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답사기-북한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유산 답사기-북한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심은 데서 비롯되었다. 당시 이계가 일본의 벚나무를 구해다 심은 것은 활재료로 필요했기 때문이었으나 꽃구경으로 한 몫을 보게 되었다고 한다.
우이동은 일찌기 일제 강점기에 천도교(天道敎)의 지도자 의암(義菴) 손병희(孫秉熙)가 수도하던 옛집과 묘소가 있어서 유명하기도 하지만 대한민국의 건국 후에는 제1대 이시영부통령(李始榮副統領)을 위시한 지도자들의 묘소가 들어섰다. 남쪽의 수유리쪽 산비탈에도 신익희(申翼熙) · 이명용(李明龍) · 지청천(池靑天) · 이준(李儁) · 안현생(安賢生) · 조병옥(趙炳玉) 등 많은 독립운동 지도자들의 묘소가 있어 뜻있는 인사들의 참배행렬이 끊어지지 않는다. 선조조(宣祖朝)(1568∼1608)의 문인 고옥(古玉) 정작(鄭綽)은 수암(守菴) 박지화(朴枝華)와 함께 우이동 뒷산에 올라서 다음과 같은 시를 읊었다.
「석양녘 흐르는 물이 쉬지않고 가는 것이
언덕 위에 높이 서니 슬픈 생각이 절로 난다.
남쪽 북쪽의 저 무덤들 많이도 붙어있는데
우리들 여기서 도(道)를 배워야 하겠오.」
명승지를 찾아 산수풍경을 구경하고 취흥행락도 좋지만 선열들 묘소 앞에서 그 업적 정신을 생각하며 우리의 앞길을 다짐하며 보는 일은 더욱 뜻이 있을 것 같다.
과도한 탐방압력이 북한산의 자연생태계를 점차 약화시키고 있어 자연휴식년제 구간, 산불조심기간 중 통제구간, 수많은 샛길, 안전사고 위험지역 등 출입금지구역에 대한 탐방객 스스로의 출입금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북한산국립공원은 삼국시대 이래 과거 2,000년의 역사가 담겨진 북한산성을 비롯한 수많은 역사,문화유적과 100여개의 사찰,암자가 곳곳에 산재되어 있다.
지난 20여년간의 나의 삶이 터전인 북한산의 문화유산에 대하여 여가시간에 풍유를 즐기고 여유만 느낄줄 알았지, 보존가치를 전혀 깨닫지 못하였다.
맑고 깨끗하게 보존하에 후손에게 이어줄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문화유적지로 더욱 가치있게 지켜가야 할 것임을 분명 알게되었다.
앞으로도 내가 태어나 나의 문화가 되고 나의 유산이 된 이곳을 더욱 소중하게 간직하고 싶다.
이것은 화폐의 가치로 계산할수 없는 소중한 문화의 가치로 지켜야할 문화적 유산이기 때문이다. 아! 맑고 푸름의 아름다움이여, 우리가 지키자.
※ 참고문헌
1. 문화유산일기 / 안장헌 - 진선출판사
2. 북한산 역사지리 / 김윤우 - 범우사
3. 북한산 가는 길 / 박창규 - 평화출판사
4. 한국세계문화유산설화 / 김기혁 - 명상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01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18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