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보증도의 적법성 여부
3. 보증도의 법률관계
2. 보증도의 적법성 여부
3. 보증도의 법률관계
본문내용
선의 취득한 경우에는 화물상환증의 정당한 소지인은 제 3자에게 운송물의 인도를 청구할 수 없고 운송인에게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을 뿐이다.
3) 운송인과 수하인보증은행과의 관계
운송인이 화물상환증소지인에게 손해배상을 이행하고, 수하인 또는 그 보증인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보증은행은 “보증”이라는 관용어에도 불구 수하인과 연대책임을 진다.
3) 운송인과 수하인보증은행과의 관계
운송인이 화물상환증소지인에게 손해배상을 이행하고, 수하인 또는 그 보증인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보증은행은 “보증”이라는 관용어에도 불구 수하인과 연대책임을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