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광업생산 관리체계와 북한 광업의 생산현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북한 광업생산의 관리체계

Ⅱ. 북한 광업의 생산현황

1. 지질광상 및 부존량
2. 광산현황
3. 생산현황

*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가
공식적으로 발표되고 있지는 않다. 북한의 조선중앙년감에서 부분적
간헐적으로 일부 광산의 생산량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는 주로 대외선
전용으로 발표하는 것으로서 매우 과장되어 사실과는 다를 것으로 판
단되므로 분석의 주 자료로는 사용할 수 없다.
1994년 통일원이 발간한 “북한의 제3차 7개년 계획 종합평가”에 의
하면 북한은 1억 2천만 톤의 석탄생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매장
량이 풍부하고 채굴조건이 좋은 안주지구탄전, 순천지구탄전 등을 중
심으로 대규모가 기존탄광의 개건확장공사를 추진하는 한편 새 탄광
의 개발과 함께 수송능력 향상에도 주력하였으나 갱도의 심부화, 전력
난등 채탄조건의 악화, 탄광개발투자비의 부족으로 석탄생산이 부진
하였다고 한다.
외화획득의 주요 원천이 되고 있는 연아연 등은 북한 전역에 고루
분포되어 약 30여 개의 광산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실제생산
되고 있는 광산의 수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연 아연 최대 생산광산인 검덕광산은 제1, 제2, 제3 선광장을 보유
하고 있으며 이들 선광장의 총 처리량은 연간 1,420만 톤이나 이들 선
광장이 모두 가동하고 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또한 세계적인 마그네
사이트 매장량을 가지고 있는 북한에서 마그네사이트 광석을 생산하
고 있는 광산으로는 함경남도 단천지방의 용양광산을 들 수 있으며,
이 광산은 계단식노천채굴과 갱내채굴을 겸하여 생산하고 있다. 기타
광종을 생산하고 있는 광산에 대하여는 자료 수집의 한계로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많은 광산들이 부존된 광산물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북한의 제철산업은 비철금속과 마찬가지로 풍부한 매장량에 힘입은
자력갱생경제의 추진력이며 대회무역의 주력 품목이다. 북한에는 수
많은 철광산업이 있으며 그중 무산철광산은 북한 전체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는 최대의 광산으로 종전까지 매장량은 약 15억 톤 정
도, 정광 생산능력은 연산 1천만 톤이나 실제 정광생산량은 200-600만
들 정도로 알려져 있었다.
* 참고문헌
- 고경민. 북한의 IT 전략.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박순성. 북한의 경제와 한반도 통일. 서울: 풀빛. 2003
- 동용승 · 이정철. 북한경제 변화의 조짐과 시사점. 2002
- 문성민. 북한의 금융제도. 서울: 한국은행. 2000
- 김영수 외. 김정일시대의 북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북한경제연구소. 북한경제의 현황과 전망.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15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