL
증가 : 감염, 혈액손실, 철결핍성 빈혈
감소 : 골수 활동의 감소가 나타나는 경우
MCH
29.3
29.0
34~26 pg
MCHC
33.9
33.3
37~31g/dL
PLT
281
276
400~15010³uL
증가 : 만성백혈병, 출혈, 골절
감소 :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2) AIDS, 간염
항 목
결 과
기준치
HIV
Negative
Negative
HBsAb
Positive
Negative
HBsAg
Negative
Negative
3) 혈액응고 검사
항 목
결 과
정상범주
BT
3.00
5~1
PT
95%
14.0~12.3
aPTT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39.6 sec
43.0~30.7
4) 종양검사
항 목
결 과
정상범주
CEA
0.4 ng
5~1
CA-19-9
19.1 IU/mL
37~0
CA-125
29.0I U/mL
35.0
- CEA(carcinoembryonic antigen) : 직장결장암, 유방암, 폐암, 위암, 췌장암, 전립선암
- CA-19-9 : 췌징암, 결장암, 위암
- CA-125 : 난소암, 췌장암
5) 진단검사
항 목
결 과
BTultrasonography
좌측 난소에 Rt : 1.4X0.8cm cyst
Lt : 4.8X4.2cm cyst
chest PA
Normal
수술 후 간호
1. 활력징후 : 체온 37.6℃ 맥박 79회/분 호흡 21회/분 혈압 100/60mmHg
배설
9/8(수술첫째날)
상태
9/9(수술둘째날))
상태
소변
- pm 12:20 200cc
- pm 2:00 35cc
- pm 8:00 460cc
- pm10:00 250cc
유치도뇨카테터 착용중, 소변은 뿌옇다.
- am 6:20 270cc
- am10:00 150cc
- pm12:00 170cc
- pm 6:00 200cc
- pm 8:00 215cc
- pm10:00 250cc
am 8:00
유치도뇨카테터 제거
pm12:00분
self-voiding 하심
총소변량
945cc
1,655cc
대변
0회
0회
2. 배설량 및 상태 :
3. 수면상태 : 입원한 뒤로 잠자리가 바뀌고 사람들도 왔다갔다하고 해서 잠을 푹 잘 수 없어요. 배에 통증이 있어서 깊은 잠을 잘 수가 없네요.
4. 영양상태(가스배출 유무, 현재 식이 등) : 7일 저녁10시부터 금식을 하였으며 가스배출은 10일 a.m 10시 경에 배출됨.(총 36시간 금식.)
5. 신체적 불편감 : 수술로 인한 통증, 배고픔, 기력이 없음
6. 통증호소 완화법 : 이완요법, 무통제, 체위변경, 명상
7. 운동 : 걷기운동(조기이상)
8. 질병과 수술에 대한 인지 정도 : 인식하고 있다.
9. 자가간호 능력배양 : 이루어지고 있다.
문제번호
간호진단목록
발생일
해결일
서명
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통증
9월 8일
9월10일
2
수술과정 및 지지체계부족과 관련된 불안
9월 7일
9월 8일
3
에너지 부족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9월 9일
9월10일
간호과정
문제번호
발생날짜
간 호 진 단
해결날짜
서명
#1
9/8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통증
<과학적 근거>
- 수술 후 통증은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 피부와 그 하부조직은 수술 중 절개와 견인으로 인해 손상된다. 때로는 통증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6.0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1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