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 3P
2. 목적 및 서론 …………………………… 3P
3. 부품 및 기기 …………………………… 3P
4. 실험순서 ……………………………… 3~5P
5. 실험과정 ………………………………… 5P
6. 회로도 …………………………………… 5P
7. 소감 및 고찰 …………………………… 6P
2. 목적 및 서론 …………………………… 3P
3. 부품 및 기기 …………………………… 3P
4. 실험순서 ……………………………… 3~5P
5. 실험과정 ………………………………… 5P
6. 회로도 …………………………………… 5P
7. 소감 및 고찰 …………………………… 6P
본문내용
연결
하여 다시 Vout를 측정하라.
Vout가 알맞은 첨두값을 가질 때 까지 전위차계 R1을 조정하라. 이때 증폭기가 정과
부 첨두치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R1을 조정하는데 너무 높게 올리지 않도록
주의하여 Vout를 기록하라.
5. 실험 과정
1번 2번
<그림 2-1 실험회로> <그림 2-1 실험회로>
입력(Vin = 1.5V), 출력(Vout = 4V) 입력(Vin = 0.1V), 출력(Vout = 6V)
전압이득(Vin/Vout = 4V) 전압이득(Vin/Vout = 60V)
6. 회로도
7. 소감 및 고찰
- 먼저 에미터 접지 증폭기의 설명을 하자면,에미터 접지 증폭기의 특성으로는 전
류나 전력이득은 있지만 전압이득은 거의 1이고 입력 임피던스는 높고 출력 임
피던스는 낮은 트랜지스터 회로라고 알고 있다. 입력 교류신호 Vin은 베이스 커
패시터로 연결되며, 부하저항 R2는 에미터에 연결되어 있고, 출력 신호전압
Vout은 바이패스 되지 않은 에미터 저항 양단에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컬랙터는 Vcc에 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 C2가 콜랙터에 대해 임피던스
바이패스로 작용하기 때문에 콜랙터는 교류에 대한 접지 or 공통이다.
Vcc는 인가 될 때 콜랙터와 접지를 연결하는 실질적 커패시터가 된다.
우리는 입력전압을 오실로스코프의 노란선으로, 출력전압을 파란선으로 확인하
였으며, Vin과 Vout을 통하여 전압이득을 구할 수 있었다.
- 위의 실험에 있어서 회로에 신호전압을 인가하여 출력신호를 관찰하였을 때 그
진폭은 증가 했다. VR을 조정하여 입력을 증가 시켰을 때 출력은 평탄해 졌다.
이와 같이 출력이 평탄한 것은 과신호로 인한 트랜지스터가 포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증폭기의 입력을 조정하여 증폭기에 과신호가 인가되지 않게 하였다. 그리
고 나서 증폭기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측정한 다음 출력 값을 입력 값으로
나누어 전압이득을 구하였다. 여기서 오차는 저항값의 오타와 측정상의 오차가
원인이 될 수 있다.
- 우리는 에미터 접지 증폭기의 특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이 증폭기의 특성은 전류나 전력이득은 있으나 전압이득은 1이고 입력 임피던스는 높은데 반해 출 력 임피던스는 낮은 회로이다. Vin은 베이스에 캐패시터로 연결되고 저항은 에 미터에 연결되어 있고 Vout은 이 바이패스되지 않은 에미터 저항 양단에 나타 난다. 콜렉터는 Vcc에 바로 연결되어 있고, 캐패시터가 콜렉터에 대해 임피던 스 바이패스로 작용하기 때문에 콜렉터는 교류에 대한 접지 혹은 공통이다. 캐 패시터는 Vcc가 인가될 때 콜렉터와 접지를 연결하는 실질적 캐패시터이다.
그리고 나서 증폭기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측정한 다음 출력값 을 입력 값 으로 나누어 전압이득을 구하였다.
- 에미터 접지 증폭기는 전류나 전력이득은 있지만 전압이득은 거의 1이고 입력 임피던스는 높고 출력 임피던스는 낮은 회로이다. VR을 조정하여 입력을 증가 했을 때 출력은 평탄해지는걸 알수 있엇다. 출력이 평탄하다는건 과신호로 인 한 트랜지스터가 포화 되기
하여 다시 Vout를 측정하라.
Vout가 알맞은 첨두값을 가질 때 까지 전위차계 R1을 조정하라. 이때 증폭기가 정과
부 첨두치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R1을 조정하는데 너무 높게 올리지 않도록
주의하여 Vout를 기록하라.
5. 실험 과정
1번 2번
<그림 2-1 실험회로> <그림 2-1 실험회로>
입력(Vin = 1.5V), 출력(Vout = 4V) 입력(Vin = 0.1V), 출력(Vout = 6V)
전압이득(Vin/Vout = 4V) 전압이득(Vin/Vout = 60V)
6. 회로도
7. 소감 및 고찰
- 먼저 에미터 접지 증폭기의 설명을 하자면,에미터 접지 증폭기의 특성으로는 전
류나 전력이득은 있지만 전압이득은 거의 1이고 입력 임피던스는 높고 출력 임
피던스는 낮은 트랜지스터 회로라고 알고 있다. 입력 교류신호 Vin은 베이스 커
패시터로 연결되며, 부하저항 R2는 에미터에 연결되어 있고, 출력 신호전압
Vout은 바이패스 되지 않은 에미터 저항 양단에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컬랙터는 Vcc에 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 C2가 콜랙터에 대해 임피던스
바이패스로 작용하기 때문에 콜랙터는 교류에 대한 접지 or 공통이다.
Vcc는 인가 될 때 콜랙터와 접지를 연결하는 실질적 커패시터가 된다.
우리는 입력전압을 오실로스코프의 노란선으로, 출력전압을 파란선으로 확인하
였으며, Vin과 Vout을 통하여 전압이득을 구할 수 있었다.
- 위의 실험에 있어서 회로에 신호전압을 인가하여 출력신호를 관찰하였을 때 그
진폭은 증가 했다. VR을 조정하여 입력을 증가 시켰을 때 출력은 평탄해 졌다.
이와 같이 출력이 평탄한 것은 과신호로 인한 트랜지스터가 포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증폭기의 입력을 조정하여 증폭기에 과신호가 인가되지 않게 하였다. 그리
고 나서 증폭기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측정한 다음 출력 값을 입력 값으로
나누어 전압이득을 구하였다. 여기서 오차는 저항값의 오타와 측정상의 오차가
원인이 될 수 있다.
- 우리는 에미터 접지 증폭기의 특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이 증폭기의 특성은 전류나 전력이득은 있으나 전압이득은 1이고 입력 임피던스는 높은데 반해 출 력 임피던스는 낮은 회로이다. Vin은 베이스에 캐패시터로 연결되고 저항은 에 미터에 연결되어 있고 Vout은 이 바이패스되지 않은 에미터 저항 양단에 나타 난다. 콜렉터는 Vcc에 바로 연결되어 있고, 캐패시터가 콜렉터에 대해 임피던 스 바이패스로 작용하기 때문에 콜렉터는 교류에 대한 접지 혹은 공통이다. 캐 패시터는 Vcc가 인가될 때 콜렉터와 접지를 연결하는 실질적 캐패시터이다.
그리고 나서 증폭기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측정한 다음 출력값 을 입력 값 으로 나누어 전압이득을 구하였다.
- 에미터 접지 증폭기는 전류나 전력이득은 있지만 전압이득은 거의 1이고 입력 임피던스는 높고 출력 임피던스는 낮은 회로이다. VR을 조정하여 입력을 증가 했을 때 출력은 평탄해지는걸 알수 있엇다. 출력이 평탄하다는건 과신호로 인 한 트랜지스터가 포화 되기
추천자료
오실로스코프의 구조 오실로스코프의 단자기능 오실로스코프의 각 부분의 기능 Oscilloscope ...
프랑크 헤르츠 실험 예비, 결과 레포트
변압기(TRansformer : TR)
각종 장비 사용법 예비 보고서
전자회로실험 결과보고서-JFET 자기바이어스
Power Divier/ Combiner
무선 AP용 Power Amplifier 설계
[전자회로실험] BJT의 특성 예비보고서
Lab 20. Filters (필터)
JFET 및 MOSFE 바이어스회로 실험 - JFET과 MOSFET의 여러 가지 바이어스 회로를 구성하고 qn...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 오실로스코프의 각 부 기능 설
Op Amp특성 및 Integrator
실험보고서 - 오실로스코프 동작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