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I. 서론
II. 본론
1. 기존 공무원 조직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및 현실
2. 전라남도 장성군이 발전한 계기
1) CEO형 군수의 선출
2) 대립각을 세우는 의회가 아닌 동반자적 의회
3. 전라남도 장성군의 혁신방법
1) 교육 혁신
- 장성 아카데미의 운용
- 주민 교육을 통한 지식층 육성
- 공무원 조직 내 직무연수의 내실화
2) 조직 혁신
- 기존의 조직과 다른 팀제의 도입
- 성과관리의 내실화
- 전문가를 활용한 마스터플랜 수립
- 디지털 행정의 도입
3) 사회 혁신
- 지자체의 브랜드화
- 찾아가는 맞춤형 서비스
- 기업 유치의 노력
4) 변화하는 장성과 행정학 패러다임
Ⅲ. 결론
I. 서론
II. 본론
1. 기존 공무원 조직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및 현실
2. 전라남도 장성군이 발전한 계기
1) CEO형 군수의 선출
2) 대립각을 세우는 의회가 아닌 동반자적 의회
3. 전라남도 장성군의 혁신방법
1) 교육 혁신
- 장성 아카데미의 운용
- 주민 교육을 통한 지식층 육성
- 공무원 조직 내 직무연수의 내실화
2) 조직 혁신
- 기존의 조직과 다른 팀제의 도입
- 성과관리의 내실화
- 전문가를 활용한 마스터플랜 수립
- 디지털 행정의 도입
3) 사회 혁신
- 지자체의 브랜드화
- 찾아가는 맞춤형 서비스
- 기업 유치의 노력
4) 변화하는 장성과 행정학 패러다임
Ⅲ. 결론
본문내용
의 행정 서비스로 변화하였다.
이제는 장성뿐 아니라 모든 조직이 행정개혁에 나설 때이다. 많은 공공조직들 사이에도 개혁의 목소리가 높다. 작은 지방자치단체들은 장성의 사례가 좋은 예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Ⅲ. 결론 결론부분은 참고문헌에 나와 있는 논문 및 서적을 가지고 성공사례인 장성군에 대하여 재해석한 것임
결론적으로 장성군은 성공 할 수밖에 없도록 변화되어갔다.
그 이유는 첫째, 조직 내부, 외부에서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 그리고 미래에 살기 좋은 사회를 남겨주기 위해 하고자 하는 의식이 강했다.
두 번째, 똑똑한 리더, CEO형 리더, 즉 비즈니스형 리더의 존재가 크나큰 영향을 미쳤다. 장성의 리더인 김흥식 군수는 남들에게 본보기가 되어 장성아카데미에도 먼저 참석하고 장성 곳곳의 민생을 먼저 살폈고, 조직원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먼저 분석하였다. 또한 성과관리의 얼라인먼트를 잘 해냈다. 얼라인먼트란 조직의 부서단위들이 서로 같은(충돌하지 않는) 방향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부서와 부서간의 업무의 흐름이 막히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UOFO-신뢰받는 정부와 기업을 위한 전략적 성과관리 - 이석환(2008) - 제3편 공공부문의 위기와 기회 : 무형의 자산관리 CH2. 얼라인먼트와 유연성 그리고 원칙. P166 인용.
(이석환.2008) 또한 조직내부만을 이용한 것이 아닌 외부 용역 등 의 전문가 활용을 잘했다. 조직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얼라인먼트가 제대로 되어야만 가능하다. 김흥식 군수는 너무나도 원칙 있고 소신 있게 해내었다.
세 번째, 이 리더에 대한 믿음이 바탕이 되었다. 믿음이 없었다면 많은 비판과 지적이 있었겠지만 리더에 대한 믿음이 바탕이 되니 조직 또한 유기적으로 돌아가고, 앞을 보고 달리고 개혁의 목소리를 높일 수 있었다.
네 번째, 대부분의 조직이 상하관계에 의한 의사결정방식을 가지고 있으나 장성군은 의사결정전 횡적인 네트워크, 즉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하여 점검하고 추진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실책 없는 올바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했다.
다섯 번째,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처럼 주민들을 위해 전문가가 되기를 노력했다. 더 많은 걸 알고 경험해야 나를 믿고 의뢰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마음가짐을 배웠다.
여섯 번째, 과거 제한된 영역만이 평가 받는 시스템을 탈피하여 조직 내의 구성원 모두가 자기의 노력만큼 성과를 평가 받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자신에게 반영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동기부여가 되도록 한 것은 높이 평가 받을 만하다.
일곱 번째, 전통적 행정을 탈피하고 신공공관리론 도입의 행정개혁을 표방하였다. 기존공공조직들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고 유연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 시민들은 반응하는 정부를 원하는 반면 정부는 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그때그때 행동지침을 수정하고 반응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UOFO-신뢰받는 정부와 기업을 위한 전략적 성과관리 - 이석환(2008) - 제3편 공공부문의 위기와 기회 : 무형의 자산관리 CH2. 얼라인먼트와 유연성 그리고 원칙. P167 인용.
하지만 장성군은 조직을 더 유연하게 변화하여 시민들의 요구에 더 맞추어 나갔다.
모든 지자체가 그렇다. 주민위에 군림하는 공무원이 아닌, 주민의 곁에서 주민을 위해 일하는 공무원 이 마음가짐이 배경이 되어야 조금이라도 더 질 높은 서비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공무원들도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자기 발전과 개선의 여지가 있으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우리나라 행정개혁에 발전을 도모 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장성군은 공무원 조직 사회가 변화되어야 할 방향을 앞서서 제시해주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1)
서명 : 공무원이 경영하는 회사, 주식회사 장성군
저자 : 양병무
출판사 : 21세기북스(북이십일)
2)
서명 : 새 미래의 행정
저자 : 이종수
출판사 : 대영문화사
3)
신공공관리론과 행정개혁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Appraisal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and the Administrative Reform)
저자명 : 이재은
문서유형 : 학술논문
학술지 : 현대사회와행정 제13권 제2호 (2003. 8) pp.135-154 1229-239X
발행처 : 한국국정관리학회
4)
서명 : UOFO : 신뢰받는 정부와 기업을 위한 전략적 성과관리
저자 : 이석환
출판사 : 법문사 (法文社)
이제는 장성뿐 아니라 모든 조직이 행정개혁에 나설 때이다. 많은 공공조직들 사이에도 개혁의 목소리가 높다. 작은 지방자치단체들은 장성의 사례가 좋은 예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Ⅲ. 결론 결론부분은 참고문헌에 나와 있는 논문 및 서적을 가지고 성공사례인 장성군에 대하여 재해석한 것임
결론적으로 장성군은 성공 할 수밖에 없도록 변화되어갔다.
그 이유는 첫째, 조직 내부, 외부에서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 그리고 미래에 살기 좋은 사회를 남겨주기 위해 하고자 하는 의식이 강했다.
두 번째, 똑똑한 리더, CEO형 리더, 즉 비즈니스형 리더의 존재가 크나큰 영향을 미쳤다. 장성의 리더인 김흥식 군수는 남들에게 본보기가 되어 장성아카데미에도 먼저 참석하고 장성 곳곳의 민생을 먼저 살폈고, 조직원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먼저 분석하였다. 또한 성과관리의 얼라인먼트를 잘 해냈다. 얼라인먼트란 조직의 부서단위들이 서로 같은(충돌하지 않는) 방향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부서와 부서간의 업무의 흐름이 막히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UOFO-신뢰받는 정부와 기업을 위한 전략적 성과관리 - 이석환(2008) - 제3편 공공부문의 위기와 기회 : 무형의 자산관리 CH2. 얼라인먼트와 유연성 그리고 원칙. P166 인용.
(이석환.2008) 또한 조직내부만을 이용한 것이 아닌 외부 용역 등 의 전문가 활용을 잘했다. 조직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얼라인먼트가 제대로 되어야만 가능하다. 김흥식 군수는 너무나도 원칙 있고 소신 있게 해내었다.
세 번째, 이 리더에 대한 믿음이 바탕이 되었다. 믿음이 없었다면 많은 비판과 지적이 있었겠지만 리더에 대한 믿음이 바탕이 되니 조직 또한 유기적으로 돌아가고, 앞을 보고 달리고 개혁의 목소리를 높일 수 있었다.
네 번째, 대부분의 조직이 상하관계에 의한 의사결정방식을 가지고 있으나 장성군은 의사결정전 횡적인 네트워크, 즉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하여 점검하고 추진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실책 없는 올바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했다.
다섯 번째,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처럼 주민들을 위해 전문가가 되기를 노력했다. 더 많은 걸 알고 경험해야 나를 믿고 의뢰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마음가짐을 배웠다.
여섯 번째, 과거 제한된 영역만이 평가 받는 시스템을 탈피하여 조직 내의 구성원 모두가 자기의 노력만큼 성과를 평가 받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자신에게 반영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동기부여가 되도록 한 것은 높이 평가 받을 만하다.
일곱 번째, 전통적 행정을 탈피하고 신공공관리론 도입의 행정개혁을 표방하였다. 기존공공조직들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고 유연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 시민들은 반응하는 정부를 원하는 반면 정부는 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그때그때 행동지침을 수정하고 반응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UOFO-신뢰받는 정부와 기업을 위한 전략적 성과관리 - 이석환(2008) - 제3편 공공부문의 위기와 기회 : 무형의 자산관리 CH2. 얼라인먼트와 유연성 그리고 원칙. P167 인용.
하지만 장성군은 조직을 더 유연하게 변화하여 시민들의 요구에 더 맞추어 나갔다.
모든 지자체가 그렇다. 주민위에 군림하는 공무원이 아닌, 주민의 곁에서 주민을 위해 일하는 공무원 이 마음가짐이 배경이 되어야 조금이라도 더 질 높은 서비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공무원들도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자기 발전과 개선의 여지가 있으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우리나라 행정개혁에 발전을 도모 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장성군은 공무원 조직 사회가 변화되어야 할 방향을 앞서서 제시해주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1)
서명 : 공무원이 경영하는 회사, 주식회사 장성군
저자 : 양병무
출판사 : 21세기북스(북이십일)
2)
서명 : 새 미래의 행정
저자 : 이종수
출판사 : 대영문화사
3)
신공공관리론과 행정개혁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Appraisal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and the Administrative Reform)
저자명 : 이재은
문서유형 : 학술논문
학술지 : 현대사회와행정 제13권 제2호 (2003. 8) pp.135-154 1229-239X
발행처 : 한국국정관리학회
4)
서명 : UOFO : 신뢰받는 정부와 기업을 위한 전략적 성과관리
저자 : 이석환
출판사 : 법문사 (法文社)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