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작실습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계공작실습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순 서

1. 실 습 의 개 요
2. 실 습 전 에..
3. 다 듬 질
4. 드 릴 링
5. 밀 링
6. 선 반
7. 용 접
8. 개 선 점

본문내용

는 각도로, 일반적으로 연강에서는 118°이다.3)비틀림 각: 드릴축과 비틀림홈이 이루는 각도로 약 20°~32°가 된다.
4)웹(web): 홈과 홈사이의 벽두께이며 자루쪽으로 갈수록 두꺼워진다.
5)마진(margin): 예비적인 날의 역할이 날의 강도를 보강하며, 드릴의 크 기 를 정하고 드릴의 위치를 잡아준다.
<드릴머신>
<드릴자루>
③ 드릴의 종류
1)곧은 자루: 지름 13mm 이하의 드릴
2)테이퍼 자루: 지름 13mm 이상의 드릴을 테이퍼(1/20)로 되어 있다.가장 널리 쓰이는 드릴은 두줄 비틀림(트위스트)홈 드릴이고, 깊은 구멍을 뚫을때는 기름홈 드릴로 쓰면된다.
이외에도 직선홈 드릴, 평드릴, 반원드릴, 센터드릴 등이 있다.
탭은 지정된 칫수로 가공된 구멍에 암나사를 내기 위한 숫나사 형의 공구로,탭 핸들을 이용한 수작업 또는 기계에 설치해 사용하며, 다른 암나사 가공방법에 비해 능률적이다.
바이트, 체이서, 나사 밀링 등을 이용한 내경 나사 가공은 비교적 큰 지름의나사 가공에 한정되며, 작은 지름의 나사는 일반적으로 탭이 사용된다.
절삭형과 전조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소성변형에 의해 나사를 형성하는전조형은 주로 신율이 큰 비철 금속이나 저탄소강에 적용된다.
* 핸드 탭
챔퍼부의 길이와 각도에 따라 3종류로 구분되며, 이 3종을 한세트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사용 조건에 가장 적합한 것을 골라 단독으로사용하는 것이 더 능률적인 경우도 많다 (KS B 3341).
주로 기계 가공에 사용되며, 탭 핸들을 이용한 손작업에도 사용된다.
- 1번 탭(선두탭, Taper Tap) : 챔퍼부가 9산인 탭
- 2번 탭(중간탭, Plug Tap) : 챔퍼부가 5산인 탭
- 3번 탭(끝맺음탭, Bottoming Tap) : 챔퍼부가 1.5산인 탭
<탭 핸들>
<탭>
가 있고 그 외에

버니어 캘리퍼스
바이스
등이 있다.
* 필요한 재료
다듬질 때 쓰이는 연강은 탄소의 함유량이 비교적 적어서 다른 강철에 비해 연성이 큰 재료이다.
<연 강>
* 실습을 하기 전에...
1. 드릴링 작업
① 절삭유
1)절삭유의 작용가) 공구와 공장물의 냉각나) 공구의 마멸방지
2)용도가) 공구와 공장물의 냉각나) 경강, 합금강: 수용성 및 불수용성다) 주철: 사용하지 않는다.

② 구멍 뚫기 요령
1) 박판(얇은판)의 구멍뚫기: 드릴 선단각이 118°보다 큰 드릴을 사용하든지 목판을 밑에 대고 구멍을 뚫는다.
2) 경사면 구멍뚫기: 공작물의 사선부를 미리 돌출시키거나 엔드밀로 깎아낸다.
3) 겹친 구멍뚫기: 첫 번째 구멍을 뚫는다. → 뚫린 구멍을 공작물과 같은 재질로 메운다. → 두 번째 구멍을 뚫는다. → 메운 것을 빼낸다.
<파손된 태핑이
시편에 박힌 모습>
2.태핑
손다듬질 탭에는 1번, 2번, 3번 탭의 3개가 1개조로 되어 있으며, 1번 탭(황삭)으로 최초의 나사를 내고, 2번 탭(중간 탭)으로 중간 다듬질을 하며, 3번(다듬질) 탭으로 필요한 치수대로 최종 다듬 절삭을 한다.
<탭의 파손 원인 >
- 구멍이 너무 작거나 구부러진 경우
- 탭이 경사지게 들어간 경우
- 탭의 지름에 적합한 핸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 너무 무리하게 힘을 가하거나 빨리 절삭할 경우
- 막힌 구멍의 밑바닥에 탭의 선단이 닿았을 경우
* 안전 수칙
1.드릴링의 작업 안전
- 회전하고 있는 주축이나 드릴에 옷자락이나 머리카락이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드릴을 회전시킨 후 머신 테이블을 조정하지 않으며, 공작물은 완전하게 고정한다.
- 드릴을 고정하거나 풀 때에는 주축이 완전히 정지된 후에 작업을 한다.
- 시동전 드릴이 바른 위치에 안전하게 고정되었는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 드릴이나 소켓 등을 뽑을 때에는 드릴 뽑기를 사용하며, 헤머 등으로 두들겨 뽑지 않는다.
- 얇은 판의 드릴 작업에는 보조판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구멍 뚫기가 끝날 무렵에는 이송을 천천히 하며,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한다
2.태핑의 작업 안전(..이라기보다는 파손방지 방법을 나열하였습니다.)
- 탭을 수직으로 세워서 절삭한다.
- 탭의 지름에 적합한 핸들을 사용한다..
- 너무 무리하게 힘을 가하거나 빨리 절삭하지 않는다.
- 막힌 구멍의 밑바닥에 탭의 선단이 닿았는지 수시로 확인한다.
실습 후기 및 소감(작업과정 포함)
이번 주 실습은 저번 시간에 작업 하였던 시편을 드릴링과 태핑을 통해서 마무리를 짓는 시간이었다.
<드릴링 작업 모습>
부품 하나를 완성하는 시간이니만큼 완성 했을 때의 모습이 기대가 되었기에 서둘러서 작업을 마치고 싶은 생각 뿐이었다.
드릴링을 할 작업 부위에 표시를 하고 드릴 머신에 시편을 물린후 작업을 시작하였다.
처음 작업을 시작 할 때 드릴 날에 가려서 정확히 어느 지점부터 시작해야 될지 몰라서 일일이 드릴 날로 미리 시편에 찍어서 위치를 가늠하였지만 드릴링이 진행 되는 동안 진동이 생각보다 심하여 정확히 위치를 찍어 놨어도 삐뚤어질 까봐 불안하였다.
도중에 칩이 계속 생겨서 귀찮기도 하였지만 그렇다고 손으로 만지면 분명 상처를 입을 것 같아 붓으로 계속 치워줘야 했다. 그래야 작업 면이 잘 보여서 원활한 드릴링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드릴링까지 완료된 시편의 모 습. 이상하게 보이겠지만 정상 적으로 작업을 마친 것이다.>
드릴링을 어느정도 진행하니 시편과의 마찰이 상당하여 조금만 드릴링이 지속되어도 연기가 나는 것이 눈에 보였다. 그래서 조교 선생님께서 가르쳐 주신대로 끊어서 밀어 넣기를 반복하였다.
특히 제일 큰 구멍은 한번에 절삭하면 마찰과 충돌이 너무 커 날이 손상을 입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편이 아예 타버릴 수가 있기 때문에 작은 날부터 차례대로 구멍을 넓혀 줘야 했다.
이런 과정을 거쳤다 해도 맨 마지막에 대형 날로 절삭을 할 때 마찰이 심해서 조금만 시간을 지연시켜도 연기가 나버리기 일쑤였다. 그래서 도중에 열이 과도하게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절삭유를 수시로 뿌려줬다. 시편이 탈까봐 조심조심 작업을 진행하였다.
카운터 싱크 작업은 드릴에 달린 눈금을 기준으로 삼아서 도면에 주어진 대로 밀면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11.06.04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2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