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 &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
2. Introduction
3. Material &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
본문내용
색체가 두 개의 자매염색분체가 된다. 마지막 단계인 G2기에는 DNA합성이 완료된 시점부터 세포분열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으로 역시 물질대사가 활발한 시기이고 간기 전반에 걸쳐 모든 세포의 모습과 거의 유사하다. 또 G2기에서는 세포함유물은 초기의 거의 두 배로 증가하고 세포질에는 두 개의 중심체가 존재한다.
전기 - 핵에서는 염색사가 단단히 감기고 접히기 시작해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한 염색체가 된다. 인은 사라지고 복제된 각각의 염색체는 잘록한 허리 모양으로 보이는 부분에 있는 동원체에 의해 서로 결합된 두 개의 자매염색분체 모양으로 관찰된다. 세포질에서는 중심체로부터 미세소관이 빠르게 자라 나와 방추사를 형성하는데 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방추사가 미식축구공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전기 말이 되면 핵막이 조각조각 나누어진다. 핵막이 사라지면 세포의 양극을 이룬 방추사의 중심체에서 미세소관이 나오고 고도로 응축된 상태인 염색체에 도달하게 된다. 각 염색분체의 동원체에는 방추사부착점이라는 단백질 부위가 있는데 여기에 미세소관으로 이루어진 방추사가 부착되어 염색체에 진동을 일으킨다. 반대편 방추사에서 나온 또 다른 방추사 미세소관은 반대쪽 방추사부착점과 접촉한다. 모터역할을 하는 방추사 연관 단백질에서 나오는 힘에 의해 염색체가 세포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중기 - 방추사가 완전히 형성되어 방추사의 양극이 세포의 양 끝에 자리 잡게 된다. 염색체는 양극 사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가장적인 장소인 적도판에 배열한다. 모든 염색체의 동원체는 적도판에 배열되며 각 염색체의 자매 염색분체에 있는 방추사 부착점은 각각 방추사의 양극을 향해 위치한다. 자매 염색분체는 양쪽 극으로부터 나온 방추사 미세소관에 각각 부착된다.
후기 - 각 염색체의 두 동원체가 분리되어 자매염색분체를 분리시키면서 시작된다. 염색분체가 일단 분리되면 각각의 염색분체는 완성된 딸 염색체로 간주된다. 방추사 부착점에 있는 단백질 모터는 ATP를 에너지원으로 세포의 양극을 향하여 미세소관을 따라 딸염색체를 이동시키는데 이때 동원체가 먼저 이동하면서 염색체가 꺾어진 모양이 된다. 동원체가 방추사의 양극 끝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원체에 붙은 방추사가 짧아진다. 그러나 염색체의 동원체에 붙지 않은 방추사는 더 길어져 세포의 양극이 서로 더 멀리 떨어지게 되고 세포가 길어지게 된다. 똑같은 수의 염색체가 세포의 양극에 도달하게 되면 후기가 끝난다.
말기와 세포질 분열 - 후기에 시작된 세포의 신장이 계속되며 전기에 나타났던 현상들이 역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염색체 주위에 핵막이 생기고 세포의 양극에 딸핵이 생긴다. 한편 각각의 염색체가 풀려 염색사가 되고 인이 다시 생긴다. 말기 끝에 방추사가 사라지고 하나의 핵이 둘로 나누어지는 세포분열이 끝나게 된다. 세포질이 이분되는 세포질분열은 말기에 동시에 일어나며 체세포 분열이 끝나자마자 두 개의 딸세포를 완전히 두 개의 세포로 분리한다.
(3) 현미경 하에서 세포분열의 어느 단계가 가장 많이 관찰되는가?
간기. 세포주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전형적인 세포에서 간기는 세포주기 기간의 약 90%를 차지한다.
6. Reference
Campbell, Neil A. 김명원 역. 2004. 라이프사이언스. P112-113
Solomon. 강신성 역. 2006. 생물과학. 월드사이언스. P603- 608
http://blog.naver.com/winkyou?Redirect=Log&logNo=40011160622
실험날짜
학 번
이 름
담당교수님
http://blog.naver.com/iwishyou1?Redirect=Log&logNo=20047023626
전기 - 핵에서는 염색사가 단단히 감기고 접히기 시작해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한 염색체가 된다. 인은 사라지고 복제된 각각의 염색체는 잘록한 허리 모양으로 보이는 부분에 있는 동원체에 의해 서로 결합된 두 개의 자매염색분체 모양으로 관찰된다. 세포질에서는 중심체로부터 미세소관이 빠르게 자라 나와 방추사를 형성하는데 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방추사가 미식축구공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전기 말이 되면 핵막이 조각조각 나누어진다. 핵막이 사라지면 세포의 양극을 이룬 방추사의 중심체에서 미세소관이 나오고 고도로 응축된 상태인 염색체에 도달하게 된다. 각 염색분체의 동원체에는 방추사부착점이라는 단백질 부위가 있는데 여기에 미세소관으로 이루어진 방추사가 부착되어 염색체에 진동을 일으킨다. 반대편 방추사에서 나온 또 다른 방추사 미세소관은 반대쪽 방추사부착점과 접촉한다. 모터역할을 하는 방추사 연관 단백질에서 나오는 힘에 의해 염색체가 세포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중기 - 방추사가 완전히 형성되어 방추사의 양극이 세포의 양 끝에 자리 잡게 된다. 염색체는 양극 사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가장적인 장소인 적도판에 배열한다. 모든 염색체의 동원체는 적도판에 배열되며 각 염색체의 자매 염색분체에 있는 방추사 부착점은 각각 방추사의 양극을 향해 위치한다. 자매 염색분체는 양쪽 극으로부터 나온 방추사 미세소관에 각각 부착된다.
후기 - 각 염색체의 두 동원체가 분리되어 자매염색분체를 분리시키면서 시작된다. 염색분체가 일단 분리되면 각각의 염색분체는 완성된 딸 염색체로 간주된다. 방추사 부착점에 있는 단백질 모터는 ATP를 에너지원으로 세포의 양극을 향하여 미세소관을 따라 딸염색체를 이동시키는데 이때 동원체가 먼저 이동하면서 염색체가 꺾어진 모양이 된다. 동원체가 방추사의 양극 끝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원체에 붙은 방추사가 짧아진다. 그러나 염색체의 동원체에 붙지 않은 방추사는 더 길어져 세포의 양극이 서로 더 멀리 떨어지게 되고 세포가 길어지게 된다. 똑같은 수의 염색체가 세포의 양극에 도달하게 되면 후기가 끝난다.
말기와 세포질 분열 - 후기에 시작된 세포의 신장이 계속되며 전기에 나타났던 현상들이 역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염색체 주위에 핵막이 생기고 세포의 양극에 딸핵이 생긴다. 한편 각각의 염색체가 풀려 염색사가 되고 인이 다시 생긴다. 말기 끝에 방추사가 사라지고 하나의 핵이 둘로 나누어지는 세포분열이 끝나게 된다. 세포질이 이분되는 세포질분열은 말기에 동시에 일어나며 체세포 분열이 끝나자마자 두 개의 딸세포를 완전히 두 개의 세포로 분리한다.
(3) 현미경 하에서 세포분열의 어느 단계가 가장 많이 관찰되는가?
간기. 세포주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전형적인 세포에서 간기는 세포주기 기간의 약 90%를 차지한다.
6. Reference
Campbell, Neil A. 김명원 역. 2004. 라이프사이언스. P112-113
Solomon. 강신성 역. 2006. 생물과학. 월드사이언스. P603- 608
http://blog.naver.com/winkyou?Redirect=Log&logNo=40011160622
실험날짜
학 번
이 름
담당교수님
http://blog.naver.com/iwishyou1?Redirect=Log&logNo=20047023626
키워드
추천자료
기초실험지식
[기초회로실험]Kirchhoff의 전류법칙 예비 결과 레포트
기초전자공학 실험2 ( adder ) 결과레포트
기초회로 실험 RLC 직렬공진회로의 주파수 특성 사전 보고서
기초전자 물리학실험 (기말)
기초회로실험 예비 리포트 직렬 및 병렬 공진 회로와 필터
기초회로실험 예비 리포트 RL회로 과도응답 정상상태응답
기초회로실험 예비 리포트 RC회로 과도응답 정상상태응답
화학기초실험 - 액체 점도 측정
[기초회로실험] 신호모델 및 해석 : 시스템과 입출력 신호와의 이론적 관계 이해 & RC, R...
[기초회로실험] 직렬 및 병렬 공진 회로와 필터 : RLC 직렬회로 및 병렬회로의 주파수응답을 ...
[기초회로실험] (예비 + 결과) - 브리지 회로(Bridge Circuit)와 노드법(Nodal Analysis)과 ...
[기초회로실험] (예비 + 결과) - 교류회로 소자
기초공학 실험 - 압력 측정