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조직폭력배와 교도소의 의의
3. 사례
4. 교도소 내부의 실태
5. 현직 교도관과 전직 교도관들이 말하는 교도소 상황
6. 마산교도소 전화 인터뷰
7. 조직폭력사범의 교도소 사회에 미치는 문제점
8. 해결책
9. 교도소와 수용자에 대한 느낀점
2. 조직폭력배와 교도소의 의의
3. 사례
4. 교도소 내부의 실태
5. 현직 교도관과 전직 교도관들이 말하는 교도소 상황
6. 마산교도소 전화 인터뷰
7. 조직폭력사범의 교도소 사회에 미치는 문제점
8. 해결책
9. 교도소와 수용자에 대한 느낀점
본문내용
다.
장선효 : 조직폭력 사범들이 교도소 내에서 생활면은 어떤가요?
교도관 : 사회 인식처럼 조직폭력배들은 사고를 많이 친다. 편을 갈라서 싸움을 한다. 그런것은 많이 없습니다. 오히려 다른 수용자들보다 열심히 생활하는 조직폭력배 수용자들도 많습니다. 말도 잘듣습니다.
장선효 : 조직폭력 사범들이 듣기로는 교도소 내에서도 각기 다른 패들을 갈라서 다툼을 한다고 하던데. 이렇게 되면 교화면에서 교도관 분들이 일하기에 힘들지 않나요?
교도관 : 조직폭력배 수용자들이나 특별한 수용자들은 교도소 내에서 철저히 분리 수용하여 그러한 일들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수용자들도 교도관의 말을 잘들어 그렇게 힘든것은 없습니다.
장선효 : 조직폭력 사범이 교도소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것이 있나요?
교도관 : 이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이야기 해드릴게 없습니다.
장선효 : 그러면 이러한 부분을 물어 볼곳이나 잘 알고 있는 곳은 없을까요?
교도관 : 잘 모르겠습니다. (극구 함구 하셨습니다)
장선효 : 네. 질문에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그 후에 큰 범죄자들이 많은 안양교도소에 연락을 하여 물어봤지만 인터뷰 자체를 거부 함으로써 인터뷰는 이것으로 마쳤습니다.
7. 조직폭력사범의 교도소 사회에 미치는 문제점
교도소 내에서 조직폭력범 및 각종 수용자 들에 대한 책임이 있는 교도관 들은 조직폭력사범의 수용중이나 출소후에 자신에게 피해를 줄까봐 불법적인 것을 보아도 강력한 제제를 할 수가 없다.
또한 사회적으로 힘있는 조직폭력범에게 돈으로 매수를 당하고 그에 대해 협박함으로써 몇몇 교도관들은 조직폭력범에게 휘둘리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조직폭력사범들은 교도소에 들어왔을때 자존심을 가장 큰 것으로 삼으며 교도소에 입소하여서 누구보다 내가 떨어지지 않는, 내가 대단하다는 생각으로 그 교도소에서 힘있는 사람이 될려고 한다.
이러한 자존심으로 세력 다툼을 하게 되고 그 세력다툼으로 인하여 교도소 내의 질서가 정리 되지 않으며 그로 인해 교도관들 보다 더욱더 큰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게 된다.
조직폭력사범들은 출소 하였을때 그 해당조직에 대해 더욱더 자신의 입지를 굳힐수 있다고 생각하며 교도소 내에서 자신에게 도움이 되고 큰 힘이 될 사람들을 스카웃 하여 출소 하였을때 함께 조직폭력에 가담하여 행동하게 된다.
이러한 것들을 봤을때 조직폭력 수용자 들은 교화가 힘들며 조직폭력배 생활간 겪었던.. 어떻게 본다면 화려한 삶을 버릴수가 없다는 것도 문제점이 될것이다.
8. 해결책 우리 사회는 조직폭력배들과 거물급 인사와의 땔래야 땔수 없는 관계입니다.
이러한 사례들과 문제점을 보았을때 조직폭력사범들에게는 교도소란 학교란 표현이 더 잘어울리며 실제로 그렇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조직폭력배들에게는 교도소에서 많은 수용자들과 친구가 될수 있으며 여러 가지 범죄에 프로가 된 그들과 함께 친구가 되고 사업을 하게 된다면 앞으로 더욱더 사회에 더 정밀하고 큰 범죄를 가져올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우선 조직폭력사범과 교도관에 사이에 좀더 인간적인 동질감을 느끼도록 함께 생활을 할수 있는 기회를 늘려 교도관의 두려움 해소와 조직폭력사범들의 의식전환 등을 향상시키고 조직폭력사범들의 이익을 위해 교도관을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교도관 들의 권력에 대하여 좀더 체계적인 변화와 평가 기준등을 두어 조직폭력사범들이 협박이나 사회적 친분의 권력을 이용한 부당한 이익을 초기부터 방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하여 수용자의 사회적 권력을 이용한 불법적인 관례를 제거하고 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과 그동아나 알지 못했던 점들을 느끼게 하고, 취업에 대해서 긍정적
장선효 : 조직폭력 사범들이 교도소 내에서 생활면은 어떤가요?
교도관 : 사회 인식처럼 조직폭력배들은 사고를 많이 친다. 편을 갈라서 싸움을 한다. 그런것은 많이 없습니다. 오히려 다른 수용자들보다 열심히 생활하는 조직폭력배 수용자들도 많습니다. 말도 잘듣습니다.
장선효 : 조직폭력 사범들이 듣기로는 교도소 내에서도 각기 다른 패들을 갈라서 다툼을 한다고 하던데. 이렇게 되면 교화면에서 교도관 분들이 일하기에 힘들지 않나요?
교도관 : 조직폭력배 수용자들이나 특별한 수용자들은 교도소 내에서 철저히 분리 수용하여 그러한 일들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수용자들도 교도관의 말을 잘들어 그렇게 힘든것은 없습니다.
장선효 : 조직폭력 사범이 교도소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것이 있나요?
교도관 : 이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이야기 해드릴게 없습니다.
장선효 : 그러면 이러한 부분을 물어 볼곳이나 잘 알고 있는 곳은 없을까요?
교도관 : 잘 모르겠습니다. (극구 함구 하셨습니다)
장선효 : 네. 질문에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그 후에 큰 범죄자들이 많은 안양교도소에 연락을 하여 물어봤지만 인터뷰 자체를 거부 함으로써 인터뷰는 이것으로 마쳤습니다.
7. 조직폭력사범의 교도소 사회에 미치는 문제점
교도소 내에서 조직폭력범 및 각종 수용자 들에 대한 책임이 있는 교도관 들은 조직폭력사범의 수용중이나 출소후에 자신에게 피해를 줄까봐 불법적인 것을 보아도 강력한 제제를 할 수가 없다.
또한 사회적으로 힘있는 조직폭력범에게 돈으로 매수를 당하고 그에 대해 협박함으로써 몇몇 교도관들은 조직폭력범에게 휘둘리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조직폭력사범들은 교도소에 들어왔을때 자존심을 가장 큰 것으로 삼으며 교도소에 입소하여서 누구보다 내가 떨어지지 않는, 내가 대단하다는 생각으로 그 교도소에서 힘있는 사람이 될려고 한다.
이러한 자존심으로 세력 다툼을 하게 되고 그 세력다툼으로 인하여 교도소 내의 질서가 정리 되지 않으며 그로 인해 교도관들 보다 더욱더 큰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게 된다.
조직폭력사범들은 출소 하였을때 그 해당조직에 대해 더욱더 자신의 입지를 굳힐수 있다고 생각하며 교도소 내에서 자신에게 도움이 되고 큰 힘이 될 사람들을 스카웃 하여 출소 하였을때 함께 조직폭력에 가담하여 행동하게 된다.
이러한 것들을 봤을때 조직폭력 수용자 들은 교화가 힘들며 조직폭력배 생활간 겪었던.. 어떻게 본다면 화려한 삶을 버릴수가 없다는 것도 문제점이 될것이다.
8. 해결책 우리 사회는 조직폭력배들과 거물급 인사와의 땔래야 땔수 없는 관계입니다.
이러한 사례들과 문제점을 보았을때 조직폭력사범들에게는 교도소란 학교란 표현이 더 잘어울리며 실제로 그렇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조직폭력배들에게는 교도소에서 많은 수용자들과 친구가 될수 있으며 여러 가지 범죄에 프로가 된 그들과 함께 친구가 되고 사업을 하게 된다면 앞으로 더욱더 사회에 더 정밀하고 큰 범죄를 가져올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우선 조직폭력사범과 교도관에 사이에 좀더 인간적인 동질감을 느끼도록 함께 생활을 할수 있는 기회를 늘려 교도관의 두려움 해소와 조직폭력사범들의 의식전환 등을 향상시키고 조직폭력사범들의 이익을 위해 교도관을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교도관 들의 권력에 대하여 좀더 체계적인 변화와 평가 기준등을 두어 조직폭력사범들이 협박이나 사회적 친분의 권력을 이용한 부당한 이익을 초기부터 방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하여 수용자의 사회적 권력을 이용한 불법적인 관례를 제거하고 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과 그동아나 알지 못했던 점들을 느끼게 하고, 취업에 대해서 긍정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