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서론
1. 국내 커피시장 동향
2. 카페베네의 동향
Ⅱ. 본론
1. 카페베네 기업 소개
2. 기업 분석
1) Porter`s Five Forces Model (5 FORCE 모델) 분석
① 잠재적 진입자
② 대체재의 위협
③ 공급자의 교섭력
④ 구매자의 교섭력
⑤ 동종 산업 내의 기존 경쟁자
2) SWOT 분석
① Strength
② Weakness
③ Opportunity
④ Threat
3) STP 분석
① Segmentation & Targeting
② positioning
4) 4P 분석
① Product
② Price
③ Place
④ Promotion
3. 마케팅 전략 분석
1) 스타 & PPL 마케팅
2) 감성 & 문화 & Youth 마케팅
Ⅲ. 결론
Ⅰ. 서론
1. 국내 커피시장 동향
2. 카페베네의 동향
Ⅱ. 본론
1. 카페베네 기업 소개
2. 기업 분석
1) Porter`s Five Forces Model (5 FORCE 모델) 분석
① 잠재적 진입자
② 대체재의 위협
③ 공급자의 교섭력
④ 구매자의 교섭력
⑤ 동종 산업 내의 기존 경쟁자
2) SWOT 분석
① Strength
② Weakness
③ Opportunity
④ Threat
3) STP 분석
① Segmentation & Targeting
② positioning
4) 4P 분석
① Product
② Price
③ Place
④ Promotion
3. 마케팅 전략 분석
1) 스타 & PPL 마케팅
2) 감성 & 문화 & Youth 마케팅
Ⅲ. 결론
본문내용
공간으로 생각해 보았고, 이에 맞게 20~30대 여성을 주로 공략하였다. 주로 공략 대상은 여성이지만 남성카페 이용객 수가 증가함에 따라 남성도 주요 표적시장이 될 수 있다.
2) positioning
카페베네는 차별화된 장점으로 ‘유럽스타일의 디저트 카페’를 내세운다. 벨기에 와플과 이탈리아 젤라또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시켜서, 디저트가 맛있고 와플이 맛있는 카페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각인시키고자 한다.
카페베네의 가격 포지셔닝은 상대적으로 저가보다는 고가에 위치잡고 있다. 커피 값은 비싸지만, 맛있는 커피와 휴식공간을 제공한다는 기업철학을 실현시키기 위해 높은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아래 자료는 가격과 편의제공 측면으로 보았을 때 경쟁업체 대비 카페베네의 포지셔닝을 분석한 것이다. 경쟁업체에는 직접경쟁업체와 간접경쟁업체를 포함시켰다. 카페베네는 고가, 높은 편의성에 자리 잡고 있다.
4) 4P 분석
1) Product
카페베네는 브라질, 콜롬비아, 케냐, 자메이카, 코스카리카, 과테말라에서 수입한 최고급 품질의 원두커피를 사용하여 다른 커피전문점과 경쟁하고 있다. 또한 차별성을 두기 위해 새로운 메뉴를 추가하였는데 이탈리아 젤라또 아이스크림, 벨기에 와플 등의 메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브런치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또한 잡곡을 이용한 곡물 베네스토를 개발하였다. 베네스토는 네베와 미스토를 합친 미스토를 믹스한 것으로 주재료는 콩, 수수, 흑미, 현미, 보리로 이루어진 웰빙 건강메뉴이다.
2) Price
고가전략을 펼치고 있는 커피전문점들과 가격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가격 부분에서는 큰 차이가 없고, 오히려 높은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브런치 세트 메뉴를 구성하여 할인된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카페베네는 카드사와 제휴하여, 할인을 해 주고 있어,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할인카드를 이용시에 저렴하게 이용 할 수 있다.
3) Place
커피전문점들은 대도시의 주요상권과 백화점, 멀티쇼핑몰, 학교 주변, 오피스텔 밀집지역 등과 같은 젊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장이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카페베네는 후발 주자로 커피시장에 뛰어들었기에, 상대적으로 주요상권에 자리잡지 못하였다. 그래서 기존의 커피전문점들을 인수 하여 보다 좋은 위치에 매장이 분포되도록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펼치고, 가맹점 형식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룩하였다.
4) Promotion
PPL전략을 통해 인기 드라마에 자사 브랜드를 노출시킴으로써 소비자 인지도를 높이이고 있으며, 카페베네 런칭 초반 적극적인 PPL 전략으로 MBC \'지붕 뚫고 하이킥\'과 SBS의 \'태양을 삼켜라\' 등에 PPL형식으로 제작 지원하는 등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대기업 계열 엔터테인먼트회사인 사이더스HQ와 손을 잡고 공동 마케팅을 추진했다.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카페베네라는 브랜드보다 한예슬 커피를 홍보함으로써 검색어 1위를 차지할 만큼 성과를 거두었다. 더구나 기존의 카페들이 스타마케팅을 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볼 때, 분명히 차별화 된 시도였다.
그 외에 홈페이지를 통한 다양한 이벤트를 소비자로 하여금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카페베네의 이미지를 향상 시키고 있다.
3. 마케팅 전략 분석
1) 스타 & PPL 마케팅
카페베네는 커피 산업에 후발주자로 뛰어들었기 때문에, 기존 스타벅스, 커피 빈, 할리스, 엔젤리너스 등의 쟁쟁한 브랜드 파워 앞에서 살아남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 하였다. 따라서 기존 브랜드에서 취하지 않던 마케팅 전략을 취하였는데 그게 바로 스타 마케팅과 PPL 마케팅이다.
카페베네는 커피브랜드 업계에서는 최초로 스타를 모델로 한 마케팅 전략을 취하였다. 진입 초기부터 동종 업계에서는 유일하게 한예슬이라는 국내 최고의 여자 연예인과 모델 계약을 맺어 스타마케팅 전략을 펼쳤다.
한예슬을 모델로 한 마케팅 전략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최근에는 최다니엘을 함께 모델로 기용하여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물론 카페베네의 성공에는 스타를 중심으로 한 마케팅 외의 요인들도 무시할 수 없겠지만, 한예슬의 영향이 컸다는 의견이 대세이다. 이 결과 기존에 커피시장을 주름잡던 스타벅스, 커피 빈 등의 업계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위상은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PPL 마케팅을 펼치며 소비자들에게 카페베네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갔다. ‘지붕뚫고 하이킥’에서 극중 연인으로 나오는 황점음과 최다니엘이 다정히 커피를 마시고, 손에 들린 커피잔에는 ‘Caffe bene\' 라는 브랜드 네임이 새겨져 있으며, 장소에도 여기저기에 카페베네를 연상시키는 문구가 보였다. 이를 통해 스타벅스. 커피 빈 등의 다른 유명한 브랜드 사이에서, 늦게 커피시장에 뛰어든 카페베네를 홍보하였다. 이러한 마케팅 전략 속에서, TV를 보는 사람들은 극중에 나오는 곳에 궁금증을 가지고, 그 장면을 상상하며 연인들이 커피를 마시기 좋은 곳, 분위기 좋은 곳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어 잠재적인 고객으로 끌어 들였다.
이렇게 스타를 모델로 기용한 스타마케팅, 드라마 속에 PPL을 통한 PPL 마케팅을 통해 카페베네는 현재 최고의 매장수를 가진 명실상부한 국내 1위의 커피브랜드가 되었다는 효과는 제대로 입증하고 있다.
2) 감성 & 문화 & Youth 마케팅
다른 커피전문점과는 다르게 기존의 커피브랜드와는 차별성을 두기 위해 선택한 마케팅 전략은 나누자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감성마케팅, 소비자와 함께 하는 문화 마케팅,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Youth 마케팅 등이 있다.
주 고객층인 20, 30 대 여성이 선호하는 정통 유럽 빈티지 스타일의 인테리어로 젊은 층은 물론 다양한 고객층을 끌어들였다. 유러피언 스타일의 빈티지와 모던함이 잘 조화된 \'모던빈티지\'를 추구하고 있다. 단순하지만 원목 느낌을 잘 살린 외관과 매장 내 인테리어는 자연의 느낌을 주며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는 공간분할과 아늑함을 주는 조명으로 도심 속 휴식공간을 부각시켰다.
또한 매장에 고객이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PC를 설치하여 편의를 높이고 충성 고객을 늘렸다.
2) positioning
카페베네는 차별화된 장점으로 ‘유럽스타일의 디저트 카페’를 내세운다. 벨기에 와플과 이탈리아 젤라또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시켜서, 디저트가 맛있고 와플이 맛있는 카페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각인시키고자 한다.
카페베네의 가격 포지셔닝은 상대적으로 저가보다는 고가에 위치잡고 있다. 커피 값은 비싸지만, 맛있는 커피와 휴식공간을 제공한다는 기업철학을 실현시키기 위해 높은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아래 자료는 가격과 편의제공 측면으로 보았을 때 경쟁업체 대비 카페베네의 포지셔닝을 분석한 것이다. 경쟁업체에는 직접경쟁업체와 간접경쟁업체를 포함시켰다. 카페베네는 고가, 높은 편의성에 자리 잡고 있다.
4) 4P 분석
1) Product
카페베네는 브라질, 콜롬비아, 케냐, 자메이카, 코스카리카, 과테말라에서 수입한 최고급 품질의 원두커피를 사용하여 다른 커피전문점과 경쟁하고 있다. 또한 차별성을 두기 위해 새로운 메뉴를 추가하였는데 이탈리아 젤라또 아이스크림, 벨기에 와플 등의 메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브런치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또한 잡곡을 이용한 곡물 베네스토를 개발하였다. 베네스토는 네베와 미스토를 합친 미스토를 믹스한 것으로 주재료는 콩, 수수, 흑미, 현미, 보리로 이루어진 웰빙 건강메뉴이다.
2) Price
고가전략을 펼치고 있는 커피전문점들과 가격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가격 부분에서는 큰 차이가 없고, 오히려 높은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브런치 세트 메뉴를 구성하여 할인된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카페베네는 카드사와 제휴하여, 할인을 해 주고 있어,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할인카드를 이용시에 저렴하게 이용 할 수 있다.
3) Place
커피전문점들은 대도시의 주요상권과 백화점, 멀티쇼핑몰, 학교 주변, 오피스텔 밀집지역 등과 같은 젊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장이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카페베네는 후발 주자로 커피시장에 뛰어들었기에, 상대적으로 주요상권에 자리잡지 못하였다. 그래서 기존의 커피전문점들을 인수 하여 보다 좋은 위치에 매장이 분포되도록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펼치고, 가맹점 형식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룩하였다.
4) Promotion
PPL전략을 통해 인기 드라마에 자사 브랜드를 노출시킴으로써 소비자 인지도를 높이이고 있으며, 카페베네 런칭 초반 적극적인 PPL 전략으로 MBC \'지붕 뚫고 하이킥\'과 SBS의 \'태양을 삼켜라\' 등에 PPL형식으로 제작 지원하는 등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대기업 계열 엔터테인먼트회사인 사이더스HQ와 손을 잡고 공동 마케팅을 추진했다.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카페베네라는 브랜드보다 한예슬 커피를 홍보함으로써 검색어 1위를 차지할 만큼 성과를 거두었다. 더구나 기존의 카페들이 스타마케팅을 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볼 때, 분명히 차별화 된 시도였다.
그 외에 홈페이지를 통한 다양한 이벤트를 소비자로 하여금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카페베네의 이미지를 향상 시키고 있다.
3. 마케팅 전략 분석
1) 스타 & PPL 마케팅
카페베네는 커피 산업에 후발주자로 뛰어들었기 때문에, 기존 스타벅스, 커피 빈, 할리스, 엔젤리너스 등의 쟁쟁한 브랜드 파워 앞에서 살아남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 하였다. 따라서 기존 브랜드에서 취하지 않던 마케팅 전략을 취하였는데 그게 바로 스타 마케팅과 PPL 마케팅이다.
카페베네는 커피브랜드 업계에서는 최초로 스타를 모델로 한 마케팅 전략을 취하였다. 진입 초기부터 동종 업계에서는 유일하게 한예슬이라는 국내 최고의 여자 연예인과 모델 계약을 맺어 스타마케팅 전략을 펼쳤다.
한예슬을 모델로 한 마케팅 전략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최근에는 최다니엘을 함께 모델로 기용하여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물론 카페베네의 성공에는 스타를 중심으로 한 마케팅 외의 요인들도 무시할 수 없겠지만, 한예슬의 영향이 컸다는 의견이 대세이다. 이 결과 기존에 커피시장을 주름잡던 스타벅스, 커피 빈 등의 업계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위상은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PPL 마케팅을 펼치며 소비자들에게 카페베네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갔다. ‘지붕뚫고 하이킥’에서 극중 연인으로 나오는 황점음과 최다니엘이 다정히 커피를 마시고, 손에 들린 커피잔에는 ‘Caffe bene\' 라는 브랜드 네임이 새겨져 있으며, 장소에도 여기저기에 카페베네를 연상시키는 문구가 보였다. 이를 통해 스타벅스. 커피 빈 등의 다른 유명한 브랜드 사이에서, 늦게 커피시장에 뛰어든 카페베네를 홍보하였다. 이러한 마케팅 전략 속에서, TV를 보는 사람들은 극중에 나오는 곳에 궁금증을 가지고, 그 장면을 상상하며 연인들이 커피를 마시기 좋은 곳, 분위기 좋은 곳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어 잠재적인 고객으로 끌어 들였다.
이렇게 스타를 모델로 기용한 스타마케팅, 드라마 속에 PPL을 통한 PPL 마케팅을 통해 카페베네는 현재 최고의 매장수를 가진 명실상부한 국내 1위의 커피브랜드가 되었다는 효과는 제대로 입증하고 있다.
2) 감성 & 문화 & Youth 마케팅
다른 커피전문점과는 다르게 기존의 커피브랜드와는 차별성을 두기 위해 선택한 마케팅 전략은 나누자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감성마케팅, 소비자와 함께 하는 문화 마케팅,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Youth 마케팅 등이 있다.
주 고객층인 20, 30 대 여성이 선호하는 정통 유럽 빈티지 스타일의 인테리어로 젊은 층은 물론 다양한 고객층을 끌어들였다. 유러피언 스타일의 빈티지와 모던함이 잘 조화된 \'모던빈티지\'를 추구하고 있다. 단순하지만 원목 느낌을 잘 살린 외관과 매장 내 인테리어는 자연의 느낌을 주며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는 공간분할과 아늑함을 주는 조명으로 도심 속 휴식공간을 부각시켰다.
또한 매장에 고객이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PC를 설치하여 편의를 높이고 충성 고객을 늘렸다.
추천자료
PPL 마케팅 ( PPL 광고 )
(PPL 마케팅) PPL의 효과적인 사용과 앞으로의 전망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 서평
영화속 PPL 마케팅등장 배경과 발전 과정, PPL 광고의 트렌드 심층분석(사례중심) A+
감성 마케팅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 독후감
감성 마케팅
기술과 감성 마케팅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 피피티
오리온의 감성 경영과 감성 마케팅 전략 분석
PPL 마케팅 특징과 전략 및 장단점 분석
[마케팅 관리론] 스타벅스(Starbucks)의 감성 마케팅 (스타벅스 기업분석 , 환경분석, SWOT분...
디자인 마케팅 전략 [포지셔닝 전략, 브랜드 마케팅, 감성 마케팅, 컬러마케팅, 브레인 스토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