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목차
9/1.산성비
9/2.지구온난화
10.오존층파괴[1.2]
11.사막화 및 기후변화 [1.2]
12.지구환경 문제와 국제협력 [1.2]
13.관경영향평가 [1,2]
14.녹색성장의 미래 [1.2]
15.환경교육 [1.2]
9/2.지구온난화
10.오존층파괴[1.2]
11.사막화 및 기후변화 [1.2]
12.지구환경 문제와 국제협력 [1.2]
13.관경영향평가 [1,2]
14.녹색성장의 미래 [1.2]
15.환경교육 [1.2]
본문내용
확대 보급 등을 통해 화석연료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감축
저탄소 녹색성장은 소비패턴을 환경친화형으로 변포시킬 것이다
-소비패턴 전환: 상품의 친환경성에 대한 정보(예: 탄소 라벨링 제도, 에코 효율성 지표 등)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보조금 지급, 조세 감면 등의 혜택이 부여됨→생산구조 전환
2.녹색경영 활성화 및 동향
1)정부
현장 적용확대를 위한 신기술인증·기술검증제도 운영
-환경 신기술의 현장적용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추진
·신기술인장·검증 유효기간 확대
-신기술 활용 촉진을 위한 교육 및 홍보 강화
·공무원 교육과정에 환경신기술(폐기물분야)추가 등 교육 다양화
·시·도 등 지자체 환경행사와 연계한 홍보확대
환경산업·기술 정보서비스 다양화
-환경산업 지원강화를 위한 정보서비스 확대
·국내외 환경정보(수툴, 특허, 연력통계 등) 서비스 다양화
-환경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정보서비스 강화
·환경연구정보제공시스템 운영
·환경 R&D 사업 DB통합 및 Eco-STAR 관리시스템 통합운영
저탄소 녹색성장대회 개최(‘09년 신규, COEX\'09.10)
-녹색기술 및 상품 등 저탄소 녹색산업 종합박람회 개최
·친환경상품 및 탄소 배출량 인증 제품 전시회 등과 합동추진
·저탄소 녹색생산·소비촉진 유공자 포상 등
-제9회 환경기술상 시상
·우수 환경기술 및 제품 등을 연구개발·상용화한 8인
-대학(원)생 환경기술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우수 아이디어 제안자 7인 시상
국내 우수환경기술의 홍보·마케팅 지원 강화
-제11회 환경기술개발사업 성과전시회 및 세미나 개최
·차세대사업 성공수행 기술 소개 및 성과 전시회
-해외진출 홍보책자·영상자료 발간·배포
·추진사업 홍보를 위한 웹진 및 알림어 발간
-우수기술의 홍보·마케팅 지원 확대
·다양한 매체(TV, 신문 등)를 활용한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대국민 공감대 형성 및 관련 문화
확산
환경산업 발전 기반 강화
-우수 환경 산업체 인증제도 추진
·대출금리 및 담보평가액 대비 융자비율 우대방안 마련 예정
-환경산업 경쟁력 지수 표준모델 개발
·환경산업 현황 및 구조변화의 평가 및 지속적 관리
정부차원의 글로벌 파트너 십 구축
-국가간 환경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MOU 체결
-국내·외 상시 수출상담체계 및 무역거래 등 지원시스템 구축
-해외 인력교류 및 산업체 해외진출 협력네트워크 구축
·아시아의 환경 고위공무원 및 실무자 초청 인수(장기:5명. 단기:56명)
-제9차 환경산업라운드테이블(한, 중, 일) 회의참여
2)기업
환경친화기업 지정제도 운영
-기업체의 자율적인 녹색투자 및 녹색시장 창출을 위한 환경경영 지원
·친환경기업 사회적 인식증진 등에 따라 환경경영 지원서비스 지원 수요증가
-환경친화기업 지정 및 인센티브 부여 등 지원제도 운영
·지정기준 확대: (현행)오염관리 실적→(변경)환경경영전략 평가
·지정업종 확대: (현행)제조업→(변경)제조·유통·숙박·운송업
·환경친화기업 업종별 심사기준 제정 및 심사단 운영
-대·공기업의 환경정보 공시제도 운영으로 기업 사회책임 강화
·기업환경정보 공시지침, 공시절차 및 기업제공 정보의 검증절차 마련(‘09.1~10)
·공시시스템 구축을 완료(‘09년)하여 환경친화기업 지정업체 정보등록(183개사)
탄소 라벨링제도 본격 시행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탄소배출량 인증제도”시행
·탄소성적표지 인증기준 개발 (‘08년5건→’09년 10건)
·에너지소비제품별 소비패턴을 고려하여 TV, 음식물처리기, 공기청정기 등에 대한 인증기준 개발 (‘09.12)
-탄소성적표지 인증(‘08년 시범인증 10건→09년 100건)
·탄소배출량을 공개하고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공개할 경우 인증 부여
-저탄소 녹색성장 사회구현을 위한 “저탄소상품 인증제도”마련
·저탄소상품 인증기준 개발(09년, 제품군별)
·국가가 제시한 최소감축 목표를 달성한 제품에 한하여 인증부여
저탄소 사회기반 마련
-저탄소제품 보급 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
·영국 Carbon Trust 탄소라벨링 공동협력 MOU채결
·중소기업에 관련 교육과 인증심사료 50%지원
-저탄소 사회기반 마련을 위한 국민행동 가이드라인 개발
·국민생활습관 변화 유도를 위한 가이드 라인개발
·가이드라인 시범적용(사무실, 유통매장, 학교, 호텔, 대학)
-기업의 탄소효율성 진단 및 저탄소 경영 실행계획 수립
·탄소경영체계 구축, 공정부문 탄소 감축, 저탄소제품 등의 가이드라인 개발
·온실가스 다배출협종 저탄소경영 시범적용(LG화학, POSCO 등)
-개도국 탄소경영기법 교육 실시
·국내 탄소경영 방법론 보급 교육 실시 (동아시아 기업 및 정책담당자 대상)
에코디자인 보급 확산
-에코디자인 품목별 매뉴얼 개발(09년 3종)
·이미징(복사기,스케너 등)기기, 환풍기기, 복합 셋업 박스 등 3종
-중소기업 대상 에코디자인 적용 시범사업 추진
·에코디자인 현장진단 지도 희망 중소기업 선정(09년 2개사)
-에코디자인 특정화 대학원 선정
·우수기업체 현장학습 산·학 합동 제품설계 과정 등 교육운영
무역환경규제 기업대응 지원
-무역·환경정부수집·보급(08년 770건→09년 800건)
·기후변화, REACH, 그린뉴딜 등 국제환경 이슈 전문가 분석 확대
-수요자 맞춤형 정보제공
·국제환경규제동향 뉴스레터 산업계 배포(3,000부/월)
·기후변화 E-뉴스레터 정보제공(11,000명/주)
·녹색성장 해외동향 뉴스레터를 녹색성장기획단에 제공(09.2~)
환경마크 대상품목 다양화 및 인증서비스 강화
-환경마크 대상품목으로 소비자 친환경 수요가 높은 신규품목 선정
·소비자 생활밀착형 대상품목기준 개발(09년,143개)
-인증심사 업무효율 향상 및 전문성 강화
·환경마크 인증처리기간 단축(40일→30일)
·‘인증상담의 날’ 운영(08년 48회→09년 52회)
-환경마크의 상시 관리체계구축으로 소비자 신뢰도 향상
·관리 대상제품의 현지조사 및 시험분석(09년 1434개 제품)
3.녹색성장을 위한 녹색사회의 구현방안
1)녹색사회의 구현방안
시장의 녹색화, 국가의 녹색화, 시민사회의 녹색화
비시장영역의녹색화
사회부문의녹색화
2)녹색시민의 만들기와 주체화
녹색성장으 구체적인 방안들은 녹색가ㅊ를 존중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은 소비패턴을 환경친화형으로 변포시킬 것이다
-소비패턴 전환: 상품의 친환경성에 대한 정보(예: 탄소 라벨링 제도, 에코 효율성 지표 등)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보조금 지급, 조세 감면 등의 혜택이 부여됨→생산구조 전환
2.녹색경영 활성화 및 동향
1)정부
현장 적용확대를 위한 신기술인증·기술검증제도 운영
-환경 신기술의 현장적용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추진
·신기술인장·검증 유효기간 확대
-신기술 활용 촉진을 위한 교육 및 홍보 강화
·공무원 교육과정에 환경신기술(폐기물분야)추가 등 교육 다양화
·시·도 등 지자체 환경행사와 연계한 홍보확대
환경산업·기술 정보서비스 다양화
-환경산업 지원강화를 위한 정보서비스 확대
·국내외 환경정보(수툴, 특허, 연력통계 등) 서비스 다양화
-환경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정보서비스 강화
·환경연구정보제공시스템 운영
·환경 R&D 사업 DB통합 및 Eco-STAR 관리시스템 통합운영
저탄소 녹색성장대회 개최(‘09년 신규, COEX\'09.10)
-녹색기술 및 상품 등 저탄소 녹색산업 종합박람회 개최
·친환경상품 및 탄소 배출량 인증 제품 전시회 등과 합동추진
·저탄소 녹색생산·소비촉진 유공자 포상 등
-제9회 환경기술상 시상
·우수 환경기술 및 제품 등을 연구개발·상용화한 8인
-대학(원)생 환경기술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우수 아이디어 제안자 7인 시상
국내 우수환경기술의 홍보·마케팅 지원 강화
-제11회 환경기술개발사업 성과전시회 및 세미나 개최
·차세대사업 성공수행 기술 소개 및 성과 전시회
-해외진출 홍보책자·영상자료 발간·배포
·추진사업 홍보를 위한 웹진 및 알림어 발간
-우수기술의 홍보·마케팅 지원 확대
·다양한 매체(TV, 신문 등)를 활용한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대국민 공감대 형성 및 관련 문화
확산
환경산업 발전 기반 강화
-우수 환경 산업체 인증제도 추진
·대출금리 및 담보평가액 대비 융자비율 우대방안 마련 예정
-환경산업 경쟁력 지수 표준모델 개발
·환경산업 현황 및 구조변화의 평가 및 지속적 관리
정부차원의 글로벌 파트너 십 구축
-국가간 환경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MOU 체결
-국내·외 상시 수출상담체계 및 무역거래 등 지원시스템 구축
-해외 인력교류 및 산업체 해외진출 협력네트워크 구축
·아시아의 환경 고위공무원 및 실무자 초청 인수(장기:5명. 단기:56명)
-제9차 환경산업라운드테이블(한, 중, 일) 회의참여
2)기업
환경친화기업 지정제도 운영
-기업체의 자율적인 녹색투자 및 녹색시장 창출을 위한 환경경영 지원
·친환경기업 사회적 인식증진 등에 따라 환경경영 지원서비스 지원 수요증가
-환경친화기업 지정 및 인센티브 부여 등 지원제도 운영
·지정기준 확대: (현행)오염관리 실적→(변경)환경경영전략 평가
·지정업종 확대: (현행)제조업→(변경)제조·유통·숙박·운송업
·환경친화기업 업종별 심사기준 제정 및 심사단 운영
-대·공기업의 환경정보 공시제도 운영으로 기업 사회책임 강화
·기업환경정보 공시지침, 공시절차 및 기업제공 정보의 검증절차 마련(‘09.1~10)
·공시시스템 구축을 완료(‘09년)하여 환경친화기업 지정업체 정보등록(183개사)
탄소 라벨링제도 본격 시행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탄소배출량 인증제도”시행
·탄소성적표지 인증기준 개발 (‘08년5건→’09년 10건)
·에너지소비제품별 소비패턴을 고려하여 TV, 음식물처리기, 공기청정기 등에 대한 인증기준 개발 (‘09.12)
-탄소성적표지 인증(‘08년 시범인증 10건→09년 100건)
·탄소배출량을 공개하고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공개할 경우 인증 부여
-저탄소 녹색성장 사회구현을 위한 “저탄소상품 인증제도”마련
·저탄소상품 인증기준 개발(09년, 제품군별)
·국가가 제시한 최소감축 목표를 달성한 제품에 한하여 인증부여
저탄소 사회기반 마련
-저탄소제품 보급 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
·영국 Carbon Trust 탄소라벨링 공동협력 MOU채결
·중소기업에 관련 교육과 인증심사료 50%지원
-저탄소 사회기반 마련을 위한 국민행동 가이드라인 개발
·국민생활습관 변화 유도를 위한 가이드 라인개발
·가이드라인 시범적용(사무실, 유통매장, 학교, 호텔, 대학)
-기업의 탄소효율성 진단 및 저탄소 경영 실행계획 수립
·탄소경영체계 구축, 공정부문 탄소 감축, 저탄소제품 등의 가이드라인 개발
·온실가스 다배출협종 저탄소경영 시범적용(LG화학, POSCO 등)
-개도국 탄소경영기법 교육 실시
·국내 탄소경영 방법론 보급 교육 실시 (동아시아 기업 및 정책담당자 대상)
에코디자인 보급 확산
-에코디자인 품목별 매뉴얼 개발(09년 3종)
·이미징(복사기,스케너 등)기기, 환풍기기, 복합 셋업 박스 등 3종
-중소기업 대상 에코디자인 적용 시범사업 추진
·에코디자인 현장진단 지도 희망 중소기업 선정(09년 2개사)
-에코디자인 특정화 대학원 선정
·우수기업체 현장학습 산·학 합동 제품설계 과정 등 교육운영
무역환경규제 기업대응 지원
-무역·환경정부수집·보급(08년 770건→09년 800건)
·기후변화, REACH, 그린뉴딜 등 국제환경 이슈 전문가 분석 확대
-수요자 맞춤형 정보제공
·국제환경규제동향 뉴스레터 산업계 배포(3,000부/월)
·기후변화 E-뉴스레터 정보제공(11,000명/주)
·녹색성장 해외동향 뉴스레터를 녹색성장기획단에 제공(09.2~)
환경마크 대상품목 다양화 및 인증서비스 강화
-환경마크 대상품목으로 소비자 친환경 수요가 높은 신규품목 선정
·소비자 생활밀착형 대상품목기준 개발(09년,143개)
-인증심사 업무효율 향상 및 전문성 강화
·환경마크 인증처리기간 단축(40일→30일)
·‘인증상담의 날’ 운영(08년 48회→09년 52회)
-환경마크의 상시 관리체계구축으로 소비자 신뢰도 향상
·관리 대상제품의 현지조사 및 시험분석(09년 1434개 제품)
3.녹색성장을 위한 녹색사회의 구현방안
1)녹색사회의 구현방안
시장의 녹색화, 국가의 녹색화, 시민사회의 녹색화
비시장영역의녹색화
사회부문의녹색화
2)녹색시민의 만들기와 주체화
녹색성장으 구체적인 방안들은 녹색가ㅊ를 존중하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