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사회자본(사회적자본)의 개념
Ⅲ. 사회자본(사회적자본)의 형태
Ⅳ. 사회자본(사회적자본)의 구성요소
1.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relational dimension)
2.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차원(structural dimension)
3. 사회적자본의 인지적 차원(cognitive dimension)
Ⅴ. 사회자본(사회적자본)의 기능
Ⅵ. 사회자본(사회적자본)과 여성정책
Ⅶ. 사회자본(사회적자본)과 지역발전
Ⅷ. 사회자본(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
Ⅸ. 사회자본(사회적자본)과 경제성
Ⅹ.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사회자본(사회적자본)의 개념
Ⅲ. 사회자본(사회적자본)의 형태
Ⅳ. 사회자본(사회적자본)의 구성요소
1.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relational dimension)
2.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차원(structural dimension)
3. 사회적자본의 인지적 차원(cognitive dimension)
Ⅴ. 사회자본(사회적자본)의 기능
Ⅵ. 사회자본(사회적자본)과 여성정책
Ⅶ. 사회자본(사회적자본)과 지역발전
Ⅷ. 사회자본(사회적자본)과 지적자본
Ⅸ. 사회자본(사회적자본)과 경제성
Ⅹ.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출에 대한 기대, 지식창출에의 참여를 위한 동기부여가 이루어지도록 만드는 기반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Misztal, 1996; Boisot, 1995).
셋째, 사회자본의 국면 중 규범은 공유된 언어와 행동양식, 조직에 대한 공유된 인식을 통해 지식의 공유와 교환에 참여하는 구성원간에 상황에 대한 동일한 인식을 갖도록 조장하게 되고,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인식 공유는 지식의 결합과 축적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게 되어 지적자본 형성을 촉진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구성원과 각 집단이 보유하고 있는 개발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가 조직의 자산으로 결합축적될 수 있도록 한다고 볼 수 있다(Boland & Tenkasi, 1995).
이처럼 사회자본은 지적자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반대로 지적자본의 형성이 사회자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도 볼 수 있다. 조직 내 지식과 정보의 축적과 공유는 구성원간의 신뢰를 증진하고 조직 내 상호관계를 위한 규범의 형성을 촉진하고 지식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만드는 네트워크의 발달을 초래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Brown & Duguid, 1991).
사회자본과 지적자본 간의 관계가 매우 밀접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실제 조직에서 ① 사회자본이 지적자본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② 조직 내 지적자본의 발달이 또한 조직 내 사회자본의 형성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라고 볼 수 있다.
Ⅸ. 사회자본(사회적자본)과 경제성
일반적으로 고전주의 경제학에서는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생산요소로 노동력과 토지, 그리고 물적 자본(physical capital)으로 정의하지만 1980년대 이후에 신경제사회학(new economic sociology)에서는 물적 자본과 인적자본이 동일한 조건하에서도 사회적 환경의 차이에 따라서 경제적인 성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이와 같은 사회적 요소를 바탕으로 경제성장과 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Putnam(1993)은 사회자본을 사회연결망, 규범과 같은 사회 조직의 형태로 정의하면서 인적자본과 물적 자본등과 더불어 사회 자본이 경제성장과 투자이익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탈리아의 지역공동체 연구를 통해 시민적 참여와 사회 연결망으로 이루어진 사회자본이 경제 개발과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한 전제 조건이라고 주장했다. Narayan 과 Pritchett(1996)의 아프리카지역사회의 연구에서 사회자본가 지역사회의 소득 증대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특히 구성원사이의 사회자본이외에 조직에 축적된 사회자본도 지역사회의 소득에 연관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축적이 클수록 지역의 소득은 높아진다는 것이다.
Fukuyama(1995)는 “신뢰는 상호성의 규범과 사회적 연결망 속에서 협동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하고, 사회자본의 개념 중 신뢰가 경제적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즉 경제적 성장에 있어서 법률이나 경제적 합리성을 필요 조건일 뿐 신뢰를 바탕으로 한 사회연결망이 필요충분조건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사회자본이 사회 속에 배태되어 있어야 경제성장을 이룬다고 주장했다. 울콕은 사회자본이 경제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지를 결정해 주는 것은 다양한 형태의 사회자본이 미시적/거시적 수준에서 어떠한 형태로 결합하는가에 달린 것이며 발전 자체가 발전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과 같이 사회자본의 역할 또한 시대의 조건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Grootaert(1998)는 전통적으로 경제발전을 자연적, 물적, 인적 자본으로 설명해 왔지만 사회조직 안에서 스스로를 조직화하고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 가는 경제 행위자에 대해서는 관심이 주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사회 자본이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메커니즘(mechanism)을 미시적 수준과 거시적 수준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는 경제 성장과 사회발전을 위해 미시적 수준의 사회자본과 거시적 수준의 사회자본의 역할이 상호 보완성을 지니고 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Ⅹ. 결론 및 제언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지역사회가 직면하는 것은 정부, 기업, 그리고 비영리조직이 문제해결을 위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시민사회의 능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조정과 협동하는 지역 거버넌스를 형성해야 한다(National Civic Laegue 1993; Potapchuk, Crocker & Schechter, Jr. 1997; Smith 1997; Briand 1998; Box 1999; Svara 1999).
지역사회 거버넌스를 형성하는 것은 지역주의와 시민참여, 대응성과 조정에 대한 관심을 끈다. 지역사회 거버넌스는 공공재를 성취하기 위해 정보 및 재화를 공유한다는 차원에서 의사결정 및 집행의 일상적 과정에서의 일련의 협동적 노력을 증진하기 위해 지방정부 및 다른 공공기관, 비영리단체와 영리기관들의 네트워크이다. Svara(1999:309)는 지역사회 거버넌스를 “주요 지역경계에 의해 구별 지은 주민들이 집단적인 공공문제를 구체화하고 노력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지역사회 거버넌스의 주요 목적은 지역사회 집단 및 이해관계자간의 집단적 의사결정을 위한 메커니즘을 건설하여, 시민참여를 통해 공동의 선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회서비스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관리해야 하는 것에 관한 공유된 결정 등이다.
참고문헌
- 강금만 저, 지식경영은 지적자본 평가부터, LG경제연구원
- 김형기(1998), 지적 자본의 측정과 관리 : 이론과 실제, 서울 : 한국생산성본부
- 박희봉(2001), 사회자본과 지방정부경쟁력, 한국행정학회 세미나발표논문
- 박희봉·김명환(2001),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거버넌스 능력, 한국행정학보 34(4)
- 이재열(1998), 민주주의, 사회적신뢰, 사회적 자본, 계간사상, 여름호
- 홍영란(2005), 사회적 자본의 측정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셋째, 사회자본의 국면 중 규범은 공유된 언어와 행동양식, 조직에 대한 공유된 인식을 통해 지식의 공유와 교환에 참여하는 구성원간에 상황에 대한 동일한 인식을 갖도록 조장하게 되고,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인식 공유는 지식의 결합과 축적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게 되어 지적자본 형성을 촉진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구성원과 각 집단이 보유하고 있는 개발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가 조직의 자산으로 결합축적될 수 있도록 한다고 볼 수 있다(Boland & Tenkasi, 1995).
이처럼 사회자본은 지적자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반대로 지적자본의 형성이 사회자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도 볼 수 있다. 조직 내 지식과 정보의 축적과 공유는 구성원간의 신뢰를 증진하고 조직 내 상호관계를 위한 규범의 형성을 촉진하고 지식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만드는 네트워크의 발달을 초래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Brown & Duguid, 1991).
사회자본과 지적자본 간의 관계가 매우 밀접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실제 조직에서 ① 사회자본이 지적자본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② 조직 내 지적자본의 발달이 또한 조직 내 사회자본의 형성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라고 볼 수 있다.
Ⅸ. 사회자본(사회적자본)과 경제성
일반적으로 고전주의 경제학에서는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생산요소로 노동력과 토지, 그리고 물적 자본(physical capital)으로 정의하지만 1980년대 이후에 신경제사회학(new economic sociology)에서는 물적 자본과 인적자본이 동일한 조건하에서도 사회적 환경의 차이에 따라서 경제적인 성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이와 같은 사회적 요소를 바탕으로 경제성장과 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Putnam(1993)은 사회자본을 사회연결망, 규범과 같은 사회 조직의 형태로 정의하면서 인적자본과 물적 자본등과 더불어 사회 자본이 경제성장과 투자이익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탈리아의 지역공동체 연구를 통해 시민적 참여와 사회 연결망으로 이루어진 사회자본이 경제 개발과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한 전제 조건이라고 주장했다. Narayan 과 Pritchett(1996)의 아프리카지역사회의 연구에서 사회자본가 지역사회의 소득 증대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특히 구성원사이의 사회자본이외에 조직에 축적된 사회자본도 지역사회의 소득에 연관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축적이 클수록 지역의 소득은 높아진다는 것이다.
Fukuyama(1995)는 “신뢰는 상호성의 규범과 사회적 연결망 속에서 협동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하고, 사회자본의 개념 중 신뢰가 경제적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즉 경제적 성장에 있어서 법률이나 경제적 합리성을 필요 조건일 뿐 신뢰를 바탕으로 한 사회연결망이 필요충분조건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사회자본이 사회 속에 배태되어 있어야 경제성장을 이룬다고 주장했다. 울콕은 사회자본이 경제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지를 결정해 주는 것은 다양한 형태의 사회자본이 미시적/거시적 수준에서 어떠한 형태로 결합하는가에 달린 것이며 발전 자체가 발전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과 같이 사회자본의 역할 또한 시대의 조건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Grootaert(1998)는 전통적으로 경제발전을 자연적, 물적, 인적 자본으로 설명해 왔지만 사회조직 안에서 스스로를 조직화하고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 가는 경제 행위자에 대해서는 관심이 주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사회 자본이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메커니즘(mechanism)을 미시적 수준과 거시적 수준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는 경제 성장과 사회발전을 위해 미시적 수준의 사회자본과 거시적 수준의 사회자본의 역할이 상호 보완성을 지니고 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Ⅹ. 결론 및 제언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지역사회가 직면하는 것은 정부, 기업, 그리고 비영리조직이 문제해결을 위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시민사회의 능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조정과 협동하는 지역 거버넌스를 형성해야 한다(National Civic Laegue 1993; Potapchuk, Crocker & Schechter, Jr. 1997; Smith 1997; Briand 1998; Box 1999; Svara 1999).
지역사회 거버넌스를 형성하는 것은 지역주의와 시민참여, 대응성과 조정에 대한 관심을 끈다. 지역사회 거버넌스는 공공재를 성취하기 위해 정보 및 재화를 공유한다는 차원에서 의사결정 및 집행의 일상적 과정에서의 일련의 협동적 노력을 증진하기 위해 지방정부 및 다른 공공기관, 비영리단체와 영리기관들의 네트워크이다. Svara(1999:309)는 지역사회 거버넌스를 “주요 지역경계에 의해 구별 지은 주민들이 집단적인 공공문제를 구체화하고 노력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지역사회 거버넌스의 주요 목적은 지역사회 집단 및 이해관계자간의 집단적 의사결정을 위한 메커니즘을 건설하여, 시민참여를 통해 공동의 선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회서비스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관리해야 하는 것에 관한 공유된 결정 등이다.
참고문헌
- 강금만 저, 지식경영은 지적자본 평가부터, LG경제연구원
- 김형기(1998), 지적 자본의 측정과 관리 : 이론과 실제, 서울 : 한국생산성본부
- 박희봉(2001), 사회자본과 지방정부경쟁력, 한국행정학회 세미나발표논문
- 박희봉·김명환(2001),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거버넌스 능력, 한국행정학보 34(4)
- 이재열(1998), 민주주의, 사회적신뢰, 사회적 자본, 계간사상, 여름호
- 홍영란(2005), 사회적 자본의 측정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