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쿠버 다이빙 입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쿠버 다이빙 입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스쿠바 다이빙 입문
서론
스쿠바다이빙이란
SDD INTERNATIONAR
자격증 및 등급
SDD 오픈워터 다이버가 되는길

제2장 다이빙 장비의 사용법
서론
마스크
스노클

잠수복
웨이트 벨트
공기통과 벨트
호흡기
부력조절기
잔압계
수심계
다이브컴퓨터
다이브 나이프
기타 장비
액세서리들
수중 라이트
연습문제

제2장 수중엣 느끼게 되는 현상들
서론
물과 공기의 특성
기본적인 변화
대기압과 수압
압력에 따른 기체의 변화
압착과 압력평형
부력의 변화
공기소모량
연습문제





제4장 다이빙 상해
서론
패팽창
감압병
질소마취
산소중독
체온 저하
다른 문제들
해양생물에 의한 상해
해양생물 보호
연습문제

제5장 다이빙 기술
서론
장비사용법
마스크
스노클

웨이트벨트 만들기
스쿠바장비 결합하기
스쿠바장비 해체하기
부력조절기 사용법
잠수복
스킨다이빙 기술
스킨다이빙 잠수자세
안전다이빙
스쿠바다이빙 기술
입출수 자세
안전을 위한다이빙
OUT-OF-AIR 상황 대처법
허브 시스템
다이버 수신호
다이빙 안전수칙
연습문제

제6장 감압과 다이브 컴퓨터
서론
질소의 흡수와 배출
다이브 테이블
다이브 테이블 사용법
NOAA 공기 다이브 테이블
다이브 컴퓨터
연습문제

제7장 해양환경
서론
파도
조류
해류
수온약층
역류
하양조류와 상향조류
해양생물
생존전략
환경보호
연습문제

본문내용

수자세
안전다이빙
스쿠바다이빙 기술
입출수 자세
안전을 위한다이빙
OUT-OF-AIR 상황 대처법
허브 시스템
다이버 수신호
다이빙 안전수칙
연습문제
제6장 감압과 다이브 컴퓨터
서론
질소의 흡수와 배출
다이브 테이블
다이브 테이블 사용법
NOAA 공기 다이브 테이블
다이브 컴퓨터
연습문제
제7장 해양환경
서론
파도
조류
해류
수온약층
역류
하양조류와 상향조류
해양생물
생존전략
환경보호
연습문제
서론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각종의 레져스포츠 중에
스킨스쿠바다이빙이 가장 멋지고 다이나믹하다고 말할 수 있
다. 하지만 스킨스쿠바다이빙은 과학적인 이론지식과 장비사
용에 관한 충분한 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심각한
위험을 동방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강사로부터 충분
한 교육을 받아야만 한다.
또한 자신의 안전을 위해 최소한의 수영능력을 갖추어야 하
며 다이빙활동에 장애가 될 수 있는 건가안의 문제들은 SDD
강사와 상담해야 한다.
스킨스쿠바 다이빙인란
스킨스쿠바다이빙은 스킨다이빙과 스쿠바다이빙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스킨다이빙이란 사람이 숨을 참을 수 있는 시간만큽 수중에서 머무르는 것을
말하며 스노클링과 같은 의미로 해석할수 있다. 우리가 물가에서 흔히 즐기고
있는 자맥질을 연상하면 된다.
마스크 와 스노클, 핀(오리발)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배우고 즐길 수 있으며
더욱 진보적으로 즐기기 위하여 잠수복, 웨이트밸트와 수면부력기구가 필요한다
스쿠바다이빙이란 스쿠바(SCUBA:SELF 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의 머릿글자를 딴 약자) 라고 이름 지어진 기구를 사용하여 수중에서 호흡하면서 장시간 머무르는 것을 말한다.
바다속을 탐험하려는 인간의 노력은 고대시절부터 꾸준히 이어져 내려 오는동안 많은 종
류의 잠수용 장비를 개발해 왔으나 2차대전 중이던 1943년 프랑스의 자끄 꾸스또와 에밀
까냥신적으로 보급되고 발정을 거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스쿠바다이빙을 위해서는 스킨다이빙장비 외에 수중에서 호흡하기 위한 공기를 담는 고압의 공기통과 수중에서 호흡 할 수 있도록 공기의 압력을 조정해주는 호흡기(레귤레이터)
그리고 물고기의 부레처럼 수중에서 다이버의 부력을 조정하기위한 부력조절기와 각종
계측기기들이 필요하다.
SDD(Safer Diving Development) International
신비의 수중비경을 즐기기 위해서는 우선 스킨스쿠바다이빙을 제대로 배워야 한다.
다른 종목의 레져스포츠와는 다르게 스킨스쿠바다이빙은 규정을 무시할 경우 치명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강사에게 교육을 받은 후 활동해야만 한다.
SDD International은 더욱더 안전한 스킨스쿠바다이빙활동 을 위해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는 전문교육단체이다.
이외에도 다른교육단체로는 BSAC. PADI SDI/TDI . NAUI. SSI. KUDA. LANTD. CMAS.
NASDS 등이 있다.
자격증 및 등급
SDD 강사로부터 정식으로 오픈워터교육과정을 이수하면 다이버자격증을 받게되는데.
이 자격증은 여러분이 스쿠바다이빙을 모두 배웠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부터
흥미진진한 스쿠바다이빙의 세계를 배울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음을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훌륭한 다이버가 되기 위해서는 각종 상급교유과정에 참여하여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꾸준히 습득하고 익혀야만 한다.
SDD의 스킨스쿠바다이빙 교육 프로그램은 다이버 레벨과 멤버쉽 레벨로 분류한다.
다이버 레벨은 스킨다이버, 오픈워터다이버, 어드밴스드다이버, 마스터다이버를 비롯하여
FA/CPR, 구조다이버 등을 포함하는 각종 스페셜티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멤버 ▷쉽
레벨은 보조강사, 다이브마스터, 강사 과정으로 나위며 수료후엔 SDD의 맵버가 된다.
SDD 오픈워터다이버가 되는 길
▷ 건강상태
다이버가 되기 위해 특별한 조건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정상적인 스킨스쿠바다이빙을
즐기기 위해서는 정신적, 육체적 으로 건강해야 한다.
특히 다이빙은 수압의 영향을 받는 활동이기 때문에 과거 중이염이나 비염과 같은
종류의 질환을 앓은 적이 있다면 교육을 시작하기전에 전문의와 삼당하는 것이 좋다.
심장이나 폐질환, 간질, 천식, 당뇨병들의 경우엔 반드시 전문의의 승낙이 필요하다.
또한 다이빙을 즐기는 중에 바다의 환경이 물리적, 정신적 으로 스트레스를 만들 수도
있기 때문에 항상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흡연은 다이버의 신체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 할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교육과정
스킨스쿠바다이빙 교육은 이론과 수영장 연습, 그리고 바다에서의 실습으로 나누어 진행
이론은 강의실에서 다이빙의 전반적인 지식과 장비에 관한 내용, 다이빙안전수칙 등을 다루며 다이빙을 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장비 사용요령은 수영장에서 충분한 연습을 거쳐
바다에서 실습을 하게 된다.
▷ 어린이와 여성
스쿠바다이빙을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 필요한 이론의 이해 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현명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 최소 만12세 이상이어야 정식 교육에 참가할 수 있다.
스쿠바다이빙은 여성에게 특별한 교육과 활동의 제약을 요구하지 않고 모두에게 평등하다.
생이중인 여성도 개인의 상황에 따라 충분히 활동이 가능하다.
단지 임신중인 여성의 경우에는 아직 스쿠바다이빙이 태아에게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확실한 근거가 없으므로 삼가 하는 것이 좋다
▷ 다이빙활동
스쿠바다이빙은 개인적으로 보다는 침으로 이루어져 활동하는 레저 스포츠이다.
따라서, 다양한 경험의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서 SDD 강사가 중심이 된 팀의
구성원으로 활동하는 것이 좋다.
매번 처음 만나는 다이버와 짝을 이루어 다이빙하는 것보다 서로 익히 알고 있는
다이버와 짝을 이루어 다이빙하는 것이 여러 가지 면에서 안전하고 유리하다.
특히 부부가 함께 즐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 계속교육
스쿠바다이빙 교육은 여러 가지 등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픈워터 다이버 교육은그 첫 번째 단계이며 수료 후 받게 되는 자격증은 다이빙 교육이 끝났음을 의미하기 보다는 이제 무궁무진한 스쿠바다이빙활동의 교육들에 참가할 수 있다는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11.06.16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