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미국의 전환교육
Ⅱ. 미국의 미디어교육
1. 미국 미디어 교육의 특징
2. 미디어 교육의 현황
Ⅲ. 미국의 정보교육
Ⅳ. 미국의 특수교육
Ⅴ. 미국의 노인교육
1. 관리 부서(management)·프로그램 부서(program office)·스텝 부서(staff office)
2. 연방정부의 지원
3. 주정부 지원
4. 노인복지국의 행정적 기능은 노인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시키는 것
5. 비영리 단체의 지원
Ⅵ. 미국의 시민교육
1. 외적 환경요인
2. 시민교육
1) 시민교육의 운영체제와 주체
2) 교육의 대상
3) 교육의 내용과 방향
4) 교육방법
5) 재정
Ⅶ. 미국의 직업교육
참고문헌
Ⅱ. 미국의 미디어교육
1. 미국 미디어 교육의 특징
2. 미디어 교육의 현황
Ⅲ. 미국의 정보교육
Ⅳ. 미국의 특수교육
Ⅴ. 미국의 노인교육
1. 관리 부서(management)·프로그램 부서(program office)·스텝 부서(staff office)
2. 연방정부의 지원
3. 주정부 지원
4. 노인복지국의 행정적 기능은 노인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시키는 것
5. 비영리 단체의 지원
Ⅵ. 미국의 시민교육
1. 외적 환경요인
2. 시민교육
1) 시민교육의 운영체제와 주체
2) 교육의 대상
3) 교육의 내용과 방향
4) 교육방법
5) 재정
Ⅶ. 미국의 직업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Act)의 제정과 함께 이를 실현하기 위한 조직으로 같은 해 10월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성립되었고 고령자의 취업을 위한 교육 훈련이 그 주된 목적이었다.
Ⅵ. 미국의 시민교육
1. 외적 환경요인
① 미국의 건국초기 사회정치 지도급인사들은 다양한 집단들의 합의를 국가건설의 원칙으로 삼아 연방제, 대통령중심제 등을 통해 그 기반을 다졌다.
② 미국은 국가질서의 기반인 헌법의 정통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개정에 있어서도 국민적 합의에 기초함으로써 지리적, 인종적, 경제적 다양성을 갖는 국민들을 통합시켜왔다.
③ 민주적인 정치제도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견제와 균형\"(Check and Balance)의 원칙에 입각하여 권력을 철저히 분산시키고 국민이 실질적인 주인이 되도록 국민의 선택에 의한 정권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2. 시민교육
1) 시민교육의 운영체제와 주체
가. 운영체제
① 미국은 지역적 특징과 다양성을 존중하여 전국적 시민교육 전담기구는 존재하지 않다.(다만 몇몇 주에서는 독일식의 정치교육원과 같은 전담기구의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함)
② 미국의 시민교육은 주로 학교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국적 및 지역적 정치 사회단체 및 종교집단 그리고 대중매체들(신문, 라디오, TV, 영화 등)도 교육주체로서 매우 활발하게 기능하다.
③ 중앙정부의 주도보다는 주(州)정부 또는 민간기구들의 자발적인 계 획 및 추진과 교육담당자의 광범위한 자율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다만 연방교육부는 관련 프로젝트 지원, 자문센터 운영, 교재 등을 통해 일정한 교육방향을 유지하고자 함.)
나. 교육의 주체
① 연방정부 및 주의 교육위원회
② 학회(전국사회과협회 등)
③ 학교
④ 정치사회단체
⑤ 대중매체
2) 교육의 대상
해당 정치교육 기구들의 구성원 및 국민들(정당인, 학생, 청소년, 일반성인 등)이 교육의 대상이다.
3) 교육의 내용과 방향
① 미국의 시민교육은 사회교육이 중심이 되고 있는 바, 인도적이고 합리적인 이해력을 바탕으로 한 다원적 사회의 시민으로서의 참여와 국제화에 따른 세계시민으로서의 참여가 교육의 중심내용이 된다.
② 미국의 시민교육은 다문화적 요소를 인정하면서 연방주의와 귀속주의라는 차원에서 미국화를 위한 시민교육이 주류를 형성해 왔다.
③ 교육은 그 주체 및 대상에 따라 내용이 차이가 있으나 좁은 의미에서의 시민교육은 학교의 사회과목(Social Studies: 지리, 역사, 일반사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④ 사회 정치단체의 공통적인 교육내용으로는 사회에 대한 이해와 조직응용능력, 갈등해소와 의사결정 능력, 개인관계와 사회적 참여를 주로 하고 있다.
⑤ 성과 인종, 계층간의 격차, 마약 범죄 등 사회적 현안문제들이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어, 미국의 민주시민교육 효과에 대한 신랄한 비판 이 제기되기도 한다.
4) 교육방법
① \"다양성속의 통합\" 원칙의 적용.
② 교육의 의식화와 내면화를 위한 실습 내지 토론위주 교육방법, 시청각 교육방법.
③ 개별 주의 교육행정기관 및 교육담당기관의 자율성과 피교육자의 참여와 경험이 강조된다.
5) 재정
전국적 규모의 시민교육 전담기관이 없기 때문에 현재로써는 財源에 대한 자료의 수집이 불가능하다.
Ⅶ. 미국의 직업교육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는 일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등장하였다. OECD 국가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청년의 직업세계로의 순조로운 이행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미국 역시 『학교-직업세계 이행 기회 법(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를 제정하는 등 연방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을 통하여 청년들의 원만한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한 노력은 청년 실업의 감소 등과 같은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다고 보고된다.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은 연방 정부 수준에서의 방향 제시 및 재정 지원과 지방 정부와 현장 수준에서의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으로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방 정부 차원의 정책뿐만 아니라 그것이 지방과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의 통과로 활성화되었다. 이 법은 연방 정부가 지역 수준에서 개발하고 시행하는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차원에서의 학교와 직업세계 사이의 다양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인턴쉽 같은 ”high-intensity\" 프로그램에의 학생 참여 저조, 산업계의 소극적 참여, 모든 학교에 모든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지 않음으로 인한 교육기회의 불평등 문제, 학문적 성취 수준의 저하, 학생의 흥미나 관심이 아니라 노동시장의 요구에 따른 진로 선택, 교육을 노동시장 준비 체제로 대치하고 있다는 등의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상황 중심적 학습(contextual learning)을 통한 인문과 직업교육의 통합, 학업성취 기준을 높이는 동시에 진로와 관련된 교육 실시, 그리고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의 높은 고등교육 진학률 및 졸업률 등의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보고 된다. 또한 지역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다양한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로 그 효과성을 높이고 있다.
참고문헌
국립특수교육원 편(1998), 미국의 특수교육 제도와 현황 : 캘리포니아 중심, 안산 : 국립특수교육원
교육부(1998),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교육정보화백서
김태완(2002), 21세기 미국교육, 교육행정학 연구 20(1)
레베커 네이던, 심계순 역(2006), 미국의 대학생은 지금, 다산미디어
박영란(1997), 미국의 노인부양가구 지원정책, 각국 노인의 가족부양 현황과 과제, 한국노인문제연구소
이일용(2000), 미국교육이야기, 학지사
Ⅵ. 미국의 시민교육
1. 외적 환경요인
① 미국의 건국초기 사회정치 지도급인사들은 다양한 집단들의 합의를 국가건설의 원칙으로 삼아 연방제, 대통령중심제 등을 통해 그 기반을 다졌다.
② 미국은 국가질서의 기반인 헌법의 정통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개정에 있어서도 국민적 합의에 기초함으로써 지리적, 인종적, 경제적 다양성을 갖는 국민들을 통합시켜왔다.
③ 민주적인 정치제도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견제와 균형\"(Check and Balance)의 원칙에 입각하여 권력을 철저히 분산시키고 국민이 실질적인 주인이 되도록 국민의 선택에 의한 정권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2. 시민교육
1) 시민교육의 운영체제와 주체
가. 운영체제
① 미국은 지역적 특징과 다양성을 존중하여 전국적 시민교육 전담기구는 존재하지 않다.(다만 몇몇 주에서는 독일식의 정치교육원과 같은 전담기구의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함)
② 미국의 시민교육은 주로 학교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국적 및 지역적 정치 사회단체 및 종교집단 그리고 대중매체들(신문, 라디오, TV, 영화 등)도 교육주체로서 매우 활발하게 기능하다.
③ 중앙정부의 주도보다는 주(州)정부 또는 민간기구들의 자발적인 계 획 및 추진과 교육담당자의 광범위한 자율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다만 연방교육부는 관련 프로젝트 지원, 자문센터 운영, 교재 등을 통해 일정한 교육방향을 유지하고자 함.)
나. 교육의 주체
① 연방정부 및 주의 교육위원회
② 학회(전국사회과협회 등)
③ 학교
④ 정치사회단체
⑤ 대중매체
2) 교육의 대상
해당 정치교육 기구들의 구성원 및 국민들(정당인, 학생, 청소년, 일반성인 등)이 교육의 대상이다.
3) 교육의 내용과 방향
① 미국의 시민교육은 사회교육이 중심이 되고 있는 바, 인도적이고 합리적인 이해력을 바탕으로 한 다원적 사회의 시민으로서의 참여와 국제화에 따른 세계시민으로서의 참여가 교육의 중심내용이 된다.
② 미국의 시민교육은 다문화적 요소를 인정하면서 연방주의와 귀속주의라는 차원에서 미국화를 위한 시민교육이 주류를 형성해 왔다.
③ 교육은 그 주체 및 대상에 따라 내용이 차이가 있으나 좁은 의미에서의 시민교육은 학교의 사회과목(Social Studies: 지리, 역사, 일반사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④ 사회 정치단체의 공통적인 교육내용으로는 사회에 대한 이해와 조직응용능력, 갈등해소와 의사결정 능력, 개인관계와 사회적 참여를 주로 하고 있다.
⑤ 성과 인종, 계층간의 격차, 마약 범죄 등 사회적 현안문제들이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어, 미국의 민주시민교육 효과에 대한 신랄한 비판 이 제기되기도 한다.
4) 교육방법
① \"다양성속의 통합\" 원칙의 적용.
② 교육의 의식화와 내면화를 위한 실습 내지 토론위주 교육방법, 시청각 교육방법.
③ 개별 주의 교육행정기관 및 교육담당기관의 자율성과 피교육자의 참여와 경험이 강조된다.
5) 재정
전국적 규모의 시민교육 전담기관이 없기 때문에 현재로써는 財源에 대한 자료의 수집이 불가능하다.
Ⅶ. 미국의 직업교육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는 일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등장하였다. OECD 국가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청년의 직업세계로의 순조로운 이행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미국 역시 『학교-직업세계 이행 기회 법(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를 제정하는 등 연방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을 통하여 청년들의 원만한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한 노력은 청년 실업의 감소 등과 같은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다고 보고된다.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은 연방 정부 수준에서의 방향 제시 및 재정 지원과 지방 정부와 현장 수준에서의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으로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방 정부 차원의 정책뿐만 아니라 그것이 지방과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의 통과로 활성화되었다. 이 법은 연방 정부가 지역 수준에서 개발하고 시행하는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차원에서의 학교와 직업세계 사이의 다양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인턴쉽 같은 ”high-intensity\" 프로그램에의 학생 참여 저조, 산업계의 소극적 참여, 모든 학교에 모든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지 않음으로 인한 교육기회의 불평등 문제, 학문적 성취 수준의 저하, 학생의 흥미나 관심이 아니라 노동시장의 요구에 따른 진로 선택, 교육을 노동시장 준비 체제로 대치하고 있다는 등의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상황 중심적 학습(contextual learning)을 통한 인문과 직업교육의 통합, 학업성취 기준을 높이는 동시에 진로와 관련된 교육 실시, 그리고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의 높은 고등교육 진학률 및 졸업률 등의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보고 된다. 또한 지역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다양한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로 그 효과성을 높이고 있다.
참고문헌
국립특수교육원 편(1998), 미국의 특수교육 제도와 현황 : 캘리포니아 중심, 안산 : 국립특수교육원
교육부(1998),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교육정보화백서
김태완(2002), 21세기 미국교육, 교육행정학 연구 20(1)
레베커 네이던, 심계순 역(2006), 미국의 대학생은 지금, 다산미디어
박영란(1997), 미국의 노인부양가구 지원정책, 각국 노인의 가족부양 현황과 과제, 한국노인문제연구소
이일용(2000), 미국교육이야기, 학지사
추천자료
- 미국의 교육과정에서 우리나라 교육에 적용시킬 만한 아이디어
- 미국 공업교육의 목표와 교육 과정
- [교육행정학] 미국의 교육재정지원
- 미국의 교육과정(교육 시스템)
- 미국과영국 학교교육개혁이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
- 미국의 교육공학과 한국의 교육공학 역사 비교
- 미국의 교육개혁이 우리나라 교육에 주는 시사점
- 한국 교육과 미국 교육의 차이
- [연수, 대학원, 미국, LA, 캘리포니아, 켈리포니아] 대학원 미국 교육 연수
- [선진국의 교육] 미국의 교육개혁의 흐름과 차터스쿨 분석, 차터스쿨의 장단점, 시사점 및 향...
- 교육학 - 우리나라와 미국의 교육제도 비교
- [미국국내정책(國內政策)] 미국의 교육정책, 사회복지정책, 주택정책, 환경정책
- [교육과 사회][미국의 교육개혁]
-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미국의 유아교육 현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